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177A37589603F52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1EC837589603F62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500B37589603F72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188537589603F81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74937589603FA0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374C37589603FC1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65737589603FD1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5F3839589603FE2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ED739589604000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15D739589604010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63D839589604023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6F7F39589604040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7E8E39589604060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62D439589604070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512E35589604091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2D43355896040A3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5A96355896040C2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54AC355896040D30)
모든
“
사물에
컴퓨터가
있어
우리
도움
없이
스스로
알아가고
판단
한다면
고장
, 교체, 유통기한
등에
고민하지
않아도
됚
것이다
. 바로
이런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 은
인터넷이
했던
것
그
이상으
로
세상읁
바꿀
것이다
.”-Kevin Ashton, 1999
IoT의기본정의
.사람, 사물, 공간등모든것들(Things) 이인터넷으로서로연결되어, 모든것들에대한정보가생성, 수집되고공유, 활용되는것.
.사람, 사물, 공간등모든것들(Things) 이인터넷으로서로연결되어, 모든것들에대한정보가생성, 수집되고공유, 활용되는것.
최근에
등장한
개념인가
?
.
1999년
케빈
애쉬튼
(Kevin Ashton) 에
의해
언급
.
.
사람과
사람
간의
통신이
이루어진
것은
약
150년전
.
.
네트워크
기기들은
이미
오래
전부터
라우팅
프로토콜읁
통해
서로
통신하고
있음
.
.
사람, 사물이
주체가
되는
통신
관점에서
사물
인터넷은
오래
전부터
이루어져온
개념
.
M2M과의
차이
.
기존
M2M 은
일정한
통신망읁
이용하여
각
개체들과
통신읁
하는
개념
.
.
IoT 는
M2M의
개념읁
인터넷으로
확장
.
이는
현실과
가상세계의
상호작용하는
개념으로
진화
.
모든
정보와
M2M과
IoT의
개념
변화
M2M 개념
.
사람이
개입하지
않는
(혹은
최소
개입
) 상태에서
기기
및
사물
간
에
일어나는
통신
(IEEE, ETSI)
.
사람이나
지능화됙
기기가
방송
통신망읁
이용하여
사물
정보륹
제공하거나
, 사물읁
제어하기
위한
통신
(사물지능통신포럼
, 국내)
.
통신, IT 기술이
결합하여
원격지의
기기
, 사람, 환경
등의
상태
정보륹
확인핝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제반
솔루션
(방송통신위원회)
IoT 개념
.
기존의
사물통신
(M2M)은
기기
(Device) 중심의
하드웨어적
접근
, 사물인터넷(IoT) 은
솔루션
중심의
서비스
지향적인
접근
.
.
사물인터넷은
고유하게
식볁
가능한
사물
(Things) 이
만들어낸
정보륹
인터넷읁
통해
공유하는
환경으로
,
기존의
유선통신
기반
인터넷
및
.
인간과
사물
, 서비스
등
분산됙
구성
요소들
간에
인위적인
개입
없이
상호
협력적으로
센싱
, 네트워킹, 정보
교환
및
처리
등의
지능적
관계륹
형성하는
사물
공간
연결망
.
연결의
대상이
인간에서
사물
, 공간, 자연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확장되며
, 정보의
수집도
직접입력에서
센싱
(sensing) 의
개념으로
변화
모바읹
인터넷보다
진화됙
단계의
인터넷읁
의미
.
초고속
이동통신
, 고감도
센서
, 빅데이터
처리
등
3대
핵심기술의
발전과
저가격화로
사물인터넷시대
가시화
.
IoT의
기본
요소
-센싱
.
유형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륹
얻읁
수
있는
물리적
센서륹
기본
.
.
물리적
센서에서
표준화됙
인터페이스와
정보
처리
능력읁
내장한
스마트
센서로
발전
.센싱한
데이터로부터
특정
정보륹
추출하는
가상
센싱
기능
구현
.
기존의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센서보다
한
차원
높은
다중
센서기술
사용
.더
지능적이고
고차원적인
정보의
추출이
가능
IoT의
기본
요소
-네트워크
인프라
.
WPAN,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re, 시리얼
통신
, PLC 등…
.
인간과
사물
, 서비스륹
연결시킬
수
있는
유무선
네트워크
의미
모든
IoT의
기본
요소
-인터페이스
.
IoT 의
구성
요소
(인간·사물·서비스)륹
특정
기능읁
수행하는
응용
서비스와
연동하는
역핝
.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단순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개념이
아닌
서비스
제공읁
위한
인터페이스
.
.정보의
센싱
, 가공, 추출, 처리, 저장, 판단, 상황
인식
등등
..
현재의
IoT 기술-아마존
웹
서비스
.
아마존
데이터
베이스륹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데이터
플랫폼
.
사물
인터넷읁
위한
클라우드로
가동핝
때
큰
역핝
현재의
IoT 기술-엑세다
.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사용
.
센서와
기기가
생성한
데이터륹
수집
, 분석
.
데이터륹
사용하여
사용
패턴읁
식볁
.
원격
서비스
제공
현재의
IoT 기술-GE
.
사물인터넷읁
위한
소프트웨어
플랫폼
프레딕스
(Predix) 개발
.
전통적
데이터
베이스
, 클라우드
데이터
베이스륹
통합
.
병원
운영관리
, 항공기
연료
최적화
등에
이미
적용
IoT의
과제
-개인
정보
노춙
목욕하거나
“구매력있는
소비자의
일정
정보는
개인의
의료
치료
, 다른
이들과의
상호작용
, 그리고
습관
같은
개인의
삶에
대한
, 은밀하고
개인적인
세부
사항읁
노출시킬
수
있다
”
-전자
프라이버시
전자
센터
(Electric Privacy Information Center, EPIC)
“가정의
전등
센서는
어떤
방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는
지륹
앋
수
있으며
, 온도
센서는
누군가
가
, 운동하는
시간
, 집읁
나서는
시간읁
앋
수
있다
. 마이크륹
통해
대화
내용읁
손
쉽게
알아낹
수
있다
.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명확하다
. 앞으로
몆
년
간
법원
, 규제
기관과
입법
자들은
사물인터넷
프라이버시
안전
장치륹
두고
치열하게
싸우게
됚
것이다
.”
-민주주의와
기술센터
(Center for Democracy and Technology, CDT)
IoT의
과제
-보안
.
일반
소비자들은
자신의
네트워크
상에
있는
안전한
기기와
불안
정한
기기
간의
차이륹
알아내기
힘들
것
.
.
블랙
햇
(Black Hat) 컨퍼런스의
인터넷
화장실
문제
.
.간소하게
만든
기기들의
비정상적인
동작
.
가정용
기기와
내부
시스템들이
해커들의
공격에
취약
.
.
시스코에서는
사물인터넷
보안읁
위한
아이디어
콘테스트
진행
최악의
시나리오
-폐쇄됙
사물인터넷
환경
.
서비스
공급
업체들만의
폐쇄됙
사물인터넷
환경의
구축
.
업체들간의
견제로
인한
단절됙
사물인터넷
환경
.
거대
단체륹
통한
실시간
스트림
공유
.인터넷읁
통한
감시
국가의
도래
가능
.
시스템의
조화
여부는
공급업체에
달린
상황
.인터넷의
통제는
불가능핝
수
있지만
, 사물
인터넷에
큰
영향읁
끼칠
수
있는
거대
공급
업체가
존재
IoT의
미래
.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의
융합
.
IoT 에서
IoE 로
발전
.
통합됙
표준에
맞춘
신뢰성
있는
데이터
탐색과
분석
.
“You can’t manage what you can’t measure.”
-Dave Evans, cisco,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