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갈공명(諸葛孔明)의칠성단(七星檀)
제갈공명(諸葛孔明)의
칠성단(七星檀)
삼국지(三國志) 나관중 지음 / 이문열 평역
♣한나라 멸망 후 펼쳐지는 무수히 많은 영웅호걸들의 쟁
투와 죽음, 전쟁, 음모와 지략을 들려줌
♣유비, 관우, 장비의 도원결의부터 솥발처럼 셋으로 나누
어진 촉, 오, 위나라가 하나로 합쳐지기까지 조조, 손권,
제갈공명, 사마의, 조자룡 등 수 많은 영웅호걸들이 펼치
는 흥미진진한 역사적 내용을 풀어썼음
♣단순한 재미나 흥미보다는 지혜롭고 현명하게 세상을 살
가는 방법을 들려주는 수많은 지혜가 담긴 책
칠성단(七星檀)
♣오나라와 동맹을 맺은 유비군의 책사 제갈량이 적벽대전
(赤壁大戰) 당시, 오나라를 승리로 이끌게 하기 위해 동남
풍을 비는 의식을 치르는데, 이 의식을 치르기 위해 짓는
제단이 바로 칠성단임
♣기문둔갑(奇門遁甲), 주술, 미신, 민속신앙과 같은 종교적
인 의미가 담겨있다는 차원에서 칠성단에 대해 조사하는
것은 종교건축을 연구하는데 있어 그 의의를 가질 수 있
음
군사들은 공명이 시키는 대로 단을 쌓는데 둘레가 24장(丈)이요 한 층의 높이는 석자로 3층을 올리니
전체 높이는 아홉 자였다. 맨 아래층에는 28수(宿) 별자리에 따른 기를 꽂았는데 동쪽 일곱 면에는 푸
른 기를 각, 항, 저, 방, 심, 미, 기(角, 亢, 底, 房, 心, 尾, 箕=모두 28宿 중 東方七宿에 속한 별이름) 자리
에 꽂아 창룡(蒼龍=東쪽을 가리키는 四神의 하나, 또는 東方七宿의 다른 이름)의 모습을 꾸미고 북쪽
일곱 면 검은 기는 두, 우, 여, 허, 위, 실, 벽(斗, 牛, 女, 虛, 危, 室, 壁=28宿에서 북방七宿) 자리에 꽂아
현무(玄武=북방을 가리키는 四方神의 하나) 기세를 지었다.
서쪽 일곱 면 흰 기는 규, 누, 주, 묘, 필, 자, 삼(奎, 婁, 冑, 昴, 畢, 觜, 參=西方七宿) 자리에 꽂아 백호
(白虎=서쪽을 가리키는 四方神의 하나)의 위엄을 펼치게 하고, 남쪽 일곱면 붉은 기는 정, 귀, 유, 성,
장, 익, 진(井, 鬼, 柳, 星, 張, 翼, 軫=南方七宿) 자리에 꽅아 주작(朱雀=北方神)의 형상을 지었다.
둘째 층은 누른 기 예순넷으로 64괘(卦)를 벌이되 여덟 방위로 나누어 세웠고, 맨 위층에는 네 사람을
세웠는데 그들의 차림이 또한 볼 만했다. 머리에는 속발관(束髮冠)이요, 몸에는 검은 비단으로 지은 도
포를 걸쳤으며 봉의(鳳衣)를 입고 띠를 두른데다 붉은 신발에 방술(方術)에 쓰이는 옷자락을 길게 늘
어뜨리고 있었다.
네 사람 중 앞쪽 왼편에 있는 사람은 긴 장대를 들었는데 장대 끝에는 닭털을 일산(日傘)모양으로 달
아 바람의 방향을 보게 하고, 오른쪽에 있는 사람은 칠성호대(七星號帶)를 달아 원하는 바람의 형태는
나타냈다. 뒤편 왼쪽에 있는 사람은 보검을 받쳐들었고 오른편에 선 사람은 향로를 받들고 서 있었다.
그리고 단 아래 또 스물넷이 섰는데, 각기 정기(旌旗)와 보개(寶蓋), 날이 크고 긴 창(大戟長戈)과 깃털
달린 누른 기며 은도끼, 붉은 기, 검은 기를 나눠잡고 사방을 빙 둘러 싸고 있었다.
「三國志(나관중 지음, 이문열 평역) 제 6권」 p.102~p.103
분석내용
♣28宿 별자리 깃발을 동•서•남•북 각각의 면에 위치시켰다고 언급 → 평면상 정사각형의 형태
♣’둘레가 24장(丈)이요 한 층의 높이는 석자로 3층을 올리니 전체 높이는 아홉자였다’ → 정사각형 한 변의 길이=18m(6丈), 3층 제단, 한 층당 높이=0.9m(3자), 총 높이 0.9*3=2.7m
♣올라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일 것으로 추측됨
why?의식이 이루어지는 장소이자 그만큼 가장 중요한 맨 윗단의 공간에 에너지를 실어주기 위함
♣동•서•남•북 사방에 계단이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측됨 why?동선의 흐름상 어느 방향에서나 맨 윗단으로 올라갈 수 있게 함으로써 공간에 한층 더 파워를 실어줄 수 있으리라 판단되었음
♣계단의 폭은 3m, 계단 좌우에 각각 50cm의 돌난간 설치
칠성단의 재구성(再構成)
♣제단건축과 성곽건축의 조합
칠성단이 만들어진 시기는 적벽대전(赤壁大戰), 즉 전시(戰時)임. 시
기가 시기인만큼 군사적인 목적 역시 배제할 수 없기에 이런 성격이
농후한 성곽건축(城郭建築)을 칠성단에 적용시켰음
♣크기의 변화
첫 번째 단→정사각형 한변의 길이=40m(13丈), 높이 9m, 유사시 방
어할 수 있게끔 여장(女牆)을 설치
두 번째 단→정사각형 한변의 길이=24m(8丈), 높이 2m
세 번째 단→8方 64挂의 개념이 적용된 정팔각형의 형태, 정팔각형
한변의 길이=4m(1.3丈), 높이 1m
♣군사적 목적에 부합되는 전체적인 배치의 변화
기존의 4방향계단을 일방향계단으로 바꿈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단 모두 하나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배치된
기존과는 달리 한 방향에 치우쳐진 구조로 바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