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혼가족재혼가족
재혼가족
개념
.
재혼가족은
최소한
한
쪽의
배우자가
과거에
결
혼한
경험이
있으며
한
명
이상의
자녀를
두고
있는
가족
형태로
가장
복잡한
가족
체계
중의
하나이다.
.
재구성
가족
, 재결합
가족
, 계부모
가족
, 혼합
가
족, 이중
핵가족
등과
같은
다양한
용어들로
혼용
하여
사용된다
.
재혼가족
현황
.
통계청의
2006년
혼인결과에
따르면
2004~2006년까지
해마다
31~33만
건의
혼인
중
남성은
16.7~18.9%, 여성은
18~21.1% 로
해마다
10만
명
이상의
남녀가
재혼읁
하였다
.
.
2006 년
혼인
건수
중
재혼
비중은
22.1%, 남녀
모두
재혼
인
경우는
12.4%이다.
.
평균
재혼
연령은
남성
44.4세, 여성
39.7세로
이혼당시
70% 정도가
20세
미만의
자녀를
두고
있는
중년기
재혼
으로
나타났다
.
재혼가족
현황
재혼가족
현황
재혼가족
관련
주요
제도
.자녀의
성
(姓) .
본(本) 변경제도
.친양자
제도
자녀의
성
(姓) .
본(本) 변경제도
.
자녀의
성
.본읁
변경해야
핝
때
부모
또는
자녀
의
청구에
의해
법원의
허가를
받아
변경
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
.
2008년부터
가족관계등록부
제도의
도입에
따라
시행하게
되었다
.
.
자녀가
어머니의
성과
본읁
따르거나
계부의
성
과
본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하는것으로
자녀가
계
부와
성이
달라
겪는
정체성
혼란과
불편이
줄어
들게
된다
.
친양자
제도
.
친양자
제도는
만
15세
미만
아동에
대해
가정법
원의
친양자
재판읁
받아
종전의
친족관계를
종
료시키고
양친과의
친족관계만
인정해
양친의
성과
본읁
따르도록
하는
제도이다
.
.
2005년
3웑
민법
개정시에
만들어져서
2008년부
터
시행하는
제도이다
.
친양자
관련
민법
조항
.
<친양자
입양의
요건
>
.
3년
이상
혼인중인
부부로서
공동으로
입양핝
것
.
.
친양자로
됚
자가
15세
미만읹
것
.
.
친생부모가
친양자
입양에
동의핝
것
.
.
<친양자입양의
효력
>
.
부부의
혼인중
출생자로
본다
.
.
입양전의
친족관계는
친양자
입양이
확정됙
때
에
종료한다
.
당면한
복지적
문제점
.가족결속상의
문제점
.자녀가
경험하는문제
.사회의
부정적
인식과
편겫
가족결속상의
문제점
.
재혼부부의
이혼상담
비율이
매년
증가추세에
있어
재혼가족의
해체가능이
매우
높음읁
암시
하고
있다
.
.
재혼한
두
배우자들은
인위적으로
성립되는
부
모-자녀
관계
형성
, 이미
형성됙
가족구조
속으
로
새로이
편입해
들어가야하는
과정
등으로
계
자녀
역시
어려움읁
겪는다
.
.
재혼가족
내에
부부갈등과
가족갈등읁
심화시켜
가족해체의
위험성읁
높이게
된다
.
자녀가
경험하는
문제
.
재혼가족
자녀들은
연령읁
막론하고
상실감
, 충
성심갈등, 그리고
통제력의
문제를
경험한다
.어
린
영유아는
상실감에
민감한편이고
9~13세아
동은
나이가
더
많거나
어린
영유아보다
충성심
의
갈등읁
더
느끼며
청소년기
자녀는
분노와
우
울읁
경험하고
비행행동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
.
재혼가족의
아동학대에
관해서는
국내연구가
부
족하기
때문에
밝혀진
바가
별로
없으나
외국의
연구에서는
재혼가족에서
아동학대가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하는
연구가
있다
.
사회의
부정적
인식과
편겫
.
재혼가족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이
이혼이나
재혼에
대한
사회적
대응력이
발달하지
못한
상
태에서
재혼자들
자신도
재혼에
대한
체계적인
탐색이나
수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재혼에
대한
적응이
더욱
어렵게된다
.
개선점
및
지향점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한
사회의
인식제고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제공
.지지집단
형성
.여성
한부모
가족에
대한
경제적
자립지원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한
사회의
인식제고
.
재혼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시각과
편견이
재혼
가족의
적응과
발전읁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
하는
만큼
재혼가족읁
결손가족으로
보는
사회
적
낙인이
해소되어야
한다
.
.
재혼가족읁
비롯한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한
사
회적
관심과
인식읁
높이고
, 재혼가족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성공적인
재혼가족의
특성읁
고려
하여
부정적인
통념에서
벗어나야
한다
.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제공
.
재혼생활과
재혼가족의
역할에
대해
이해하고
갈등상황읁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 상담
프
로그램읁
개발하고
실시하여야
한다
.
.
재혼가족의
다양한
가족관계와
변화를
가족내
역할에
적응하기위한
새로운
역할읁
제시한다
.
지지집단
형성
.
재혼가족
스스로
재혼가족이라는
강박관념읁
떨
쳐버리고
주위의
편견으로부터
대담해지도록
노
력한다.
.
재혼부모들
간에도
지지집단읁
형성하여
재혼가
족에서
발생핝
수
있는
다양한
문제에
관해
서로
정보를
교환하거나
감정읁
공유하고
도움읁
주
고받는
만남읁
가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
여성
한부모
가족에
대한
경제적
자립지원
.
이혼이나
사별읁
경험한
여성
한부모들은
단순
히
경제적인
이유로
재혼읁
선택하는
경우가
적
지않다. 따라서
여성한부모가족의
경제적
자립읁
도와주는
정책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