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veryday Effect

블로그 이미지

MSNU

녹림(綠林)농단(壟斷)

librals 2013. 9. 10. 00:05

녹림(綠林)

綠:초록빛 록.  林:수풀 림.

[동의어] 녹림호객(綠林豪客)

[유사어] 백랑(白浪). 백파(白波). 야객(夜客).

[출전]《漢書》〈王莽傳〉.《後漢書》〈劉 傳〉

푸른 숲이란 뜻으로, 도둑 떼의 소굴을 일컫는 말.

전한(前漢:B.C. 202~A.D. 8) 말, 왕실의 외척인 대사마(大司馬) 왕망(王莽)은 한 왕조를 무너뜨리고 스스로 제위에 올라 나라 이름을 신(新:8~24)이라 일컬었다.

왕망은 농지, 노예, 경제 제도 등을 개혁하고 새로운 정책을 폈으나 결과는 반대였다. 복잡한 제도에 걸려 농지를 잃고 노예로 전락하는 농민들이 점점 늘어났다. 또한 화폐가 8년 동안에 네 차례나 바뀌는 등 경제정책 역시 실패로 끝나는 바람에 백성들의 생활은 날로 어려워졌다. 그래서, 왕망은 백성들은 물론 귀족들로부터도 심한 반감을 샀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서북 변경의 농민들이 폭동을 일으키자 이를 계기로 전국 각지에서 대규모의 반란이 잇따라 일어났다.

그 중에서도 지금의 호북성 당양현(湖北省當陽縣) 내의 녹림산에 근거지를 둔 8000여의 한 무리는 스스로를 ‘녹림지병(綠林之兵)’이라 일컫고 지주의 창고와 관고(官庫)를 닥치는 대로 털었다. 그 후 이 녹림지병은 5만을 헤아리는 대세력으로 부상했는데 후한(後漢)을 세운 광무제(光武帝:25~57) 유수(劉秀)는 그들을 십분 이용하여 왕망의 신 나라를 무너뜨리는 데 성공했던 것이다.





농단(壟斷)

壟:언덕 롱.  斷:끊을 단.

[원말] 농단(籠斷). [출전]《孟子》〈公孫추篇(공손추편)〉

(깎아 세운 듯이) 높이 솟아 있는 언덕이란 뜻. 곧 ① 재물을 독차지함. ② 이익을 독점함.

전국시대, 제(齊)나라 선왕(宣王) 때의 일이다. 왕도정치(王道政治)의 실현을 위해 제국을 순방 중이던 맹자는 제나라에서도 수년간 머물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귀국하려 했다. 그러자 선왕은 맹자에게 높은 봉록을 줄 테니 제나라를 떠나지 말아 달라고 제의했다. 그러나 맹자는 거절했다.

“전하, 제 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데도 봉록에 달라붙어서 ‘재물을 독차지[壟斷]’할 생각은 없나이다.”

이렇게 말한 맹자는 ‘농단’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농단’은 ‘깎아 세운 듯이 높이 솟아 있는 언덕’이란 뜻인데, 전하여 ‘재물을 독차지한다’, ‘이익을 독점한다’는 뜻으로 쓰이게 된 데는 이런 이야기가 있다.

먼 옛날에는 시장에서 물물 교환을 했었다. 그런데 한 교활한 사나이가 나타나 시장의 상황을 쉽게 알 수 있는 ‘높은 언덕[壟斷]’에 올라가 좌우를 살펴서 장사함으로써 ‘이익을 독점’했다. 그러자 사람들은 모두 이 사나이의 비열(卑劣)한 수법을 증오(憎惡)하고 그에게 세금을 부과하기로 했다. 이 때부터 장사꾼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제도가 생겼다고 한다.





'libra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란지위(累卵之危)능서불택필(能書不擇筆)  (0) 2013.09.12
옵션의 급성장 배경::조립단위(block).다양한 계약조건,embedded  (0) 2013.09.11
변동성(volatility)::옵션가격을 결정하는 다섯 가지 요소중 핵심  (0) 2013.09.09
낭중지추(囊中之錐)노마지지(老馬之智)  (0) 2013.09.08
옵션 프리미엄 계산방법  (0) 2013.09.07
Posted by MSNU






favicon

The Everyday Effect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623)
    • librals (139)
    • PPT (369)
    • 시리즈 (69)
      • 주택관리관계법규_정리 (26)
      • 독일어 (1)
    • HDP MM (34)
      • HDS (0)
      • ND C&P (0)
      • 우체국 알뜰폰 (34)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