국사무쌍(國士無雙)군맹무상(群盲撫象)군자삼락(君子三樂)
국사무쌍(國士無雙)
國:나라 국. 士:선비 사. 無:없을 무. 雙:쌍 쌍.
[유사어]동량지기(棟梁之器) [출전]《史記》〈淮陰侯列傳〉
나라 안에 견줄 만한 자가 없는 인재라는 뜻으로 국내에서 가장 뛰어난 인물을 일컫는 말.
초패왕 항우와 한왕 유방에 의해 진나라가 멸망한 한왕 원년(元年:B.C. 206)의 일이다. 당시 한군(漢軍)에는 한신(韓信)이라는 군관이 있었다. 처음에 그는 초군(楚軍)에 속해 있었으나 아무리 군략(軍略)을 헌책(獻策)해도 받아 주지 않는 항우에게 실망하여 초군을 이탈, 한군에 투신한 자이다. 그 후 한신은 우연한 일로 재능을 인정받아 군량을 관리하는 치속도위(治粟都尉)가 되었다. 이때부터 그는 직책상 승상인 소하(蕭何)와도 자주 만났다. 그래서 한신이 비범한 인물이라는 것을 안 소하는 그에게 은근히 기대를 걸고 있었다.
그 무렵, 고향을 멀리 떠나온 한군은 향수에 젖어 도망치는 장병이 날로 늘어나는 바람에 사기가 말이 아니었다. 그 도망병 가운데는 한신도 끼어 있었다. 영재(英才)를 자부하는 그는 치속도위 정도로는 도저히 만족할 수 없었던 것이다. 소하는 한신이 도망갔다는 보고를 받자 황급히 말에 올라 그 뒤를 쫓았다. 그 광경을 본 장수가 소하도 도망가는 줄 알고 유방에게 고했다. 그러자 오른팔을 잃은 듯이 낙담한 유방은 노여움 또한 컸다. 그러데 이틀 후 소하가 돌아왔다. 유방은 말할 수 없이 기뻤지만 노한 얼굴로 도망친 이유를 물었다.
“승상(丞相)이란 자가 도망을 치다니, 대체 어찌된 일이오?”
“도망친 것이 아니오라, 도망친 자를 잡으러 갔던 것이옵니다.”
“그래, 누구를?”
“한신이옵니다.”
“뭐, 한신? 이제까지 열 명이 넘는 장군이 도망쳤지만, 경은 그 중 한 사람이라도 뒤쫓은 적이 있소?”
“이제까지 도망친 제장(諸將) 따위는 얼마든지 얻을 수 있사오나, 한신은 실로 ‘국사무쌍’이라고 할 만한 인물이옵니다. 만약 전하께오서 이 파촉(巴蜀)의 땅만으로 만족하시겠다면 한신이란 인물은 필요 없사옵니다. 하오나 동방으로 진출해서 천하를 손에 넣는 것이 소망이시라면 한신을 제쳐놓고는 함께 군략을 도모할 인물이 없는 줄로 아나이다.”
“물론, 과인은 천하 통일이 소망이오.”
“하오면 한신을 활용하시오소서.”
“짐은 한신이란 인물을 모르지만 경이 그토록 천거하니 경을 위해 그를 장군으로 기용하겠소.”
“그 정도로는 활용하실 수 없사옵니다.”
“그러면 대장군에 임명하겠소.”
이리하여 한신은 대장군이 되었다. 즉 기량을 한껏 발휘할 수 있는 출발점에 서게 된 것이다.
군맹무상(群盲撫象)
群:무리 군. 盲:소경 맹. 撫:어루만질 무. 象:코끼리 상.
[동의어] 군맹모상(群盲摸象). 군맹평상(群盲評象).
[출전]《涅槃經(열반경)》
여러 소경이 코끼리를 어루만진다는 뜻. 곧 ① 범인(凡人)은 모든 사물을 자기 주관대로 그릇 판단하거나 그 일부밖에 파악하지 못함의 비유. ② 범인의 좁은 식견의 비유.
인도의 경면왕(鏡面王)이 어느 날 맹인들에게 코끼리라는 동물을 가르쳐 주기 위해 그들을 궁중으로 불러 모았다. 그리고 신하를 시켜 코끼리를 끌어오게 한 다음 소경들에게 만져 보라고 했다. 얼마 후 경면왕은 소경들에게 물었다.
“이제 코끼리가 어떻게 생겼는지 알았느냐?”
그러자 소경들은 입을 모아 대답했다.
“예, 알았나이다.”
“그럼, 어디 한 사람씩 말해 보아라.”
소경들의 대답은 각기 자기가 만져 본 부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달랐다.
“무와 같사옵니다.” (상아)
“키와 같나이다.” (귀)
“돌과 같사옵니다.” (머리)
“절굿공 같사옵니다.” (코)
“널빤지와 같사옵니다.” (다리)
“독과 같사옵니다.” (배)
“새끼줄과 같사옵니다.” (꼬리)
이 이야기에 등장하는 코끼리는 석가모니(釋迦牟尼)를 비유한 것이고, 소경들은 밝지 못한 모든 중생(衆生)들을 비유한 것이다. 그리고 이 이야기는 모든 중생들이 석가모니를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 즉 모든 중생들에게는 각기 석가모니가 따로 있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는 것이다.
군자삼락(君子三樂)
君:임금 군. 子:아들 자. 三:석 삼. 樂:즐길 락, 좋아할 요.
[원말] 군자유삼락(君子有三樂) [유사어] 익자삼요(益者三樂)
[반의어] 손자삼요(損者三樂) [출전]《孟子》〈盡心篇〉
군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다는 말.
전국 시대, 철인(哲人)으로서 공자의 사상을 계승 발전시킨 맹자(孟子:B.C. 372?~289?)는 《맹자(孟子)》〈진심편(盡心篇)〉에서 이렇게 말했다.
군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다.
[君子有三樂(군자 유삼락)]
첫째 즐거움은 양친이 다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이요.
[父母具存 兄弟無故(부모구존 형제무고)]
둘째 즐거움은 우러러 하늘에 부끄러움이 없고 구부려 사람에게 부끄럽지 않은 것이요.
[仰不傀於天 俯不怍於人(앙불괴어천 부부작어인)]
셋째 즐거움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교육하는 것이다.
[得天下英才 而敎育之(득천하영재 이교육지)]
한편 공자는 《논어(論語)》〈계시편(季시篇)〉에서 ‘손해 되는 세가지 좋아함[損者三樂(손자삼요)]’을 다음과 같이 꼽았다. 교락(驕樂:방자함을 즐김), 일락(逸樂:놀기를 즐김), 연락(宴樂:주색을 즐김).
'libra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토중래(捲土重來)금의야행(錦衣夜行) (0) | 2013.08.31 |
---|---|
Swap스왑::금리스왑과 통화스왑 (0) | 2013.08.30 |
구밀복검(口蜜腹劍)구우일모(九牛一毛) (0) | 2013.08.28 |
단기금리선물, 채권선물,주가지수선물 (0) | 2013.08.27 |
광일미구(曠日彌久)교언영색(巧言令色) (0) | 2013.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