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5D8F4952F64FDD1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7D624952F64FDF0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A594952F64FDF2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2DF74952F64FDF2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7B54952F64FE22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642E4952F64FE21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71F04952F64FE31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124A4952F64FE33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24364C52F64FE30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41D94C52F64FE42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61584C52F64FE52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758A4C52F64FE51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45494C52F64FE50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0E1C4C52F64FE61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37EE4C52F64FE63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2034F52F64FE72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12BD4F52F64FE73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D9E4F52F64FE82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32064F52F64FE82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8334F52F64FE824)
주제
: 카톨릭
종교개혁
.
종교개혁의
원인
.
1. 교황들의
개혁
운동
.
2. 예수회의
활동과
개혁운동
.
3. 몰리나주의와
얀센주의
.
4. 트렌트
회의
.
결론
.
프로테스탄트
개혁
운동의
진행을
저지하
고
카톨릭
교회를
정화하기
위한
운동이
발
생하였다.
.
표면적으로는
프로테스탄티즘에
대항하면
서
내적으로는
교회를
정화하고
개혁했으며
가톨릭
세력의
회복을
시도했다
.
.
바오로
3세가
교회개혁과
종교회의에
대한
확고한
주관을
가지고
콘타리니를
비롯한
에라스무스주의자들을
추기경으로
세웠다
.
.
추기경
콘타리니는
멜랑히톤과
이신칭의에
합의하였으나
화체설과
교황의
권위에
대해
서는
의견이
달라
합의점을
도출해내지
못
하였다.
.
추기경
카라파가
바오르
4세의
이름으로
교
황에
취임하면서
, 온건
에라스무스주의자들
을
탄압하고
강압적으로
카톨릭
종교개혁을
추진하는
인물로
등장하였다
.
.
바오르
4세는
프로테스탄트들에
항거하는
카톨릭
교회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한
대표
자로
부상하게
되었다
.
.
이
시기에
설립되었던
가장
영향력
있는
예
수회였다.
.
이
단체는
프로테스탄트교에
대한
로마
카
톨릭의
반격의
선봉대였고
, 오늘날에도
로
마
카톨릭
교회의
가장
저명한
종단들
가운
데
하나로
남아있다
.
.
이그나티우스
로율라
(Ignatius von Loyola,1291)
.
1534년
여섯
명의
회원을
모아
예수회를
시작하여
13
년간의
과정을
거쳐
예수회
정회원으로
가입하게
되었
다.
.
예수회의
활동은
프로테스탄트에
대한
반
격, 수준
높은
교육
, 그리고
선교
사업에
집
중되었다.
.
이
수도회에서는
로마
카톨릭
교회로부터
이탈하는
모든
교리들과
조직들을
이단시
했다.
.
그들은
선한
목적이라고
여겨지는
것을
성
취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할
수
있는
거의
어
떤
수단이라도
사용했다
.
.
이
예수회
운동은
카톨릭
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 일본
선교사
프란시스
자
비에르, 중국
선교사
마테오
리치
, 인도
선교
사
로버트
노빌리
등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선교활동을
전게하게
되었다
.
.
특히
이
예수회
선교사들은
그
선교지역의
문화를
성실히
연구하고
그
지역
문화
속에
토착화함으로써
성공적인
선교를
하게
되었
다.
.
몰리나는
은총
, 예지, 자유의지, 예정의
상
호일치를
주장한다
. 신앙의
시작은
하나님
의
행위이며
, 동시에
자유의지를
강조한다
.
.
은총과
구원은
스스로
추구하는
인간에게
항상
나란히
있다고
믿는다
.
.
즉
구원에
있어서
의지
, 하나님의
일반적
도
우심
그리고
하나님의
특별한
도우심이
동
시에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보는
것
이다.
.
몰리나주의자들은
충분한
은총을
효과적으
로
만드는
것이
, 바로
의지의
작용
때문이라
고
한다
.
.
한편
몰리나의
견해와
상반된
입장을
보이
는
화란의
신학자
코넬리우스
얀세니우스는
『어거스틴』이라는
저서에서
몰리니즘을
논박하고
있다
.
.
얀센은
철학이
이성에
근거하기
때문에
, 공
허한
토론이
될
수밖에
없으며
, 대신
신학은
진리라는
권위에
근거하기
때문에
확실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고
했다
.
.
끝으로
그는
'치료적
은총
'을
강조한다
. 의지
와
은총의
상관성
속에서
의지는
의지
자체
가
스스로
느끼지
못할
정도의
부드러움으
로, 의지를
하나님께로
이끌어
준다고
한다
.
.
트렌트
회의는
프로테스탄트
운동이
계속
성공을
거두고
있는
데
대한
반작용이었다
.
.
이
회의를
통하여
실상
근본적
개혁이
이어
진
것은
없으며
, 이미
교회에서
인정하고
있던
입장들을
재확인
했을
뿐이었다
.
.
. 클레멘트
7세가
교황이
되고
제국내의
프
로테스탄트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
이
필요했던
황제
찰스
5세는
클레멘트에게
종교회의의
소집을
요구했다
.
.
몇
차례의
소집발표가
무위로
끝나고
클레
멘트
7세의
뒤를
이은
바울
3세는
1545년
12월에
정식으로
트렌트에
종교회의를
개
회하였다.
.
종교회의는
교회의
전통이
성경과
동등하게
구속력이
있고
인간은
믿음에
의해서만
의
롭다함을
얻는
것이
아니라
믿음과
그에
따
른
선행에
의해서
의롭다함을
얻는다는
결
론을
내렸다
.
.
이러한
결정은
연옥의
교리와
선행에
의해
서
획득되는
공적들에
대한
교리를
옹호하
는
것이
되었다
.
.
또한
루터와
츠빙글리의
입장을
거부하면서
화체설의
교리를
재
확정했다
. 마지막으로
2
종
성찬
, 평신도들에게
떡과
포도주를
모두
주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고
했다
.
.
이
밖에도
성직자들의
도덕
생활에
대한
감
시를
명령했고
성직자
독신제와
순결을
강
조했다.
.
결론적으로
트렌트
회의는
개신교의
도전과
개혁에
대한
일반적인
요구를
두
가지
측면
에서
답변하였다
.
.
교리적인
사항에
있어서
트렌트는
보수적인
측면을
변함없이
유지하였고
, 신도들의
도
덕과
영적인
보살핌에
관한
사항에
있어서
,
트렌트는
엄격한
개혁의
길을
따랐던
것이
다.
.
트렌트의
정신은
예수회와
종교재판의
정신
과
동일한
것으로서
, 전통적인
교리에
대한
철저한
고수
, 근엄한
도덕적
삶
, 교회의
모든
자녀에
대한
전반적인
보살핌이
있는
진지
한
목회적
관심
같은
것이었다
.
.
이것이
트렌트가
카톨릭
종교개혁의
상징이
며
근대
로마
카톨릭
교회의
시작이라고
말
하는
이유이다
.
.
프로테스탄트의
개혁이
대두되면서
카톨릭
의
종교개혁도
곧바로
시작되었다
.
.
카톨릭의
개혁은
개신교
종교개혁에
대한
반박
동기이든지
, 아니면
카톨릭을
비난하
는
것에
대한
부당성을
변호하는
이중성격
을
띠고
전개되었다
.
.
트렌트
회의를
통한
결과로서
교황은
회의
의
권위의
근원이
됨과
동시에
, 최종적인
해
석자가
되었다
. 이제
종교회의주의
(Conciliarizm) 는
끝나고
새로운
근대
로마
카톨릭
교회가
탄생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