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veryday Effect

블로그 이미지

MSNU

마이동풍(馬耳東風)만가(輓歌)

librals 2013. 9. 21. 17:16

마이동풍(馬耳東風)

馬:말 마.  耳:귀 이.  東:동녘 동.  風:바람 풍.

[유사어] 우이독경(牛耳讀經). 오불관언(吾不關焉). 대우탄금(對牛彈琴). [출전]《李太白集》〈券十八〉

말의 귀에 동풍(東風:春風)이 불어도 전혀 느끼지 못한다는 뜻. 곧 ① 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고 그대로 흘려 버림의 비유. ② 무슨 말을 들어도 전혀 느끼지 못함의 비유. ③ 남의 일에 상관하지 않음의 비유.

당나라의 대시인 이백(李白)이 벗 왕십이(王十二)로부터〈한야독작유회[寒夜獨酌有懷(추운 방에 홀로 술잔을 기울이며 느낀 바 있어서)]〉라는 시 한 수를 받자 이에 답하여〈답왕십이한야독작유회(答王十二寒夜獨酌有懷)〉라는 시를 보냈는데 ‘마이동풍’은 마지막 구절에 나온다. 장시(長詩)인 이 시에서 이백은 “우리네 시인들이 아무리 좋은 시를 짓더라도 이 세상 속물들은 그것을 알아주지 않는다”며 울분을 터뜨리고 다음과 같이 맺고 있다.

………………

세인들은 이 말을 듣고 모두 머리를 흔드네

[世人聞此皆掉頭(세인문차개도두)]

마치 동풍이 쏘인 말의 귀처럼

[有如東風射馬耳(유여동풍사마이)]

[주] 동풍은 봄바람의 뜻. 그 동풍이 말의 귀를 쏘아(스쳐) 봤자 아프지도 가렵지도 않을 것임. 즉 세인들이 시인의 말이나 걸작에 기울이는 관심도가 그 정도로 낮다 - 무관심하다고 이백은 비분(悲憤)하고 있는 것임.





만가(輓歌)

輓:수레 끌 만.  歌:노래 가.

[출전]《古今洼》〈音樂篇〉,《晉書》〈禮志篇〉,《古詩源》 〈薤露歌〉〈蒿里曲〉

상여를 메고 갈 때 부르는 노래.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노래.

한(漢)나라 고조 유방(劉邦)이 즉위하기 직전의 일이다. 한나라 창업 삼걸(三傑) 중 한 사람인 한신(韓信)에게 급습 당한 제왕(齊王) 전횡(田橫)은 그 분풀이로 유방이 보낸 세객(說客) 역이기(酈食其)를 삶아 죽여 버렸다. 이윽고 고조가 즉위하자 보복을 두려워한 전횡은 500여 명의 부하와 함께 발해만(渤海灣)에 있는 지금의 전횡도(田橫島)로 도망갔다.

그 후 고조는 전횡이 반란을 일으킬까 우려하여 그를 용서하고 불렸다. 전횡은 일단 부름에 응했으나 낙양을 30여리 앞두고 스스로 목을 찔러 자결하고 말았다. 포로가 되어 고조를 섬기는 것이 부끄러웠기 때문이다. 전횡의 목을 고조에게 전한 고조에게 전한 두 부하를 비롯해서 섬에 남아있던 500여 명도 전횡의 절개를 경모하여 모두 순사(殉死)했다.

그 무렵, 전횡의 문인(門人)이 해로가(薤露歌)‧호리곡(蒿里曲)이라는 두 장(章)의 상가(喪歌)를 지었는데 전횡이 자결하자 그 죽음을 애도하여 노래했다.

부추 잎의 이슬은 어찌 그리 쉬이 마르는가 [薤上朝露何易晞(해상조로하이희)]

이슬은 말라도 내일 아침 다시 내리지만 [露晞明朝更復落(노희명조갱부락)]

사람은 죽어 한 번 가면 언제 다기 돌아오나 [人死一去何時歸(인사일거하시귀)] -해로가-

호리는 뉘 집터인고 [蒿里誰家地(호리수가지)]

혼백을 거둘 땐 현‧우가 없네 [聚斂魂魄無賢愚(취렴혼백무현우)]

귀백은 어찌 그리 재촉하는고 [鬼伯一何相催促(귀백일하상최촉)]

인명은 잠시도 머뭇거리지 못하네 [人命不得少踟躕(인명부득소지주)] -호리곡-

이 두 상가는 그 후 7대 황제인 무제(武帝:B.C.141~87) 때에 악부(樂府) 총재인 이연년(李延年)에 의해 작곡되어 해로가는 공경귀인(公卿貴人), 호리곡은 사부서인(士夫庶人)의 장례 시에 상여꾼이 부르는 ‘만가’로 정해졌다고 한다.

[주] 해로가 : 인생은 부추 잎에 맺힌 이슬처럼 덧없음을 노래한 것.

    호리 : 산동성(山東省)의 태산(泰山) 남쪽에 있는 산 이름. 옛 중국인들은 사람이 죽으면 넋이 이곳으로 온다고 믿어 왔음.





'libra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양지탄(望洋之歎)맥수지탄(麥秀之歎)  (0) 2013.09.23
만사휴의(萬事休矣)망국지음(亡國之音)  (0) 2013.09.22
등용문(登龍門)등용문(登龍門)  (0) 2013.09.20
동호지필(董狐之筆)득록망촉(得隴望蜀)  (0) 2013.09.19
독안룡(獨眼龍)동병상련(同病相憐)  (0) 2013.09.18
Posted by MSNU






favicon

The Everyday Effect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623)
    • librals (139)
    • PPT (369)
    • 시리즈 (69)
      • 주택관리관계법규_정리 (26)
      • 독일어 (1)
    • HDP MM (34)
      • HDS (0)
      • ND C&P (0)
      • 우체국 알뜰폰 (34)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