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편 미시경제학입문
제1장 미시경제학의 성격
1.1 경제학과 미시경제학
경제학의 본질
기본명제: 희소성의 원칙 ⇒ 선택의 문제 발생.
합리적 선택: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
경제행위: 합리적 선택의 과정.
경제학: 인간의 경제행위를 분석.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
미시경제학(microeconomics): price theory
개별적 경제주체(가계, 기업, 정부)의 경제행위에 관심.
자원배분, 소득분배의 문제.
소비자이론, 생산자이론, 시장이론, 분배이론…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 national income theory
경제 전체로서의 문제에 관심.
국민소득, 성장, 안정 등
1.2 경제학의 방법론
경제모형(economic model)
현실을 단순화. 주요 경제변수들 간의 인과관계 설정.
가정(assumption)과 명제(proposition)
1.3 최적화와 균형
합리성(rationality)
??모든 경제주체는 합리적이다.?? - 가정. 논란의 여지.
합리성의 정의 - 실현 가능한 대안들(feasible alternatives) 중 가장 나은 결과를
보장하는 대안을 선택한다.
최적화(optimization)
주어진 목표를 극대 혹은 극소화하기 위해 선택을 하는 과정.
합리성의 가정에 근거.
예: 효용의 극대화, 이윤의 극소화, 비용의 극소화 등
수학적으로 미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함.
균형(equilibrium)
(정의) 외부 요건의 변화가 없는 한 그 상태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는 상태.
균형분석의 3요소: 존재(existence), 유일성(uniqueness), 안정성(stability)
제2장 시장과 수요?공급
2.1 시장(market)
정의
상품 혹은 용역의 판매자(seller)와 구매자(buyer)들의 집합.
물리적 공간만을 의미하지는 않음.
가격과 시장의 기능
가격(price): 시장이 균형상태에 이르게 하는 가격(=균형가격)
가격의 기능: 경제상황에 대한 신호(signal)의 역할.
① 배급기능(rationing function)
생산된 상품의 소비를 통제하는 기능.
② 자원배분기능(allocative function)
제한된 자원이 필요한 곳에 사용되게 하는 기능.
시장기구(market mechanism): 가격을 신호로 경제주체들의 자율적 의사결정을 통하여
자원이 배분되는 구조.
시장경제와 계획경제 및 혼합경제
시장경제: 시장기구에 의해 자원이 배분됨.
효율성 극대, 소비자 주권, 자유보장. 공정성에 문제.
계획경제: 중앙통제당국(central authority)에 의해 자원 배분.
공정성 보장. 효율성에 문제.
혼합경제: 시장경제의 기본 틀에 계획경제를 가미.
사회보장정책, 구조조정, big deal, 물가정책 등
2.2 시장수요
시장수요곡선
수요량(quantity demanded): 일정 기간 동안 소비자가 주어진 가격하에서 구매하고자
의도하는 상품의 양.
유량(flow)의 개념. 가격에 따라 달라짐.
실제거래량이 아닌 의도하는(willing) 양.
수요(demand): 각각의 가격과 이에 대응하는 수요량들의 집합.
(수요를 표현하는 방법)
(1) 묘사
수요의 법칙(Law of demand): 가격과 수요량은 역의 관계.
가격 이외의 요인: 연관상품의 가격(), 소득수준(), 인구(), 기호() 등.
(2) 수요함수(demand function)
(3) 수요곡선(demand curve)
가격 이외의 변화요인들은 일정하다고 가정. (ceteris paribus)
가격과 수요량 사이의 관계를 곡선으로 표현.
수요의 법칙 ⇒ 수요곡선 우하향(downward sloping).
위의 수량은 실제의 구매량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4) 수요곡선의 이동과 곡선상의 이동
곡선상의 이동(movement along the curve): 가격의 변화에 따른 수요량의 변화.
위의 그림에서 에서 로의 이동.
수요곡선의 이동(shift in the curve): 가격 이외의 요인의 변화에 따른 수요 자체 의 변화. 수요곡선 전체가 이동.
예) 소득의 증가: 수요의 증가. 수요곡선 우로 이동.
대체재 가격의 상승: 수요의 증가. 수요곡선 우로 이동.
보완재 가격의 상승: 수요의 감소. 수요곡선 좌로 이동.
인구의 증가: 수요의 증가. 수요곡선 우로 이동.
수요의 탄력성(elasticity of demand)
수요함수의 각 독립변수의 변화에 따른 수요량의 반응 정도 측정.
비탄력적 탄력적 완전탄력적
(1) 수요의 가격탄력성(price elasticity of demand)
1) 정의
(특징)
① 점의 위치에 따라 다른 값.
② 단위와 무관.
(구분)
: 비탄력적(inelastic)
: 단위 탄력적(unitary elastic)
: 탄력적(elastic)
(미분을 이용한 공식)
가격의 변화가 미세할 경우.
2) 특수한 경우
① (완전비탄력적) ② (완전탄력적)
③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1.
수요곡선이 직각쌍곡선일 경우.
수요함수:
(상수)
(상수)
3) 가격탄력성과 판매수입
판매수입:
가격이 상승할 때, 수요량은 감소. 따라서 수입의 변화는 두 변화의 상대속도에 따라 결정됨.
인 경우: 의 상승률=의 감소율 ⇒ 불변.
인 경우: 의 상승률<의 감소율 ⇒ 감소.
인 경우: 의 상승률>의 감소율 ⇒ 증가.
(참고)
4) 가격탄력성의 결정요인
① 필수품, 사치품
② 대체재의 존재 여부
③ 가계지출 중의 비중
④ 상품의 정의: 넓을수록 작아짐.
(3) 기타 탄력성
가격 이외의 요인의 변화에 대한 수요량의 반응 정도 측정.
1) 소득탄력성(income elasticity of demand)
부호는 상품의 성격에 따라 양 혹은 음.
정상재(normal good):
열등재(inferior good):
정상재 중에서 사치재(luxuries): ,
필수재(necessities): 로 구분하기도 함.
2) 대체탄력성(cross elasticity of demand)
재 수요의 재에 대한 교차탄력성
: 재는 재에 대한 대체재(substitute)
: 재는 재에 대한 보완재(compliments)
: 재와 재는 독립재(independent goods)
2.3 시장공급
시장공급곡선
공급량(quantity supplied):
공급(supply)
공급함수(supply function)
단, : 가격, :요소가격, :기술수준, :공급자의 수, : 미래에 대한 기대
공급곡선(supply curve)
우상향하는 이유: 한계비용의 증가 때문
공급의 탄력성
공급의 가격탄력성:
(참고) 절편이 0인 경우
절편이 음인 경우
수평선인 경우
수직선인 경우
공급의 탄력성의 결정요인
① 생산비의 증가속도
② 저장가능성
③ 생산기간
제3장 시장의 균형
3.1 시장균형의 분석
균형의 의미
균형: 다른 조건의 변화 없이는 현재의 상태가 지속되는 상태.
(1) 균형가격
시장의 균형: 시장에서 가격이나 거래량이 변화하지 않는 상태.
: 균형가격, : 균형거래량, E: 균형점.
(이유) 가격이 이면 만큼의 초과공급 존재
⇒ 다른 조건이 불변일지라도 가격 하락 압력
따라서 현재의 상태는 균형이 아니다.
가격이 보다 낮은 경우에는 초과수요 존재 ⇒ 가격 상승 압력
이 역시 균형이 아니다.
그러므로 시장가격이 일 경우에만 시장이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수식예)
균형 ⇔ ⇔ : 수요와 공급의 요인들이 동시에 나타남.
(참고) 가치이론의 발전과정
Ricardo의 노동가치설
한계효용학파
A. Marshall
(2) 부분균형분석과 일반균형분석
부분균형분석(partial equilibrium analysis)
일반균형분석(general equilibrium analysis)
균형의 변화
가격 이외의 요인에 변화가 생기면 균형 자체가 이동.
수요의 증가
수요의 감소
공급의 증가
공급의 감소
균형의 존재 및 유일성
균형분석의 중요한 관심사: 존재, 유일성, 안정성
(1) 균형의 존재(existence)
균형은 항상 존재하지는 않는다.
예:
자유재(free goods) 생산비가 지나치게 비싼 재화
(2) 균형의 유일성(uniqueness)
복수의 균형(multiple equilibria)
교재 그림 3-4 참조.
3.2 균형의 안정성
안정성(stability)
정적 안정성(static stability)
동적 안정성(dynamic stability)
정적 안정성
(1) Walrasian stability
왈라스적 조정과정(Walrasian adjustment process):
(가정) 시장에 초과수요가 존재하면, 가격이 하락하고,
초과공급이 존재하면 가격이 상승한다.
또한, 가격의 변화에 대해 수요?공급량 모두 신축적으로 변화한다.
왈라스적 안정성: 위의 가정 하에서 균형이 안정성을 가질 때, 균형은 왈라스적
안정성을 지닌다고 한다.
초과수요함수(excess demand function)
(왈라스적 안정조건): 가격이 상승하면 가 감소할 것.
즉, 가 의 감소함수일 것.
① Case 1
곡선 우하향. : 왈라스적 안정균형. 균형에서 벗어나도 다시 로 복귀.
② Case 2 ③ Case 3
왈라스적 안정균형 왈라스적 안정균형
④ Case 4 ⑤ Case 5
왈라스적 불안정균형 왈라스적 불안정균형
(수학적 조건)
(2) Marshallian stability
현실시장은 Walras의 가정처럼 신축적이지 못하다.
특히 공급량의 비신축적. 가격이 아닌 공급량에 따라 시장이 조정됨.
마샬적 조정과정(Walrasian adjustment process):
(가정) 시장에 불균형이 존재하면 공급량의 변화를 통해 시장이 균형으로 진행됨.
초과수요가격함수(excess demand price function):
단, : 수요함수의 역함수
: 공급함수의 역함수
: 공급량이 일 때, 소비자가 지불할 용의가 있는 최고의 가격.
: 공급량이 일 때, 생산자가 받고자 하는 최소의 가격.
에서 ⇒ 공급량 증가.
에서 ⇒ 공급량 감소.
위의 경우, 마샬적 안정균형.
(Marshall적 안정조건):
공급량 가 증가함에 따라 초과수요가격 가 감소할 것.
앞의 예에서, ①, ⑤, ⑥은 Marshall적 안정균형.
②, ③, ④는 Marshall적 불안정균형.
(수학적 조건)
공급곡선의 기울기 > 수요곡선의 기울기
(3) 동적 안정성(dynamic stability)
동학모형: ① 연속 모형(continuous model)
미분방정식을 이용하여 경제변수의 시간경로(time path) 분석.
수학적으로 복잡.
② 단속 모형(discrete model)
비현실적이나 분석 용이.
<거미집 모형: cobweb model>
(가정) 수요량과 가격에 비해 공급량의 변화는 상대적으로 비신축적이다.
시간 지체(time lag) 현상.
(모형)
: 금기의 생산량, : 금기의 가격
: 2기의 생산량, : 2기의 가격
: 3기의 생산량, : 3기의 가격
위와 같은 조정과정을 거쳐 균형점 ()로 다가감.
단기공급곡선과 장기공급곡선 비교.
(안정조건)
| 공급곡선의 기울기 | > | 수요곡선의 기울기 |
그림 3-9 참조. (Walras 및 Marshall의 경우와 비교할 것)
(한계)
생산자들의 근시안적 행태를 가정. 비합리적.
3.3 균형분석의 응용
(1) 물품세 부과의 효과
물품세(excise tax): 상품 1단위당 부과되는 세금.
원의 물품세 부과 ⇒ 공급곡선을 원만큼 수직으로 이동시킴.
⇒ 상품의 가격은 원보다 작게 상승.
세금 부과 전 균형가격 =
새로운 균형가격 = ( )
즉 생산자는 세금 원 전부를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는 없다.
조세의 귀착: 수요의 탄력성이 클수록, 공급의 탄력성이 작을수록 소비자(공급자)의 부담이 작다(크다).
수요곡선이 수직선인 경우(): 소비자가 전액 부담.
수요곡선이 수평선인 경우(): 생산자가 전액 부담.
공급곡선이 수직선인 경우(): 생산자가 전액 부담.
공급곡선이 수평선인 경우(): 소비자가 전액 부담.
(2) 가격규제의 효과
가격규제(price control): 시장가격이 비정상적인 경우 정부가 가격을 통제
가격상한제(price ceiling): 시장가격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가격하한제(price floor): 시장가격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
1) 가격상한제
전시, 한국의 주택시장
수요에 비해 공급이 지나치게 부족한 경우
: 통제 전의 가격
: 상한가격
: 통제 후의 초과수요량.
: 암시장가격의 상한값.
(평가) 단기적으로는 효과가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사회적 비용 막대.
공급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
2) 가격하한제
최저임금제(minimum wage)
: 노동의 초과공급 = 실업(주로 미숙련자)
(평가) 노동자에게는 오히려 불리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