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제도의 선택: 대통령제 vs. 의원내각제
정치제도의 선택:
대통령제 vs. 의원내각제
문제의 시작
• Linz and Valenzuela
• 1990. “The Perils of Presidentialism”
• 1990. “The Virtues of Parliamentarism”
• 1994. “Presidential or Parliamentary Democracy: Does It Make a Difference?” The Failure of Presidential Democracy
• 대통령제보다 의원내각제가 안정정인 민주주의를 가져온다
문제의 배경
• 1974년 시작된 제3의 민주화 물결 뒤 신생 민주주의 국가의 정치제도의 선택과 그 결과에 대한 평가
• 남부유럽
• 라틴아메리카
• 아시아
• 아프리카
• 동유럽
문제의 끝
• Bernhard, Nordstrom, Reenock(2001)
• 1919~1995 사이의 사례를 통계분석
• Linz의 이론이 틀렸다고 주장
• 정치제도와 민주주의의 생존 사이의 상관관계가 적다
• 정치제도가 그 사회의 정당체계나 맥락에 따라 다르게 작용
연구의 흐름
• Pro-Linz, Pro-Parliamentarism: Easter(1997), Fabbrini(1995), Lijphart(1992), Mainwaring(1993), Riggs(1988), Stepan and Skach(1993), Valenzuela(1993)
• Pro-Presidentialism: Mainwaring and Shugart (1997), Horowitz(1990), Lardeyret(1991), Lopez-Pintor(1987), Reynolds(1995), Shugart and Mainwaring(1997)
잊지 말아야 할 것
• 의원내각제가 더 민주적인 제도?
• 의원내각제가 권력분립?
• 권력의 분립 vs. 권력의 융합
정치제도의 종류
• 의원내각제: 영국, 독일, 일본
• 대통령제: 미국, 코스타리카
• 이원집정제: 프랑스, 핀란드
• 한국은?
영국의 의원내각제
• 중세: 1년에 수회 Great Council(봉건귀족의 대회의) 소집, 왕의 자체수입으로 지출
그 외 전쟁 등 추가비용 논의
• 13C: 왕이 추가징세를 위해
봉건귀족 외 주와 도시의 대표자 소집
• 개인 자격(상원, House of Lords)
• 지역 대표(하원, the Commons)
영국의 의원내각제
• 1215: Magna Carta, King John
• Henry II세 뒤 강화된 왕권에 대항하여 대귀족과 성직자 연합의 결과
• 왕도 법 위에 군림할 수 없고 법에 제약
• 왕과 신민의 계약관계 신민이 강제할 수
• 왕의 조세권과 재정지출에 대한 귀족통제
• 대표없이 과세 없다 효시
영국의 의원내각제
• 1258: Provisions of Oxford, GC는 3회/1년
• 1264: Parliament, 군주제를 계몽과두정으로 교체, 주에 기사 2명과 도시에 시민 2명
• 1295: Model P. 40개 주와 114개 시에서 2명의 평민대표
• 1295: 성직자와 기사의 회합, 과세문제 논의
• 의회역할: 왕권강화, 왕권견제, 최고법정
• 1376: 가신에 대한 탄핵제도
영국의 의원내각제
• 14C 말: Edward III 의회 입법권 확보
(과거에는 왕이나 가신의 입법제안 승인정도)
• 의회: 입법권과 조세재정권 확보
• 십자군원정, 백년전쟁, 30년의 장미전쟁
• 봉건영주와 귀족세력이 약화
영국의 의원내각제
• 1559: Elizabeth 왕이 영국국교 수장(수장령)
• 여왕 45년 재위에 의회 14회 소집
• 재정확보위해 관직매매, 왕지매각, 해적투자이윤배당 추구
• 의회 운영절차 완비
• 법안 삼독회, 하원 강화, 상임위원회, 왕에 대한 발언의 자유, 불체포특권
영국의 의원내각제
• 1604: 왕권 도전, 귀족에서 평민으로 이전
• 절대왕권 vs. 의회주권: 과세, 신구교 갈등
• James I, Charles I: 왕권신수설, 국교회 지원, 청교도 박해, 중과세
• 1628: Petition of Right(왕권제한 왕 승인)
• 1629: 권리청원 취소, 11년 의회 소집없어
• 1649: 왕당파와 의회파 청교도혁명 결과 Charles I 처형, 공화정 수립
영국의 의원내각제
• 1660: 의회선거에서 왕당파 다수파 왕정복귀
• Tory(왕당파, 궁정당)
• Whig(의회파, 지방당)
• 1689: Bill of Rights, Glorious Revolution
• 법치, 의회주의, 국민에 통제되는 정부
• 1714: George I 독일 출신, 내각제의 기원
• 왕은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다
• 의회 왕의 영향력 줄어, 의회지지의 내각유지
미국의 대통령제
• 왕정 역사의 부재
• 약한 대통령, 대통령간선제
• 삼권분립, 연방제
• 근대 대통령의 형성 President Wilson
프랑스: 내각제→이원집정제
• 3,4공: 의원내각제
• 3공(1870~1940): 65년 동안 98번 내각 교체
• 4공(1946~1958): 12년 동안 25회 내각 교체
• 군부 쿠데타, 알제리 독립문제
• 5공(1958~): 이원집정제(Sarkozy 대통령제)
• 1958~2002: 17명 수상
독일: 이원집정제→내각제
• 바이마르 공화국: 이원집정제
• 대통령: 의회해산권, 긴급령
• 브뤼닝 대통령: 정부발의안→의회부결→긴급령발동통과, 의회의 긴급령폐지시도→의회해산 → → → Hitler 등장
• 연방제와 내각제 전환
정치제도의 정의 1
• 임기
• 대통령제: 헌법에 정해진 임기 보장
• 의원내각제: 의회의 신임 여부에 따라(정해진 임기 엄존)
정치제도의 정의 2
• 선출방식
• 대통령제: 국민 보통선거(직접,간접선거)
• 의원내각제: 의회에서 다수당(연합)의 대표
• 영국: 국왕이 다수 정당의 당수 임명
• 일본: 국회에서 수상 선임하여 지명
정치제도의 정의 3
• 책임
• 대통령제: 대통령이 책임
• 의원내각제: 수상과 내각의 집합적 책임
• 영국: 내각 과반수의 찬성 관례
• 일본: 의결이 전원일치제 관례
• 상, 하원?
이원집정제의 정의
• Duverger(1980)
• 대통령은 국민의 보통선거로 선출
• 대통령은 강력하고 실질적인 권한
• 수상은 의회의 신임에 의존
의원내각제와 이원집정제의 유사점
• 수상(총리)과 대통령의 존재: (독일, 인도) vs.(프랑스, 핀란드)
• cf. 수상과 왕: 영국, 일본, 유럽의 입헌군주제
• 수상은 내치, 대통령은 외치
의원내각제와 이원집정제의 차이점
• 의원내각제의 대통령: 상징적, 의식적 존재
• 이원집정제의 대통령: 수상과 대등한 존재, 의회 해산권 보유
이론적 검토 1
• 대통령제의 여섯 가지 본질적 결함(Linz)
• 민주주의의 이중 정통성(dual legitimacy)
• 분점정부, 교착상태, 정국 마비
이론적 검토 2
• 정해진 임기(fixed term)의 비유연성(rigidity)
• 인기 없고, 무능하고, 부패한 대통령
• 탄핵과 선거 등 헌법적 절차로 교체 가능
• 정해진 임기는 예측가능성 제고
이론적 검토 3
• 승자독점(winner take all), 제로섬 게임(zero sum game)
• “the value of victory, W, is greater and the value of defeat, L, is smaller under presidential than under parliamentary systems” (Linz 1994, 14-5)
• 선거? 제도?
이론적 검토 4
• 재임 불가 조항
• 능력 있는 대통령이 단임에 그치는 상황
• 연임, 중임 대통령제
• 단임 대통령제의 배경과 역사적 의의
이론적 검토 5
• 대통령제의 정치적 특색
• 대통령제는 한 사람에게 권한이 과도하게 집중
• 위임적 대통령제(delegative democracy)
• 대통령제의 대표적 문제점
이론적 검토 6
• 비전문가의 선거 도전 및 대통령직 승계
• 1980년대 중반 브라질의 대통령 당선자가 취임 직전에 사망 2등 당선자가 승계
• 미국의 페로, 한국의 정주영
• cf. 이원집정제의 대통령(라트비아)
총괄 평가
• 대통령제 정의의 부정: 1, 2, 4, 6
• 편파적인 평가: 3
• 타당성있으나 다른 제도도 권력의 집중성향있음: 5
이론적 검토 1-1
• 의원내각제의 교착, 마비: 정부구성과정, 연합정부 구성, 운영과정, 의석 차가 적은 거대정당의 갈등, 의회(수상) 불신임
• 이원집정제의 교착, 마비(프랑스의 동거정부)
프랑스의 동거정부
• 1986~1988: 좌파 Mitterrand 대통령과 우파인 Chirac 수상
• 1993~1995: 좌파인 Mitterrand 대통령과 우파인 Balladur 수상
• 1997~2002: 우파인 Chirac 대통령과 좌파 Jospin 수상
이론적 검토 2
• 정해진 임기(fixed term)의 비유연성(rigidity)
• 인기 없고, 무능하고, 부패한 대통령
• 탄핵과 선거 등 헌법적 절차로 교체 가능
• 정해진 임기는 예측가능성 제고
이론적 검토 2-2
• 의원내각제의 유연성: 잦은 불신임과 의회 해산은 비연속성과 비생산성
• 의원내각제 국가에서는 수상이 인기가 없거나 불신임 받아도 내각만 희생양으로 교체해 장기집권(말레이시아), (한국과 필리핀의 의원내각제 도입시도 배경)
의회해산의 예
• 독일의 바이마르 공화국 이원집정제 (1919~1933) 수상12회, 내각 21회 교체
• 독일(1945~1994):18개 정부, 평균 32개월
• 이태리(1946~1994): 53개 내각, 평균 11개월
• 이태리(1946~2001): 59회 내각, 평균10개월
이론적 검토 3
• 승자독점(winner take all), 제로섬 게임(zero sum game)
• “the value of victory, W, is greater and the value of defeat, L, is smaller under presidential than under parliamentary systems” (Linz 1994, 14-5)
• 선거? 제도?
이론적 검토 3-3
• 대통령제가 승자독점, 제로섬 게임이 아닌 예
• 의원내각제가 승자독점, 제로섬 게임인 예
영국의 의원내각제
이론적 검토 4
• 재임 불가 조항
• 능력 있는 대통령이 단임에 그치는 상황
• 연임, 중임 대통령제
• 단임 대통령제의 배경과 역사적 의의
이론적 검토 4-4
• 의원내각제의 장기집권
• 영국: 대처(1979~1990), 메이저(1990~1997), 블레어(1997~2007)
• 독일: 아데나워(1949~1963), 콜(1982~1998)
• 스페인: 곤잘레스(1982~1996)
• 스웨덴: 엘란더(1946~1969)
• 오스트레일리아: 하워드(4선 연임 12년)
이론적 검토 4-4
• 캐나다: Stephen Harper
• Joseph Jacques Jean Chretien(1993-2004)
• Kim Campbell (6,1993–11.1993)
• Martin Brian Mulroney (8.1984–6.1993)
• John Napier Turner (6.1984 –9.1984)
• Pierre Elliott Trudeau (1968-1979,1980-1984)
• Charles Joseph Clark 보수당(6. 1979-3. 1980)
이론적 검토 5
• 대통령제의 정치적 특색
• 대통령제는 한 사람에게 권한이 과도하게 집중
• 위임적 대통령제(delegative democracy)
• 대통령제의 대표적 문제점
이론적 검토 5-5
• 의원내각제와 권력의 집중
• 영국의 대처수상
• Brown vs. Sarkozy
이론적 검토 6
• 비전문가의 선거 도전 및 대통령직 승계
• 1980년대 중반 브라질의 대통령 당선자가 취임 직전에 사망 2등 당선자가 승계
• 미국의 페로, 한국의 정주영
• cf. 이원집정제의 대통령(라트비아)
이론적 검토 6-6
• 헌법적인 절차에 따라 당선, 계승
• 의원내각제 비전문가 수상: 이탈리아의 베를루스코니, 태국의 탁신
• 캐나다 수상: Pearson (역사학자), Tupper (의사), Bowell (사업가), Mackenzie (건축가)
총괄 평가
• 대통령제 정의의 부정: 1, 2, 4, 6
• 편파적인 평가: 3
• 타당성있으나 다른 제도도 권력의 집중성향있음: 5
통계적 검토 1
• Lijphart(1995)
• 대통령제-다수제가 민주주의적으로 작동 못해
• 동의제 민주주의(consociational democracy)가 다른 제도보다 우월
• selection bias, 사례 적어(12-15개)
통계적 검토 2
• Stepan and Skach(1993)
• 의원내각제에서 민주주의가 더 잘 작동하고 더 오래 살아남으며 군사적 쿠데타가 더 적게 일어난다
• selection bias: 1979~1989 사이에 오래된 민주주의 국가만 대상
• 신생민주국가 제외, 의원내각제 다수 포함
통계적 검토 3
• Mainwaring(1993) 라틴아메리카(브라질)?
• 대통령제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대통령제와 다수당제가 결합했을 때 위험
• 과거 25년 동안 연속적으로 발전된 31개 민주주의 국가들 사례 선정
유효정당의 수
• 선거수준(선거정당): 선거에서 의미있는 득표를 획득하는 정당의 수
• 의회수준(의회정당): 독자적으로 권력을 쥐거나 연합정부를 구성하여 권력을 나누어가질 능력을 가지는 정당의 수
• 양당제: 의회정당의 유효수가 2.0에 근접
• 다당제: 의회정당의 유효수가 커질수록
통계적 검토 4
• Power and Gasiorowski(1997)
• 1930~1995 사이 제3세계 국가의 민주화 사례 56개
• 정치체제의 선택과 민주주의적 생존 사이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
• 대통령제의 수명과 안정성은 의원내각제와 별 차이가 없음
통계적 검토 4
• 첫째, 대통령제 31.3%와 의원내각제의 25%가 민주화 뒤 두 번째 민주적 선거가 일어나기 전 붕괴
• 둘째, 대통령제 46.7%와 의원내각제 45.8%가 정권 교체 이전 붕괴
• 셋째, 대통령제 61.5%와 의원내각제 63.6%가 민주화 이후 12년 안 붕괴
통계적 검토 5
• Bernhard, Reenock, and Nordstrom(2001)
• 1919~1995 사이의 모든 민주주의 국가들에서 정치제도와 민주주의의 생존 또는 안정성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
• 민주주의 생존 여부는 대통령제와 의원내각제가 그 사회의 정당 체계와 구체적으로 어떻게 결합하는가에 좌우
통계적 검토 5
• Bernhard, Reenock, and Nordstrom(2001, 797)
• 사례를 가장 많이 포괄
• 자신들의 연구결과는 Linz의 “가설로부터 멀리 벗어나는 것”
통계적 검토 6
• Bernhard, Reenock, and Nordstrom(2003)
• 1951~1995 사이의 모든 민주주의 국가들을 사례로 정치제도와 민주주의 생존 또는 안정성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
• 대통령제가 의원내각제에 비하여 더 민주주의를 붕괴시키기 쉬운 제도라고 할 수 없다
결론 1
• Linz의 주장대로 대통령제의 본원적 결함이나 의원내각제의 우월성을 입증하기는 어려워
• 대통령제와 의원내각제는 서로 trade-off관계
결론 2
• 어느 제도가 본질적으로 우월하거나 민주적이지 않기 때문에 제도의 선택은 맥락이 중요
• Path dependent theory (historic legacy)
• Rational choice theory
결론 3
• 한국에서 개헌을 논할 때 어느 제도가 한국적 상황에 적합한지가 선택의 기준
• 국민의 선호도
• 역사적 배경
• 정치문화
• 의원내각제적 전통부재(대화와 타협,양보와 포용)
결론 4
• 의원내각제적 대통령제-이원집정제
• 이승만: 제헌, 발췌개헌, 4사5입 개헌
• 박정희: 유신개헌
• 전두환: 7년 단임제
• 노태우: 5년 단임제
'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중근 (0) | 2015.06.30 |
---|---|
여름 독일 뮌헨로 여행가기(경비) (0) | 2015.06.23 |
구름 어떻게 생성 그리고 종류 (0) | 2015.06.01 |
최초의 핸드폰과 역사 (0) | 2015.05.24 |
김치 (0) | 201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