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만제국? 그곳은 어디인가?
• 건국과 확장
• 13세기 말에 동로마 제국과 룸 술탄국의 국경 지대인 아나톨리아 서북부에 등장한 유목 부족장 오스만 1세가 인솔한 군사 집단이 오스만 제국의 기원으로 보고 있다. 이 집단의 성격에 대해서는 유목민 집단이었다는 설이 널리 알려졌지만, 일반적으로는 오스만을 지도자로 하는 무슬림 가즈(성역에 종사하는 전사)들이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그들 오스만 집단은 주변의 기독교 세력이나 이슬람교를 신봉하는 영주 및 군사 집단과 싸우기도 하고 손을 잡기도 하면서 점차 영토를 확대해나가, 나중에 오스만 제국으로 발전하게 되는 오스만 군후국(Osmanlı Beyliği)을 건국하였다.
오스만제국의 전성기.
• 오스만 제국의 최전성기 [편집]
• 쉴레이만 1세
• 제10대 군주인 쉴레이만 1세 때에 이르면 오스만 제국의 국력은 더할 나위 없이 막강해져 능히 다른 나라를 압도하기에 이르렀으며, 그 영역은 중앙유럽과 북아프리카에까지 확장되었다.
• 쉴레이만 1세는 즉위하면서 우선 베오그라드 정복으로 헝가리에 진출하였다. 그리고 로도스 섬에서 무슬림에 대한 해적 행위를 벌이고 있던 성 요한 기사단을 쫓아내면서 동지중해의 해상권을 장악하였다. 1526년에는 모하치 전투를 통해 헝가리군을 격파, 헝가리의 땅 대부분을 점령한다. 한편, 동쪽으로는 사파비 왕조를 공격하여 바그다드까지 손에 넣었으며, 남쪽으로는 예멘에 출병하여 아덴을 정복하였다.
• 신성로마제국과 대립하고 있던 프랑스의 프랑수아 1세와 동맹을 맺은 쉴레이만은 1529년에 신성로마제국의 수도 빈을 1개월 이상에 걸쳐 포위하였다. 비록 이 작전은 실패로 끝났지만, 오스만군이 서유럽 내 깊숙이까지 들어와 위협한 이 사건은 당시 서구 국가들에겐 큰 충격이었다. 게다가 1538년 프레베자 해전에서는 스페인과 베네치아 공화국 등을 위시한 기독교 세계의 연합 함대를 대파시켜, 거의 지중해 전역을 손아귀에 넣는 데 성공했다.
• 쉴레이만의 치세는 이처럼 훌륭한 군사적 성공 외에도 건국 이래 오스만 제국이 형성해 온 국가제도가 완성단계에 이르러, 제도상의 파탄이 없었던 훌륭한 이상의 시대로 기록되기도 한다. 그러나 동시에 쉴레이만의 치세는 국가제도의 전환기가 시작된 때이기도 하였다. 쉴레이만 이후, 전쟁터에서 군주가 앞장서서 출정하는 일도 없어졌으며, 정치조차도 거의 재상이 처리하게 된다.
오스만제국의 쇠퇴?
• 국내정치의 혼란과 쇠퇴
• 레판토 해전
• 쉴레이만이 죽은 지 5년 후인 1571년, 레판토 해전에서 오스만 함대는 기독교 세계의 연합 함대에게 패하여 지중해의 패권을 상실했다. 그렇다고 해서 오스만 제국이 유럽 제국보다 열세로 돌아선 것은 아니며, 그 국력은 여전히 강대하였으며 또 지중해의 해상권이 순식간에 오스만 제국에서 벗어난 것도 아니었다. 제국 함대는 패전한 지 반년 만에 동규모의 함대를 재건하여, 1573년에 사이프러스 섬을, 다음해에는 튀니스를 획득하였다.
• 그러나 18세기부터 힘이 약해졌다. 이는 1789년 프랑스 대혁명의 여파로 절대군주로부터의 민주혁명과 각 민족별 독립을 추구하는 세계적인 흐름 선상에서 오스트리아를 비롯한 유럽 국가들이 땅을 되찾는 한편, 아랍인을 비롯한 피지배 민족들의 독립운동이 일어났다. 1830년에는 그리스가 왕국으로 독립하고, 영국과 프랑스, 러시아의 침략을 받는다.
• 오스만 제국은 이러한 제국 내외로부터의 도전에 제대로 대응할 수가 없었고, 결국 유럽측으로부터 빈사상태인 환자라고 불리는 모욕을 받기에 이르렀다.
'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명의 연속성 - DNA (0) | 2017.07.10 |
---|---|
영업 비밀유출의 예방과 대책 (0) | 2017.07.08 |
독일통일과 비스마르크 (0) | 2017.06.25 |
노로 바이러스 원인 및 예방대책 (0) | 2017.06.23 |
단거리 달리기의 과학적 원리 이해 (0) | 2017.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