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278E44588229983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597344588229990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233E445882299A3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3636445882299A2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5140445882299B0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5EC445882299C1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4C77445882299C0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0B713F5882299D2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0FD93F5882299E2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1F683F5882299E1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7BCD3F5882299F3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0FAF3F588229A022)
우울장애1. 우울증의증상2. 종류와진단기준3. 우울증의원인4. 우울증의치료우울장애1. 우울증의증상2. 종류와진단기준3. 우울증의원인4. 우울증의치료
1. 우울증의
증상
*. 주요증상
우울증은
우울한
기분을
주된
증상으로는
기분장애이지만
다양한
심리
적
문제가
동반된다
. 우선
우울증
상태에서는
우울하고
슬픈
감정을
비
롯하여
좌절감
, 죄책감, 고독감, 무가치감
, 허무감, 절망감
등과
같은
고
통스러운
정서상태가
지속된다
.
슬픔감정지속으로
인해
자주
눈물
, 무표정하고
무감각한
정서상태
,
분노감정이나
불안정하고
짜증스러운
감정
, 일상생활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이
저하
.
신체생리적
변화는
①
식욕이
저하되거나
증가로
인해
체중
변화
②
피곤함을
많이
느끼고
활력이
저하
, 성적인
욕구나
흥미가
저하
③
소화불량이나
두통
같은
증상을
나타나고
이러한
증상에
집착
.
④
면역력이
저하되어
감기와
전염성
질환에
약하고
오래가는
경향
.
2.우울증
종류와
진단기준
.
주요
우울장애
(Major depressive episode)
우울증과
불쾌감이
계속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적어도
2주일
이상
매일
나타나는
증상이
이에
속한다
. 우울상태는
일상생활을
방해할
정도의
우울증상
(depressed
mood) 으로
아래
9가지
중
5가지를
만족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
(1) 기분
: 슬픔, 좌절, 혼란
(2) 관심도
: 모든
일에
관심과
흥미가
없고
슬픔에
잠김
(3) 식욕
: 특별한
섭취
없이
현저한
체중
감소
/증가, 혹은
식욕의
변화
.
(4) 수면
: 수면과다
혹은
불면증
(5) 정신운동성
: 혼란(agitation) 또는
정신지체
(retardation)
(6) 피로, 에너지
손실
(7) 사고
: 무가치
, 지나치거나
부적절한
심각성
(8) 집중력
: 사고, 집중력의
감소
혹은
판단력
결핍
(9) 죽음, 자살에
대한
상상
혹은
행위의
반복
이러한
증상이
2주
이상
거의
매일
나타나고
현저한
기능장애
, 무가치감에
대한
병적인
집착
, 자살에
대한
생각
, 정신적
증상이나
정신성
운동지체가
특징적으로
나타날
때
.
2. 우울증의
종류와
진단기준
.
기분부전장애
(dysthymic disorder)
주요우울장애보다
경미한
증상이
2년
이상
장기간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
①
식욕부진이나
과식
②
불면이나
과다수면
③
활력의
저하나
피로감
④
자존감의
저하
⑤
집중력의
감소나
결정의
곤란
⑥
절망감
중
2가지
이상의
증상이
나타날
때
.
.
양극성
우울증
(bipolar depression)
현재
우울증
상태를
나타내지만
과거에
조증상태를
나타낸
적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
.
단극성
우울증
(unipolar depression)
과거에
전혀
조증상태를
경험한
적이
없이
우울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2. 우울증의
종류와
진단기준
.
외인성
우울증
(반응성
우울증
) (exogenous depression)
가족과의
사별
, 실연, 실직,중요한
시험의
실패
, 가족의
불화나
질병
등과
같
이
비교적
분명한
환경적
스트레스가
계기가
되어
우울증상이
나타난
경우
.
내인성
우울증
(endogenous depression)
환경적
사건이
확인되지
않으며
흔히
유전적요인
호르몬
분비나
생리적
리듬
등과
같은
내부적인
생리적
요인에
의해서
우울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
신경증적
우울증
(neurotic depression)
현실판단에
현저한
손상이
없는
상태에서
다만
우울한
기분과
의욕상실이
나타나
는
경우
.
정신증적
우울증
(paychotic depression)
매우
심각한
우울증상을
나타내고
동시에
현실판단력이
손상되어
망상수준의
부정적
생각이나
죄의식을
지니게
된다
.
.
산후
우울증
(postpartum depression) , 계절성
우울증
(seasonal depression)
3. 우울증의
원인
.
우울증을
설명하는
대부분의
심리학적
이론은
부정적인
생활사건이
우울증
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본다
.
.
부정적인
주요
생활사건과
심리적
충격의
강도
생활사건
충격강도
가까운
가족의
사망
100
친한
친구의
사망
73
부모의
이혼
65
법적
구속
63
심한
신체적
질병
63
해고나
실직
50
중요한
과목에서의
실패
47
가족의
질병이나
손상
45
성적(sexual) 문제
44
생활사건
충격강도
친한
친구와의
심한
다툼
40
경제적
지위의
변화
39
전공의
변화
39
부모와의
갈등
39
학교나
직장에서의
업무증가
37
진학한
첫
학기
35
주거상황의
변화
31
교사와의
심한
언쟁
30
기대보다
낮은
성적
29
3. 우울증의
원인
(1) 정신분석적
이론
.
우울증을
인간의
심리적
문제를
무의식적
동기와
갈등의
문제로
설명하며
Freud 는
우울증을
분노가
무의식적으로
자기에게
향해진
현상이라고
본다
.
어떤
경우이든
, 사랑하는
대상을
상실하는
경험
슬픔,자신을
버려두고
떠나간
대상의
대한
분노
(대상이
사라진
상태
) 분노감정이
자기
자신에
게
자기비난
,책망,죄책감
우울증
.
Sticker(1983) 는
인생초기
가장
중요한
부모를
상상
혹은
실제에서
상실하
고
성장
후에
이혼
, 사별
같이
상실이나
좌절경험을
하게
되면
어린시절
무력감
을
느꼈던
외상적
경험이
되살아나고
어린시절로
퇴행하게
된다
.
이러한
퇴행의
결과로
무기력감과
절망감에
사로잡혀
우울증으로
발전
.
3. 우울증의
원인
(2) 행동주의적
이론
.
우울증이
사회환경으로부터
긍정적
강화가
약화되어
나타나는
형상이라고
본다. Skinner 의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에
기초하여
우울증상은
, 인상의
다른
행동과
마찬
가지로, 이러한
조건형성의
원리에
의해서
학습된다는
것이
행동주의
이론가의
설명이다
.
학습된
무기력
이론
어떤
상황에
좌절경험을
많이
한
사람은
자신이
어떻게
행동해도
좌절하게
되
는
결과가
돌아올
것이라는
무력감이
학습되어
상황을
변화시키기
위한
아무런
노력을하지
않게
된다
.
귀인이론
귀인: “결과의
원인을
…에
돌리다”는
뜻으로
자신이나
타인이
한
행동의
결과
에
대해서
그
원인을
추론하는
과정이며
귀인의
결과는
개인의
행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즉
나쁜
결과는
모두
자신
탓으로
긍정적
결과는
모두
남에게
공
을
돌리는
사람이
우울증
걸리기
쉽다
.
절망감
이론
1988년
Abramson 과
그의
동료들에
의하여
스트레스
-취약성
모델을
수용
하여
발전되었다
. 절망감을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결과의
발생에
대한
부정적
인
기대와
이러한
결과의
발생에
대한
무력감”
이라고
정의하며
우울증을
유발
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본다
.
3. 우울증의
원인
(3) 인지적
이론
.
우울증을
유발하는
일차적
요인은
부정적이고
비관적인
생각이다
. 우울한
사
람들의
내면
세계를
자세히
조사해
보면
부정적이고
비관적인
생각이
만연되어
있다. 이러한
부정적인
생각이
기분을
우울하게
할
뿐만
아니라
부적응적
행동을
초래한다
.
생활
사건
자동적
사고
우울
증상
인지적
왜곡
역기능적
신념
(인지적
오류
)
.
자동적
사고
: 어떤
생각을
자꾸
반복하게
되면
습관화
되어
의식적
자각
없이
자동적으로
진행되어
흘려지는
것
.
역기능적
신념
: 자신과
세상에
대해서
융통성
없는
경직된
신념
, ‘….해야만
다’
또는
‘
…해서는
안
된다’
라는
당위적
명제의
형태를
지니며
현실적인
삶속에
서
실현되기
어려운
것으로서
흔히
좌절과
실패를
초래
3. 우울증의
원인
(4)
생물학적
이론
.
유전적
요인
, 신경전달물질
, 뇌구조의
기능
, 내분비계통의
이상이
우울증과
관련된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
. 우울증을
뇌의
신경화학적
요인으로
설명하려
는
대표적인
이론은
Catecholamine 가성이다
. Catecholamine 은
신경전달
물질을
포함한
호르몬인데
이것이
결핍되면
우울증이
생기고
, 반대로
과다하
면
조증이
생긴다는
것이
이
가설의
요지이다
.
.
우울증이
시상하부의
기능장애로
인해
생긴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고
내분
비
장애가
우울증과
관련되어
있다는
주장도
있다
. 이밖
에도
생체리듬의
이상이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 특히
특정
한
계절에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계절성
우울증은
생체
리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
4. 우울증의
치료
(1) 인지치료
(Beck et al. 1979)
.
우울한
내담자의
사고내용을
정밀하게
탐색하여
인지적
왜곡을
찾아내어
교정함으로써
보다
더
현실적이고
긍정적인
사고와
신념을
지니도록
유도한다
.
.
인지치료는
내담자를
우울하게
만드는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와
역기능적
신념을
찾아내고
변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구체적
기법들
(A-B-C 기법, 소크라
테스식
대화법
, 설문지
검사법
, 일기쓰기
, 행동실험법
, 하향화살표법
등
)을갖
추고
있다
. 약물치료와
달리
부작용이
없으며
치료효과가
지속적이어서
재발률
이
낮다
.
(2) 정신역동적
치료
.
내담자의
무의식적
갈등을
잘
파악하여
내담자에게
적절한
방법으로
직면시
키고
해석해준다
. 아울러
내담자가
비현실적인
이상적
소망을
현실적인
것으로
변화시키고
이러한
소망을
성취하기
위한
새로운
생활
방식과
대인관계방식을
찾도록
도와주게
된다
. 내담자의
우울증상을
삶의
전반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우울증에
대해서
심층적이고
포괄적인
치료적
접근을
하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
4. 우울증의
치료
(3) 약물치료
.
우울증에
대한
가장
대표적인
물리적
치료법
. 대표적인
약물에는
삼환계
항
우울제
, MAO 억제제,세라토닌
재흡수
억제제이다
.
.
약물치료는
우울증의
치료에
효과적이지만
몇
가지
한계가
있다
.
첫째,우울증을
겪고
있는
사람
중에는
약물치료를
거부하는
사람들이
많다
.
둘째,대부분의
약물은
여러
가지
부작용을
지니고
있다
.
셋째,일반적으로
약물치료가
효과적이긴
하지만
항우울제에
치료효과가
나타
나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
넷째,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지닐
뿐
원인에
대한
치료법이라
할
수
없다
.
복용을
중단한
50% 이상의
환자에게
증상이
재발되었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
.
전기충격치료는
머리에
일정한
전압의
전류를
연결하여
의도적인
경련을
일으키는
방법이다
.
.
계절성
우울증의
경우에는
눈에
아주
적은
양의
자외선을
포함한
빛에
노출시키는
광선치료
(light therapy) 를
사용하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