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성리학과 불교
성리학과 불교
사림파와 훈구파의 비교
기(氣)와 이(理)
우주는 이와 기의 결합으로 존재
주기파와 주리파
주기파와 주리파
이황과 이이
학파와 당파
예학 (禮學)
• 배경 : 17세기 유교질서 회복이 강조되면서 중시(왜란 이후)
• 성격 : 형식. 명분. 의례 중시 예치(禮治) 강조, 주자가례
• 인물 : 김장생(金長生) , 정구(鄭逑)
• 폐단 : 지나친 형식주의. 정쟁구실. 예송논쟁(禮訟論爭)
보학 (譜學)
• 문벌 형성. 신분우위성 유지.
• 족보의 기록과 암기를 중시.
• 종족 내부의 결속 강화와 위계 존중.
• 문벌 권위 과시
불교에 대한 통제
• 도첩제(度牒制) : 승려의 수 제한(태조)→폐지(성종: 승려길 차단)
• 사원의 토지와 노비 몰수(태종) 242사찰만 남김→ 집권 세력의 경제적 기반 강화
• 교단 정리 : 선•교 양 종 36사만 인정. 사원 건립 억제(세종)
불교의 잔존 기능
• 궁중불사-내원당, 내불당. 왕실 안녕과 왕족 명복 기원 행사
• 세조 : 불교 진흥책[원각사 10층 석탑 건립, 간경도감(刊經都監) 설치] 석보상절(수양대군)
• 성종 : 기능 약화[사림의 적극적 비판-산간(山間) 불교화]
• 명종 : 불교 회복 정책[문정왕후(文定王后, 1501~65)의 지원. 보우(普雨, ? ~1565) 중용. 승과(僧科)부활
조선에서의 불교 위상
• 불교의 위상 재정립 : 임진왜란 때 승병(僧兵)의 활약-휴정(서산대사), 유정(사명당), 영규대사
• 불교의 사회적 위상 약화 : 사원의 경제적 기반 축소, 우수한 인재들의 출가 기피.
도교
• 도교 위축 - 사원 정리, 행사 축소,
• 초기 15세기 : 소격서(昭格署)(도교식 제천 행사 주관-국가의 권위 고양). 마니산 참성단 초제(醮祭)
• 16세기 이후:
– 사림의 진출로 도교 행사는 사라져 감
– 정신 수양에 도움을 주는 종교로 관심의 대상이 됨
민간신앙
• 풍수지리설과 도참사상 중시 : 한양 천도에 반영, 묘지 선정에 영향(산송 문제 증가)
• 기타 : 무격신앙, 산신 사상, 삼신 숭배, 촌락제
• 세시풍속+유교 이념=조상숭배와 촌락안정 기원 의식화
한라산(영주산)
• 삼신산: 봉래산(蓬萊山), 방장산(方丈山), 영주산(瀛州山)
• 중국의 오악: 동악 태산, 서악 화산, 남악 형산, 북악 항산, 중악 숭산
• 신라의 오악은 토함산, 지리산, 계룡산, 태백산, 부악(父岳, 지금의 대구 팔공산)
• 고려시대: 덕적산(德積山, 경기도 개풍), 백악산(白岳山, 서울 북악산), 송악산(松岳山), 목멱산(木覓山, 서울 남산)
• 태조 이성계 :금강산, 지리산, 삼각산(북한산), 묘향산, 오대산
지리산(방장산)
15세기 과학기술학 발달 배경
• 부국강병과 민생 안정을 위한 과학 기술의 중요성 인식,
• 16세기 침체
천문학의 발달
• 기구 발명 - 혼천의, 간의(천체관측기구), 앙부일구(해시계), 자격루(물시계), 측우기(강우량측정),인지의, 규형(토지 측량 기구 - 양전과 지도제작에 활용)
• 천문도 제작 -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국보 228호.
• 역법 - 칠정산(七政算)
앙부일구
역법(칠정산: 七政算)
• 정초 지음.
• 세종 대 천문 연구의 최종 결산. 수시력과 회회력을 참고.
* 내편(內篇) - 중국의 전통적 방법에 의한 계산법.
* 외편(外篇) - 아라비아 방식에 의한 계산법. 1 년 365.2425일, 한달 29.530593일로 매우 정밀함
의학
• 향약집성방(우리 풍토에 맞는 약재와 치료)
• 의방유취(의학 백과 사전)
농서
• 농사직설(세종 때 정초. 우리나라 최초의 농서)
• 금양잡록(성종 때 강희맹. 경기도 시흥 지방의 농사법 정리)
농업기술의 발달
• 밭농사 : 조•보리•콩의 2년 3작 널리 시행,
• 논농사 : 남부지방 일부에서 벼와 보리의 이모작 실시
• 벼농사
• 건사리(건경법) - 마른 땅에 종자를 뿌려 일정한 정도 자란 다음에 물을 대 주는 농법
• 물사리(수경법) - 무논에 종자를 직접 뿌리는 농법
• 모내기법(남부 지방 일부), 시비법의 발달, 농경지의 상경화 확립, 가을갈이 농법보급
• 면화 재배의 전국 확대, 삼•모시 재배 성행, 누에치기 확산
활자 인쇄술과 제지술
• 태종 - 주자소(鑄字所) 설치•계미자(癸未字) 주조,
• 세종 - 갑인자(甲寅字) 주조, 식자판 조립 방법 창안
• 제지술 : 조지서(造紙署) 설치(세종) - 다양한 종이의 대량 생산, 많은 서적 인쇄
병서
• 총통등록(銃筒謄錄) - 화약 무기의 제작, 사용법 정리(세종)
• 동국병감(東國兵鑑) - 고조선∼고려 말까지의 우리나라 전쟁사(문종)
• 병장도설(兵將圖說) - 군사훈련의 지침서(성종)
무기제조
• 화약 무기 : 최해산(최무선의 아들)의 활약(제조 담당).
* 화포(火砲) - 사정거리 최대 1,000보
* 화차(火車) - 신기전(神機箭)이라는 화살 100개를 잇따라 발사. 일종의 바퀴 달린 로케트포. 사정거리 1km
병선의 제조
• 기술의 발달 - 수군의 전투력 향상
: 거북선[龜船] 제조(태종) = 돌격용 배
비거도선(鼻居刀船) 제조 = 작고 날쌘 전투선
- 16세기 이후 사림의 과학 기술 경시 풍조로 침체
신기전
신기전
산화신기전 발사
문학 작가
• 조선 건국에 참여한 관료 문인
- 새 왕조의 탄생과 업적 찬양(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 우리 민족의 자주의식 표현(서거정의 동문선(東文選))
• 고려에 충절을 지키려는 사대부(길재, 원천석 등)
양상의 변화
• 격식 존중, 질서와 조화 추구(초기). 개인적 감성과 심성 표현하는 가사와 시조 우세
15세기의 문학
• 악장, 한문학 : 왕조 개창의 업적 찬양, 자주의식 표현(용비어천가•월인천강지곡•동문선)
• 시조(時調) : 패기가 넘치는 시조 (김종서•남이) / 유교적 충절을 읊은 시조(길재•원천석)
• 가사(歌詞) : 유교적 한계 극복하고 감정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려는 필요에서 등장.
• 설화 문학 : 필원잡기(서거정), 용재총화(성현) - 일정한 격식 없이 보고 들은 이야기를 적은 것. 불의를 폭로, 풍자하는 내용이 많음.
• 소설 : 금오신화(김시습) - 구전 설화에 허구적 요소 가미
16세기의 문학
• 사림 문학 - 표현 형식보다는 흥취와 정신 중시 한시와 시조•가사 분야 활성화
• 한시 - 현실에 대한 비판 의식 감소. 높은 격조 유지.
• 시조 - 순수한 인간 본연의 감정 표현(황진이•윤선도)
• 가사 문학 - 송순•정철•박인로
15세기의 건축
• 궁궐•관아•성문•학교 등의 건축 중심
• 신분에 따라 크기와 장식의 제한 : 국왕의 권위 강화, 유교적 신분 질서 유지 목적
• 궁궐과 도성 건축 - 경복궁•창덕궁(돈화문)•창경궁(명정전)•숭례문•개성 남대문•평양 보통문
• 불교 건축 - 무위사 극락전(강진), 해인사 장경판전, 원각사지 10층 석탑(대리석)
16세기의 건축
• 서원 건축 - 경주 옥산 서원(이언적), 안동 도산 서원(이황)
• 강당(교육 공간)을 중심으로 사당과 기숙시설(동재와 서재)을 갖춤.
• 가람 배치 양식과 주택 양식의 실용적 결합(독특한 아름다움).
• 주위의 자연과 아름다운 조화.
도자기
• 분청사기, 옹기그릇(15세기) : 자기소와 도기소에서 제작. 광주의 사옹원 분원에서 생산.
- 제작 : 청자에 백토의 분을 칠한 것. 연한 청색의 투명한 유약을 사용
- 특징 : 안정된 그릇 모양. 소박하고 천진스러운 무늬. 정형화되지 않으면서 구김살 없는 우리의 멋 표현
• 백자(16세기) : 깨끗하고 담백하며 순백의 고상함을 풍겨 선비들의 취향과 어울림. 고려 백자의 전통 계승, 명나라 백자의 영향
공예
• 목공예(장롱•문갑)
• 돗자리 공예 분야
• 화각 공예
• 자개 공예
• 수와 매듭
그림
• 도화서에 소속된 화원과 문인 화가의 그림
• 15세기 - 독자적인 화풍, 일본의 무로마치 미술에 영향
• 안견의 몽유도원도(夢遊桃園圖) :
• 강희안의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 :
• 16세기 - 송하보월도(이상좌), 정물화(이암•신사임당•이정•황집중•어몽룡)
서예
• 안평대군
• 양사언(초서),
• 한호(석봉체)
음악
• 백성을 교화시키는 수단이며, 국가의 각종 의례와 관련되었기 때문에 중요시됨.
• 16세기 이후 당악과 향악을 속악으로 발전시킴.
• 세종 - 박연 등용(악기 개량과 제작)
- <여민락(與民樂)>창작, 정간보 창안.
- 악곡과 악보 정리케 하여-아악의 체계화.
- 아악의 궁중음악으로의 발전
• 성종 - 악학궤범 편찬(성현)
무용
• 궁중 - 처용무(處容舞)
• 민간 - 농악무•무당춤•승무•산대놀이•꼭두각시놀이 유행
사교육 발생의 주요 요인
• 1. 대학 서열화, 학벌주의로 인한 선발경쟁
• 2. 학교 교육의 책무성과 효율성 부족
• 3. 전형요소의 난이도, 과목수, 복합성 등 기술적 요인들
– 내신성적, 수능성적, 각종 자필서류, 면접, 논술 등 등
– 학생부 비교과 영역: 학생회 활동 경력, 봉사활동경력, 공인 외국어 시험 점수, 각종 경시대회 입상 실적
'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풋 프린팅과 스캔 (0) | 2019.08.17 |
---|---|
La causa de la obesidad, la bulimia, la satisfacción es la clave del tratamiento. (0) | 2019.08.16 |
目に現れる健康異常信号4 (0) | 2019.07.25 |
Cinco alimentos para ayudar a aliviar los dolores de cabeza (0) | 2019.07.20 |
Five Foods to Help Relieve Headache (0) | 2019.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