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성병- 정의, 임상적 특징, 검사, 진단, 치료
1. 매 독
1) 정의
트레포네마 매독균(Treponema pallidum)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성기 및 전신질환
2) 임상적 특징
○ 전파경로 : 성접촉, 수직감염, 혈액을 통한 감염으로 전파됨
○ 잠복기 : 10일 내지 3개월, 평균3주
○ 임상증상
① 1기매독 : 경성하감(chancre)이 특징적 병변으로, 균이 침입한 부위에 통증이 없는 구진이나 궤양이 발생하여 2주내지 6주 후에 자연소실됨
② 2기매독
-감염 6주 내지 6개월 후에 발생함
-열, 두통, 권태감, 피부병변(반점, 구진, 농포성 매독진, 편평콘딜롬), 림프절종대 등을 보임
③ 3기매독
-고무종(gumma) : 피부, 뼈, 간등을 침범함
-심혈관매독 : 주로 상행 대동맥을 침범함
-신경매독 : 무증상 매독, 뇌막혈관 매독, 척수로, 진행마비 등을 보임
④ 잠복매독 : 임상소견이 없는 매독
-조기 잠복 매독 : 감염후 1년 이내의 시기로 감염성이 높음
-후기 잠복 매독 : 감염후 1년이 지난 시기임
⑤ 선천성매독
-대개 임신4개월 후에 감염이 발생함
-조기 선천성 매독 : 생후2년 내에 발병하며, 성인의 2기 매독과 비슷한 양상을 보임
-후기 선천성 매독 : 생후2년 후에 발병하며 Hutchinson치아, 간질성 결막염, 군도 정강이(saber shins)등을 보임
가. 검사방법
1) 현미경 진단법
암시야 현미경으로 환부에서 매독균을 관찰하거나 검체를 슬라이드에 고정 후 매독균의 항체가 붙어 있는 형광체를 이용하여 관찰한다.
2) 혈청학적 진단법
매독균에 감염되었을 때 나타나는 항원항체 반응에서 생긴 항체를 검출하여 간접적으로 감염을 진단하는 방법이다.
① 비매독항원시험법
대표적인 방법으로 VDRL(Venereal disease research Laboratory)과 RPR(Rapid plasma reagin)법이 있으며 선별검사와 치료효과의 판정에 유용하다.
② 매독항원시험법
매독균을 항원으로 사용하며 대표적인 방법으로 TPHA와 FTA- ABS(fluorescent treponemal antibody absorption)가 있으며 확진에 유용하다.
나. 진단기준
다음에 해당되는 경우 매독으로 진단한다.
∘피부 병변에서 암시야 현미경 또는 직접면역형광항체법으로 관찰하여 매독균의 존재를 확인한 경우
∘문진 및 임상증상에 부합하며 혈청학적 진단에서 양성인 경우
다. 관련 조치 사항
혈청학적 진단법에 의한 양성의 경우 매독정량 검사치를 기록 유지하도록 하고 치료받은 자가 양성반응에 의해 다시 치료받는 사례가 없도록 주의한다. 매독 치유 여부는 항체의 감소 및 임상증세와 과거력 등에 기초하여 판정한다. 치유 또는 재감염 여부를 정확히 판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 IgM 항체가를 측정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2. 임 질
1) 정의
임균(Neisseria gonorrhoeae)감염에 의하여 주로 요도염이나 자궁 경부염등을 일으키는 질환
2) 임상적 특징
○ 전파경로 : 성접촉으로 전파됨
○ 잠복기 : 2일 내지 7일
○ 임상증상
- 남성 : 요도염증상(화농성 요도 분비물, 배뇨시 통증, 요도입구 발적 등)
- 여성 : 자궁경부염 또는 요도염 증상(작열감, 빈뇨, 배뇨시통증, 질분비물증가, 비정상적 월경출혈, 항문직장 불편감등)
○ 합병증
- 여성 : 자궁내막염, 난관염, 복막염, 바톨린선염 등
- 남성 : 요도주위 농양, 부고환염 등
- 임균혈증 : 관절염, 피부염, 심내막염, 수막염, 심근막염, 간염 등의 전신증상
가. 검사방법
1) 검체 채취
여성의 경우 자궁경부 가검물 채취시 반드시 질경을 사용하여야 한다. 멸균된 면봉을 자궁경관내 약 1.5cm 깊이에서 수 초 동안 회전시켜 분비물이 흡수되도록 한다. 남성의 경우에는 요도의 분비물이나 요도내 2~3cm 깊이에서 가는 면봉 등으로 부드럽게 점액을 긁어서 채취한다. 채취된 가검물은 즉시 검사에 사용한다.
2) 검사법
∘직접 도말 및 현미경 검사
깨끗한 슬라이드 글라스 상에 세포가 깨어지지 않도록 가검물을 부드럽게 굴려 엷게 도말, 건조시킨 후 그람염색하여 현미경상에서 세포내 그람음성 쌍구균을 관찰한다.
남성 요도 가검물의 경우에는 도말검사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다. 그러나 여성의 자궁경부 도말상에는 형태가 비슷한 다른 균이 존재할 수 있어 도말검사로는 추정 진단만 가능하며 정확한 검사실 진단을 위해서는 배양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배양검사
TM 배지상에 접종하여 2일간 관찰하여 배양된 균이 임균과 유사할 경우 균집락, 그람염색시험, oxidase 시험을 실시하여 임균 여부를 판정한다.
∘핵산증폭법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LCR(ligase chain reaction), SDA (strand displacement amplification)법 등이 있으며, 면봉으로 채취한 자궁경부 가검물과 소변 모두 검체로 사용할 수 있다. 민감한 검사방법이기 때문에 오염으로 인한 위양성에 주의해야 하며, 증폭확인을 위한 amplification control을 사용하여야 한다. 치료완료 후 완치판정을 위한 검사로 사용될 경우는 치료완료 3주 후에 검사한다.
나. 진단 기준
다음에 해당될 경우 임질로 진단한다.
∘임상 검체에서 그람염색 음성, oxidase 양성 쌍구균을 분리 배양한 경우
∘임상 검체에서 항원이나 핵산을 검출하여 임질균의 존재를 증명한 경우
∘남성의 요도 도말검사에서 세포내에 그람염색 음성 쌍구균을 관찰한 경우
다. 관련 조치사항
∘임질로 판정된 경우 관리의사의 지도하에 성병치료 표준처방전을 참조하여 이를 적절히 치료하여야 한다.
∘분리임균의 확인 및 항생제 내성검사가 필요할 경우 질병관리본부 또는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에 검사를 의뢰한다.
3. 비임균성요도염
1) 정의
임균이외의 병원성 미생물 감염에 의하여 생기는 요도염
2) 임상적 특징
○ 전파경로 : 성접촉으로 전파됨
○ 잠복기 : 2주 내지 3주
○ 임상증상
- 배뇨곤란 : 빈뇨, 배뇨통 등
- 농 및 점액 농성 요도분비물이 나옴
- 요도불쾌감, 요도 소양증이 나타나며 무증상 감염도 많음
○ 합병증 : 급성 출혈성 방광염, 전립선염, 정낭염, 부고환염, 요도협착등
3) 검사기준
임균이 분리되지 않고 요도를 긁어 채취한 가검물의 그람염색 도말검사시 1,000배 배율에서 5개 이상의 다핵형 염증세포(PMNs)가 관찰된 경우 또는 소변 검사시 4시간 (불가피한 경우에는 1시간으로 함) 이상 참았다가 소변을 받고 이를 원심 분리하여 얻은 가검물을 400배 시야로 5곳 이상 관찰하여 다핵형 염증세포가 시야당 평균 15개 이상일 때로 한다.
4. 클라미디아감염증
1) 정의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균(Chlamydia trachomatis)감염에 의한 요도염이나 자궁경부염등의 성기부위 질환
2) 임상적 특징
○ 전파경로 : 성접촉으로 전파됨
○ 잠복기 : 1주 내지 3주
○ 임상증상 :
- 임균감염증과 유사하나 증상과 징후가 경미하거나, 무증상 감염을 보임
- 남녀 모두에서 요도염, 직장염, 결막염 등이 나타남
- 성병성 림프육아종(lymphogranuloma venereum) : 다발성 화농성 국소 림프선염
○ 합병증
① 국소합병증
- 남자 : 부고환염
- 여자 : 점액농성 자궁경부염, 급성난관염, 바톨린선염, 간주위염(perihepatitis), 골반염증질환, 불임등
② 전신합병증 : Reiter씨 증후군
가. 검사방법
1) 검체 채취
여성의 경우 자궁경부 가검물 채취시 반드시 질경을 사용하여야 한다. 멸균된 면봉으로 먼저 자궁경부에 분비물을 깨끗이 닦아낸 후 또 다른 면봉을 자궁경관 안으로 삽입해 벽면에 대고 10초 정도 회전시킨 후 질 표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조심스럽게 빼낸다.
2) 검사법
원인균인 Chlamydia trachomatis를 세포배양법에 의해 분리배양하여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검사법이나 까다롭고 소요 기간이 길어 진단에 흔히 사용되지는 않는다. 비배양 검사법으로 직접 검체를 김자염색하여 관찰하는 방법이 있는데, 요도나 자궁경부 검체의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눈 감염시에는 유용한 진단법이 된다. 기타 주요 외막 단백질의 종특이적 항원에 대한 직접형광항체법은 신속하지만 관찰에 많은 경험을 요구한다. 임상검체에서 클라미디아 항원을 검출하기 위한 효소면역측정법 (EIA) 키트와 30분내에 임상검체에서 클라미디아 항원을 직접 검출하는 rapid 분석법이 사용되나 특이 염기서열을 이용한 핵산증폭 검사법이 권장되며 이 경우 소변 검체도 가능하다.
나. 진단 기준
다음에 해당될 경우 클라미디아감염증으로 진단한다.
∘배양에 의해 Chlamydia trachomatis를 분리한 경우
∘자궁경부 가검물 등 임상검체에서 특이 항원이나 핵산을 검출할 경우
다. 관련 조치사항
클라미디아감염증으로 진단된 경우 관리의사의 지도하에 다른 성병과의 중복감염 여부를 고려하여 성병치료 표준처방전을 참조하여 이를 적절히 치료하여야 한다. 치료후 완치여부는 위양성 가능성을 피하기 위해 3주 경과후 실시하는 것이 좋다.
5. 연성하감(Chanchroid)
1) 정의
헤모필루스 두크레이균(Hemophilus ducrei)감염에 의한 성기나 회음부의 통증성 궤양성 질환
2) 임상적 특징
○ 전파경로 : 성접촉으로 전파됨
○ 잠복기 : 1일 내지 35일, 통상 4일 내지 10일
○ 임상증상
① 성기궤양
-붉은 구진에서 시작하여 빠르게 농포로 진행한 후 농포가 터져 통증성 궤양을 형성하는데, 전형적인 궤양은 지름1cm 내지 2cm로 경계가 뚜렷함
-남성의 경우 음경의 포피, 음경귀두관, 음경 등, 여성의 경우 음순, 질입구 항문주위 등에 주로 궤양이 분포함
② 부보(buboes)
-서혜부 림프절염은 남성환자의 1/3, 여성환자는 그보다 낮은 빈도로 나타나는데 치료를 하지 않으면 침범된 림프절이 액화과정을 거쳐 부보로 진행되고 저절로 터져서 농이 흘러나옴
-성기궤양이 나타난후 1주내지 2주일이 지나서 발생하며 종종 심한 통증을 동반함
가. 검사방법
1) 검체 채취
궤양부위를 마른 가제나 면봉으로 닦고 각피를 제거하고 배양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섬유성분의 면봉으로 삼출물을 채취한다.
2) 검사법
통상 균 분리 및 확인에 의해 진단한다. 분리용 배지로 1% IsoVitale X가 첨가된 gonococcal (GC) 또는 Mueller-Hinton 쵸코릿 한천배지를 사용한다. 접종 후 5% CO2 조건에서 32~34℃로 2~5일간 배양한다. Oxidase 양성, nitrate 환원, alkaline phosphatase 양성, hemin(X factor) 요구성, catalase, indole, urea 음성 등 생화학적 특성으로 동정한다. 임상검체를 그람염색한 후 현미경으로 검경하여 전형적인 작은 연쇄상이나 물고기 무리처럼 보이는 그람 음성 간균을 관찰하는 비배양검사법이 있으나 낮은 민감도와 특이도 때문에 진단에 권장되지는 않으며 일부 비배양 항원과 핵산 검출 방법도 개발되어 있으나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나. 진단기준
다음에 해당될 경우 연성하감으로 진단한다.
∘임상검체에서 원인균인 Haemophilus ducreyi를 분리한 경우
6. 성기단순포진(Genital Herpes)
1) 정의
제2형의 단순포진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Ⅱ)감염에 의해 성기부위의 수포성 질환
2) 임상적 특징
○ 전파경로 : 성접촉으로 전파됨
○ 임상증상
① 초기감염 : 성기 부위에 수포형성 후 궤양을 형성(2주내지 3주내로 자연치유)하거나 무증상 감염을 보임
② 잠복감염 : 초기감염 후 바이러스가 신경절에 잠복하면서 평생 동안 잠복감염을 유발함
③ 재발성 감염 : 신경절에 잠복하는 바이러스가 활성화되어 성기 부위에 수포와 궤양을 형성하거나 무증상으로 바이러스를 분비함
가. 검사방법
1) 검체 채취
혈청학적 검사를 위해 채혈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바이러스 분리, 항원검사, 유전자검사를 위해서는 병변부 수포액이나 궤양 부위의 도찰물을 바이러스 운송배지에 넣어 실험 시까지 4℃에 보관하고 48시간 이상 지체될 경우 -70℃에 보관한다.
2) 검사법
세포배양에 의한 바이러스 분리 검사외에 간접형광항체법(IFA), 효소 면역측정법(EIA)에 의한 항원검사법, EIA에 의한 항체검사법과 PCR 등 유전자 검사법이 사용되고 있다.
나. 진단기준
∘환자 : 성기단순포진에 합당한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면서 다음 검사방법 등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자
․검체에서 바이러스 분리
․검체에서 바이러스 항원 검출
․검체에서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검체에서 혈청학적 항체 양성
∘의사환자 : 임상적 특징 및 역학적 연관성을 고려하여 성기단순포진임이 의심되나 검사방법에 의하여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되지 아니한 자
다. 관련 조치사항
성기단순포진으로 진단된 경우 관리의사의 처방전을 참조하여 적절히 치료하여야 한다. 신생아, 습진이 있거나 화상을 입은 소아, 면역 저하자와의 접촉을 금지한다. 성기단순포진이 의심되는 경우 질병관리본부에 검사를 의뢰할 수 있다.
7. 첨규콘딜롬(Condyloma accuminata)
1) 정의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감염에 의한 외음부에 생기는 사마귀성 질환
2) 임상적 특징
○ 전파경로 : 성접촉으로 전파됨
○ 잠 복 기 : 2개월 내지 3개월
○ 임상증상 : 내외음부, 회음부, 항문 주위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융기된 병변이 특징적임
가. 검사방법
1) 검체 채취
병변부위로부터 조직을 채취하여 냉동보관 또는 10% 포르말린 등의 고정액에 보관하였다가 실험에 사용한다.
2) 검사법
조직검사, 세포질 검사에서 조직 병리학적 변화를 확인하거나 조직검체로부터 PCR 등 유전자 검사법을 이용하여 원인 병원체 유전자를 검출한다.
나. 진단기준
∘환자 : 첨규콘딜롬에 합당한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면서 다음 검사방법 등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자
․검체(조직)에서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의사환자 : 임상적 특징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첨규콘딜롬임이 의심되나 검사방법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되지 아니한 자
다. 관련 조치사항
첨규콘딜롬은 조기 발견 후 외과적 수술에 의한 치료가 가능하다. 첨규콘딜롬이 의심되는 경우 질병관리본부에 조직 검체를 채취하여 검사를 의뢰할 수 있다.
8. 검사 시 주의사항
∘검사 시에는 실험복 및 장갑을 반드시 착용하며 주사기, 주사침은 찔리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사용한다.
∘성병진단을 위하여 채취한 가검물이나 검사 완료된 배지는 반드시 소각하거나 멸균처리 되도록 한다.
※ 질 염
질의 감염증은 보통 질의 분비물과 가려움 같은 증상을 나타내며, 냄새가 나는 경우도 있다. 질분비물이 많아지는 가장 흔한 원인 세가지는 세균성 질증, 트리코모나스 질염, 칸디다 외음부-질염이다.
가. 세균성 질증
세균성 질증(bacterial vaginosis, BV)은 정상적으로 질내에 있는 과산화수소를 생산하는 유산간균이 없어지고 대신에 혐기성균이 번성한 상태이다. 질분비물 또는 악취의 가장 흔한 원인이지만 환자의 50%에서는 증상이 없다.
1) 진단
임상적으로 다음중 세가지가 있으면 세균성 질증으로 진단한다.
○ 백색 균질성 비염증성 분비물이 있다.
○ 현미경 검사상 clue cell이 보인다.
○ 질분비물의 pH가 4.5 보다 높다.
○ 10% KOH를 질분비물에 첨가시 생선 비린내가 난다.(whiff test 양성)
Gram 염색상으로는 세균성 질증에서 특징적으로 보이는 질세균총의 구성 비율의 변화를 보고 진단한다. (유산간균의 소멸과 혐기성균의 번성)
2) 치료
○ Metronidazole 500mg 1일 2회 7일간 복용
○ Metronidazole gel 0.75% 1일 1회 5g 5일간 질내 삽입
○ Clindamycin 2% 크림 5g씩 취침전에 7일간 질내 삽입
*주의 : metronidazole 투약중 또는 투약 24시간 내에는 술을 마시지 않는다.
나. 트리코모나스 질염
이것은 Trichomonas vaginalis라는 원충에 의하여 생긴다. 남자들이 감염되었을 경우에는 대개 증상이 없으나 일부에서는 비임균성요도염이 생긴다. 여자들에게서는 악취가 나는 황록색의 분비물과 외음부의 가려움증이 특징이지만, 일부에서는 증상이 미약하거나 아주 없는 경우도 있다.
1) 진단
생리식염수 한두 방울에 질분비물을 섞어서 현미경으로 검사하여, 움직이고 있는 트리코모나스를 확인하면 된다.
2) 치료
○ Metronidazole 2g 1회 복용
(또는 Metronidazole 500mg 1일 2회 7일간 복용)
○ 완치율은 90-95% 정도인데, 성 파트너를 같이 치료하면 이보다 더 높일 수 있으며 완치될 때까지는 성관계를 하지 않도록 한다.
다. 칸디다 외음부-질염
85-95%가 Candida albicans에 의하여 생기며 나머지는 C. glabrata와 C. tropicalis 등에 의하여 생긴다. 전형적인 증상은 가려움증과 질분비물이며 그 밖에 외음부의 쓰라림, 작열감, 성교통, 배뇨시 통증같은 증상들이 있다. 이러한 증상들은 특이적이지는 않다. 75%의 여성이 일생에 한번은 칸디다 외음부질염에 걸리며 45%의 여성은 두 번 이상 걸리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 진단
외음부의 가려움증과 발적, 백색 질분비물이 있으면 임상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질염의 증상이 있으면서 질분비물의 생리식염수 도말 현미경검사 또는 그람염색 도말검사에서 균체가 발견되거나, 배양에서 균체가 동정되었을 경우에는 칸디다 외음부-질염으로 진단할 수 있다.
2) 치료
단기간 국소제제(1회 또는 1-3일요법)로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국소에 바르는 azole계 약들이 nystatin보다 효과가 있으며, azole계 약들을 써서 치료하고 나면 80-90%의 환자에서 증상이 없어지고 균배양 검사는 음전된다.
○ 질내용 제제 :
∙ Butoconazole 2% 크림 5g씩 3일간 질내 투입 또는
Butoconazole1-sustained release 2% 크림 5g 1회 질내 투입
∙ Clotrimazole 1% 크림 5g 7-14일간 질내 투입 또는
Clotrimazole 100mg 질정 7일간 질내 투입 또는
Clotrimazole 100mg 질정 두개씩 3일간 질내 투입 또는
Clotrimazole 500mg 질정 1회 질내 투입
∙ Miconazole 2% 크림 5g 7일간 질내 투입 또는
Miconazole 200mg 질정 1일 1정 3일간 질내 투입
∙ Nystatin 100,000-unit 질정 1일 1정 14일간 질내 투입
∙ Ticonazole 6.5% 연고 5g 1회 질내 투입
∙ Terconazole 0.4% 크림 5g 7일간 질내 투입 또는
Terconazole 0.8% 크림 5g 3일간 질내 투입 또는
Terconazole 80mg 질정 1일 1정 3일간 질내 투입
○ 경구용 제제 :
∙ Fluconazole 150mg 1정 1회 복용
** 질염으로 판정된 경우 건강진단결과서 발급 후 관리의사에게 진료를 받아 적절히 치료될 수 있도록 조치한다.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페인어 - 집 계약 관련 용어 정리 (0) | 2014.06.16 |
---|---|
컨벤션 영어 (0) | 2014.05.27 |
러시아어 기본 어휘표 (0) | 2014.05.16 |
러시아어 의사소통 기본 표현 (0) | 2014.05.15 |
일본어 기본 어휘표 (0) | 2014.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