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veryday Effect

블로그 이미지

MSNU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623건

제목 날짜
  • 한국어 교육에 대해 2018.10.09
  • 페미니즘 이론이란? 그리고 종류들 2018.10.04
  • 탐구 주제 - 얼룩 지우는법 2018.10.01
  • Good Will Hunting : Director: Gus Van Sant 2018.09.28
  • 정치학 개념 2018.09.25
  • 영국 경찰제도 2018.09.17
  • The Patriot - Director: Roland Emmerich 2018.09.12
  • 당의 태종(이세민)과 『정관정요 2018.09.10
  •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2018.09.06
  • HUGO - Director: Martin Scorsese 2018.08.31

한국어 교육에 대해

PPT 2018. 10. 9. 17:13



























































p style="text-align: center; clear: none; float: none;">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1.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현황 2.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 3. 한국어 교사의 자질 및 역할 4. 한국어 교재의 현황 및 과제 1.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현황 한국어 교육의 역사 1) 한국어교육의 정의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해 한국어를 가르치고 배우게 하는 모든 활동 2) 문헌에 나타난 한국어 교육 -일본: 속 일본기 (續日本紀 , 761) -'신라어 교육’ 실시 기록 -중국: 계림유사 (鷄林類事 , 1103) -" 당시 고려 어를 중국의 자음 (字音)을 이용해 표기“ 3) 한국어교육의 시작 -일본: 1792 년에 '조선어 학습소 ' 설치 -러시아: 1879 년에 상트 페테스 부르크 대학에서 한국어교육 시작 1.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현황 한국어 교육의 현황 (국내) 대학부설어학기관정부관련단체연세대 (1959 년), 국제교육진흥원 (1962 년, 재외동포를 위한 서울대 (1969 년), 한국어교육 과정 설치 ,고려대 (1986 년), 2008년 국립국제교육원 이화여대 (1988 년), 으로명칭 변경 ),선문대 (1989 년), 재외동포재단 ,90년대 이후 한국국제교류재단 ,경희대, (1993 년)등 한국국제협력단 ,70여 개 이상의 국립국어원,대학에서 한국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 중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사설학원, 민간단체명도원 (사설 한국어 교육의 효시), 가나다 학원 , 코리아헤럴드 부설 어학원 등 1.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현황 한국어 교육의 현황 (국외) 미국1970년대 이후 미국 정부의 강력한 외국어교육 정책으로 외국어교육 강화 한인 교회에서 운영하는 한글학교 중심의 교육이 점차 공식 교육으로 확대 1997년부터 미국 대학수학능력 시험인 SAT(Scholastic Assesment Test) 의 선택과목 SATⅡ에 외국어로서 한국어가 포함됨 미국 정부 기관 주관의 한국어 프로그램 존재 : 국방 외국어 대학 (DLI), 외무 연수원 (FSI), 국가 안전부 (NSA), 중앙 정보부 (FBI) 등 1.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현황 일본한국어 교육의 현황 (국외) 일제강점기 하의 조선을 통치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 , 이후 교포 중심의 한국학교 설립 1970년대이후 한국어학습 수요가급증 , 현재 110여개 대학에서 한국어교육 1984년 NHK 의 한국어 강좌 시작 2003년부터 일본 대입 수능 시험인 센터 시험에 한국어 시험을 실시 :5 번째로 채택되는 외국어 , 이를 바탕으로 고등학교에서도 한국어 교육의 저변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 1.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현황 한국어 교육의 현황 (국외) 중국중국 정부의 소수 민족 정책에 의해 독자적인 민족 학교 보유 한어(漢語)를 제외하고는 모두 한국어로 강의 초.중등 교육에서 대학 (연변대학 )에까지 연장되어 있음 1950년대 북경 대학과 낙양 해방군 외국어대학에서 한국어 교육 시작 80년대 후반 이후 한국어교육 급부상 , 최근 70여 개의 대학에서 한국어 교육 중 1.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현황 한국어 교육의 현황 (국외) 유럽서구 유럽 . 동구권에 비해 한국어 교육 여건 양호 . 한글 학교에서 교포 , 주재원 자녀 대상 한국어 교육 동구 유럽 . 역사적으로 보아 북한과의 교류 지역 (표준 한국어의 문제 심각 ) . 한국어에대한 인식과관심 상승중 중앙아시아 지역 (구 소련권 ) . 한국어는 더 이상 모국어가 아닌 외국어가 되어가고 있음 . 오랜 한국학 연구의 역사를 갖고 있는 러시아와 한국과의 활발한 경제교류를 희망하는 국가에서의 한국어 수요 증가 추세 1.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현황 호주한국어 교육의 현황 (국외) 1970년대 이후 한국인들의 급격한 이민 증가로 급부상 1980년 호주 국립대학에 한국어 과정 개설 , 현재 9개 대학에서 한국어 교육 실시 1994년부터 뉴 사우스 웨일즈 (NSW) 주와 빅토리아 (Victoria) 주의 대입 선택 과목으로 한국어가 채택 “초 .중.고교에서 우선적으로 가르쳐야 할 아시아 언어” : 네 번째로 선정 대학 입학 시험에 한국어가 선택과목으로 채택 1.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현황 한국어 교육의 역사 및 방향 1970 년대1980 년대1990 년대2000 년대한국어 교육의 태동기 : 한국어 교재에 관한 논문 다수 한국어 교육 연구의 준비기 : 이중언어 교육의 중요성 강조,해외동포 교육 관심 , 한자교재 출간 한국어 교육의 정착기 : 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한국어 수요 급증 , 여러분야에대한 다양한연구 실시 한국어 교육학의 정립기 1.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현황 한국어 교육의 역사 및 방향 1. 서양 이론 중심의 교수법에서 탈피하려는 노력이 필요 2. 우리나라 전통적인 외국어 교육 방법 연구 3. 한국어의 특징에 적합한 한국어 교육 방법 개발 4. 남북한 사이의 한국어 교육 분야에 노출된 이질화 극복 5. 한자 교육의 활성화 6. 외국인을위한 사전편찬 작업필요 7. 교자재를 이용한 학습 8. 교육과정의 다양화 2.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 한국어의 위상 사용인구 약 8,000 만명 남북한 7,000 만명 미국 200만명 중국, 조선족 200만명 일본 65만명 중요도 세계 10위권 안 -미국 : 1997 SAT 에 한국어 SAT2 외국어 과목에 포함 -일본 : 2003 대입 수능 (센터시험 ) -호주 : 1994 뉴 사우스 웨일즈 (NSW) 주빅토리아 주 대입 선택 과목 -“세종대왕상” : 유네스코 제정 , 한국어의 우수성과 과학성 인정 -세계교역량 13위 : 최빈국에서 경제 강국 2.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 한국어의 특징과 한국어 교육 문법상의특징어휘상의특징1. 체언, 조사의 결합으로 문장 안에서 구성 요소들 사이 관계를 표시 2. 청자, 화자, 문장 속 주체와의 관계에 따른 높임법이 발달 3. 주어+목적어+서술어 , 수식어+피수식어의 어순을 가짐 4. 화자의 입장에서 표현하려는 경향이 강함 5. 이중주어 구문이 있음 1. 고유어와 외래어로 구성됨 2. 감각어와 상징어가 크게 발달 3. 의성어, 의태어 발달 2.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 한국어의 특징과 한국어 교육 음운상의특징한국어가어려운이유1. 유성음과 무성음이 변별되지 않음 2. ㄱ/ㄲ/ㅋ,ㄷ/ㄸ/ㅌ 처럼 파열음과 파찰을 계열의 자음은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가 상관쌍을 이룸 3. 음절 끝이 무성 자음은 내파됨 4. 같은 음운이라도 환경에 따라 말소리 바뀜 1. 철자가 특이 , 글자형성 방법독특 2. 음절 단위로 글자를 형성 , 곧, 모음의 종류에 따라 자음이 놓이는 위치가 달라짐 3. 받침이 있음 4. 교착어로 어미와 접사 발달 5. 좌분지어, SOV 유형 2.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 한국어의 특징과 한국어 교육 1. 교육의 중점을 교수에서 학습으로 -학습자 중심 -교사는 지식전달자 아닌 상담자 , 촉진자, 모니터, 조언자, 조력자의 역할 2. 기계적 학습이 아닌 유의미한 학습으로 -언어 사용의 맥락에서 교육 -새로운 학습은 기존 지식 구조와 연결 -상호 활동을 통한 실제적인 의사소통 중심 -수업 내용은 기능을 고려하여 -과제 개발 작업과 통합된 활동을 고려한 교육 3. 교재는 방향지시의 기능 , 교사는 학습자의 실제 언어 사용 능력의 신장에 관심 4. 정확성을 바탕으로 한 유창성의 획득 5.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다른 활동과 통합적 실시 2.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방법 -학습자의 모국어에 따른 차별화 교육이 필요 : 제3언어, 제4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 비 한자권 학습자를 위한 별도의 한자 수업도 필요 -한국어 교육에서는 언어 학습과 함께 문화 교육이 필요 : 언어 학습자는 목표어의 문화적 맥락 안에서 언어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 -문화 교육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문화적 고정 관념을 버리는 것 -목표어 문화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언어 학습을 촉진 : Gardner & Lambert(1972) 2.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방법 문화 교육의 세 가지 접근 방법 -일반 수업 내용에 문화를 포함시키는 방법 : 언어의 기능과 동시에 관련된 문화적 요소를 다루는 것 -커리큘럼 내에 특정한 교과목으로 편입하는 방법 : 문화 관련 교과를 독립하여 편성하는 것 -문화 교육을 특별 활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 교실 밖에서 한국 문화를 직접적으로 체험하게 하는 것 문화교육에서 한국어 교사의 역할 -문화적 충격의 완충 역할 , 긍정적인 한국 문화상을 자신 속에 내면화 하여야 함 3. 한국어교사의자질 및역할 바람직한 한국어 교사상 “교육자”로서의 한국어 교사 : 훌륭한 인격 , 전문성, 지도력 “언어”를 다루는 교육자 : 목표어에 대한 훌륭한 시범자 , 언어 지식 풍부 , 기술별 능력 탁월 , 정확한 발음 등 한국어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 : 한국의 전통 문화 , 역사, 정치 등풍부한이해 3. 한국어교사의자질 및역할 한국어 교사가 갖추어야 할 태도 1. 다른 문화에 대해 열린자세 2. 특수한 형편의 학습자를 배려하는 태도 3. 치밀한 학생 관리 4. 편애는 금물 5. 한국어 교사로서의 자부심과 긍지 6. 새로운 교육방법에 대한 고민과 노력하는 자세 7. 인내심과 순발력 8. 소명의식 3. 한국어교사의자질 및역할 교사의 국어학적 지식의 중요성 -국어학 지식은 한국어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전문성의 바탕이 되므로 한국어 교사는 한국어 전공자만큼의 한국어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 음운론형태론통사론의미론화용론말소리 연구 : 자모, 발음교육, 철자교육에 적용 형태, 즉 단어의 구성 성분에 관한 연구 분야 : 어휘 교육에 적용 단어들이 문장 안에서 맺는 관계에 대한 연구 분야 : 문형 단위의 교육 , 세부단위에 대한 이해 가능 언어의 의미를 연구하는 학문 : 의사소통의 원리에 관련 담화 맥락을 중심으로 의미 현상을 연구하는 분야 : 언어와 사회문화적인 요소는 불가분의 관계 4. 한국어교재의현황 및과제 한국어 교재의 현황 및 분석 4기3기2기1기근대계몽기 1958 년 1985 년 1997 년 2005 년 . 첫 사전 출판 . 대학기관교재 (1874) . 연세대 . 첫 교재 출판 한국어교본 1,2 (1877) . 서울대 . 발음문법교재 . 명도원 . 문법회화교재 . 회화,문법, . 문법교재 읽기 교재 . 2등급 구분 . 3등급 구분 . 한국어문법적 . 청각구두식 특징,예문 기술 . 단원구성 . 언어교수법 . 교육기관증대 따른 교재 . 학습자증대 . 다양한 학습자 . 체계적인교재 위한 교재 개발 . 다양한 언어 . 기관용교재 . 다양한 출판사 . 말하기읽기 . 문화 강조 교재 중심 . 기능통합형 . 6등급일반화 . 과제중심구성 . 국외 한글학교 . 단원구성 . 청각구두식 4. 한국어교재의현황 및과제 한국어 교재의 현황 및 분석 11개의 대학 기관에서 186여종 교재 편찬 : 경희대, 연세대, 이화여대, 서울대, 성대, 하와이대 등 39개 사설 기관에서 216여종교재 편찬 : 랭귀지플러스, 문예림, 한국문화사 등 6개 정부기관에서 25여종교재 편찬 : 한국어세계화재단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한국국제노동재단 , 여성가족부, 농림부, 충북교육청 등 <참고> 주요 대학의 한국어 교재 경희대(22 종) 연세대 (36종) 이화여대 (32 종) 교재 . 한국어 초급 1,2 (교재,부교재) . 한국어 중급 1,2 (교재,부교재 ) . 한국어 고급 1,2 (교재,부교재 ) . 혼자 공부하는 한 국어 초급 1,2 . 혼자 공부하는 한 국어 중급 1,2 . 한국어 읽기 . 한국어 말하기 . 한국어1-6 (영어판, 일어판-3 권까지 , 중국어판, 러시아판-1 권까지 ) . 한국어 독본 (초,중,고급) . 한국어 발음 . 놀며 배우는 한국말 (어린이용교재 ) . 한국어 활용 1,2,3 . 100시간한국어 1,2 . 처음 배우는 한국어 읽기 1 . 재미있는 한국어 읽기 2 . 즐거운 한국어 읽기 3 . 생각하는 한국어 읽기 4 . 주제가 있는 한국어 읽기 5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말이트이는한국어 1-6 (S,W) .말이트이는한국어단어집 (1-4, 영어,일본어 ,중국어)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1,2 .Exciting Korean( 초급) (영어, 일본어) 듣기교재 분석 통합기능중심교재 학습자 다양한 요구에 대처 노력 , 읽기교재-흥미유발 ,한국문화 과제중심의 언어지도 단계적문법구조 , 문화적접근 <참고> 주요 사설 기관의 한국어 교재 랭귀지플러스 (28 종) 문예림(23 종) 교재 . 가나다 Korean for Chinese 초급 중급 1,2 . 가나다 Korean for Foreigners 초, 중,고급1,2 .가나다 Korean for Japanese 초,중 급 1,2 .쉬워요 한국어 1,2,3 .일본인 위한 한국어입문 .중국인 위한 한국어입문 .한국말 몰라도 한국 간다 (일어) .너 한글 쓸 줄 아니 .Beginner's Korean 2 .Easy Korean for Foreigners 1 .독일인을 위한 한국어회화 .러시아로 배우는 한국어 및 한국문화 .러시아어로 배우는 한국어 및 한국문화 (테이 프포함) .러한 사전 (예문으로 익히는 ) .베트남인을 위한 한국어 회화 .스페인어로 배우는 한국어 .실전 베트남인을 위한 한국어 회화 .영어로 배우는 한국어회화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회화 (포켓)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회화 (포켓) .태국인을 위한 한국어 회화 .프랑스인을 위한 한국어회화 .한국어 4주간 .한국어왕래 .한국어회화(브라질,포르투갈인을 위한 ) .Hunting Korean 1 <참고> 주요 정부 기관의 한국어 교재 여성가족부 농림부 교재 . 한국어 첫걸음 . 한국어 초급 . 한국어 중급 . 우리엄마의 한국어 -초급 (영어) . 우리엄마의 한국어 -초급 (베드남어) . 우리엄마의 한국어 -초급 (중국어) . 우리엄마의 한국어 -초급 (타갈로그어) 충북교육청 한국어세계화재단 교재 . 한국어 초급 . 한국어 중급 . 한국어 고급 . 한국어 초급 . 한국어 중급 1,2 . 한국어 중급 지침서 1 . 한국어 중급 1,2 워크북 4. 한국어교재의현황 및과제 한국어교재의현황및분석최근의한국어교재: 학습자의동기유발에맞춘과제중심의교재개발, 학습대상확대이화여대: 말이트이는한국어, Exciting Korean -과제중심의언어지도-단계적인문법구조, 문화적인접근, 주제를중심으로한언어지도-전략화된언어교육에초점을두고있음4. 한국어교재의현황 및과제 한국어교재의현황및분석연세대: 한국어읽기-학생들의흥미유발과한국문화에대한전반적인이해와통합적인학습을목표연세대한국어교사연수소: 놀며배우는한국말-본격적인어린이용한국어교재-영어권교포어린이를대상, 상위언어로영어사용4. 한국어교재의현황 및과제 숙달도 향상을 위한 방법론 검토 1. 의사소통 중심 ,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이 교재 반영 2. 학습자의 동기와 흥미 유발 3. 일상 생활에 필요한 과제 개발 4. 유창성과 정확성의 조화 4. 한국어교재의현황 및과제 한국어 교재 개발의 방향 1. 텍스트의 실제성 2. 빈도수를 고려하여 어휘 항목 배분 3. 문법항목은 빈도수를 고려하되 문법학습의 편리성 4. 학습자의 흥미 고려한 보조자료 개발 5. 숙달도에 초점 6. 언어별, 목적별, 영역별 전문교재




'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술치료 사례  (0) 2018.10.17
식물도감  (0) 2018.10.12
페미니즘 이론이란? 그리고 종류들  (0) 2018.10.04
탐구 주제 - 얼룩 지우는법  (0) 2018.10.01
Good Will Hunting : Director: Gus Van Sant  (0) 2018.09.28
Posted by MSNU

페미니즘 이론이란? 그리고 종류들

PPT 2018. 10. 4. 18:54



























































• 개관

1. 페미니즘 이론이란

* 여성억압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의 해결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 다양한 관점들

* 통합된 실천이론이 아니지만,  다양한 형태의 차별과 억압에 저항하기 위해 여성의 경험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실천적 연대가 가능함

* 성으로 인한 차별에 관심을 갖고 이의 극복을 위해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질서의 변화를 요구함

* 기존의 지배 펴러다임에 비판적이며, 사회복지 영역에서도 기존의 사회복지에서 여성의  삶과경험을 중시하는 접근방법으로  접근하고자 함.


2. 페미니즘 이론들

* 자유주의 페미니즘

* 급진주의 페미니즘

* 마르크스 주의 페미니즘

* 사회주의 페미니즘

* 복지주의 페미니즘

* 탈근대주의 페미니즘

* 생태주의 페미니즘

자유주의 페미니즘

* 여성도 동등한 인간이다

* 18세기 자유주의 사상에 기초

* ‘남성=이성적 존재 vs 여성=감성적 존재’ 라는 사회적 통념에 저항

* 동등한 교육기회, 동등한 시민권 강조

* 관습과 제도의 개혁에 중점

* 교육운동, 참정권운동, 법 개정운동

* 드 구즈, 울스턴크래프트, 밀, 테일러, 베티 프리던

* 자유주의 틀의 수정과 확대

* 자본주의의 발달에 따라 보수화, 진보적 사상의 출현

* 엄격한 공사 분리의 틀에 반기

* 여성할당제 등 적극적 조치 요구

* 남녀 평등론의 성과와 한계

* 여성문제 공론화 시발

* 여성의 지위 개선에 기여( 법 제도 개혁 등)

* 불평등한 사회구조 전반의 변혁이 아닌 중산층 백인 여성의 권익신장에 그침


마르크스 주의 페미니즘

* 사회주의 전통과 페미니즘

* 19세기 이후 노동계급여성의 사회운동 진출

* 여성억압의 궁극적 요인 : 사적 소유제(자본주의체제)

* 생존권 확보, 정당한 대우 요구

* 여성노동운동, 보통선거권 운동, 사회주의 혁명 운동, 제3세계 민족해방운동과 연계한 여성운동,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에 대한 논쟁

* 노동, 역사, 계급

* 인간은 그가 속한 사회의 역사(형태, 생산양식, 계급적 지위)에 의해 규정된다.

* 노동의 관점 : 차별, 억압이 제도나 문화의 문제만이 아니라 여성이 수행하는 노동과 관련된 문제라고 보는 시각-사적 소유제의 모순

* 역사적 관점 : 여성억압은 보편적인 것이 아니라 특정시대, 특정 공간, 배분방식에 따라 다르다는 관점

* 계급적 관점 : 같은 사회 안에서 여성들의 계급적 위치에 따라 억압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시각



마르크스 주의 페미니즘

* 여성노동 문제와 여성해방의 전망

* 노동에서 이중적 역할 : 가사노동+생산노동

* 자본은 노동력의 수급 조정을 위해 성이라는 범주를 활용한다

* 가사노동에서 해방되어야 함/ 생산노동에 참여하되 평등한 참여 보장되어야 함

* 궁극적으로 사적 소유와 계급제도를 철폐해야 함.

* 사회구족적 시각과 환원론의  성과와 위험

* 여성문제를 역사적이고 사회구조적 관점에서 분석

* 여성억압의 해결방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

* 여성억압에 대한 상대적 자율성 배제됨 (젠더 억압이 바로 계급억압으로 환원, 여성문제의 다양한 체계가 무시됨)


급진적 페미니즘

* 여성억압의 뿌리를 찾아서

* 모든 억압 중 여성억압이 가장 근원적이며 광범위함

* 60년대 후반 여성운동 활발, 억압을 보는 새로운 관점들 등장

* 여성억압은 계급억압의 부산물이 아닌 독자적인 체제를 갖추고 있음

* 여성종속의 이득은 자본이나 사회구조가 아닌 남성집단

* 이처럼 남성이 여성을 지배하고 우월한 지위에 있는 것이 당연한(자연스러운) 사회체계를 가부장제라고 명명함.

* 법, 제도, 노동의 영역보다 출산, 섹슈얼리티, 문화에 주목함.

* 생물학주의와 문화주의

* 파이어 스톤 : 남성은 여성의 성과 출산을 통제함으로써 여성을 지배해왔다고 주장함- 생물학적 가족이 여성억압을 낳는 핵심요인

* 케이트 밀렛 : 생물학적 차원보다 심리, 문화적 차원 강조, 가부장제라는 용어 대중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와의 싸움이 특힘 중요함

* 여성다움/남성다움 이라는 관념을 극복하고 양성성의 발전 필요함

* 문화적 페미니즘 파생 : 여성적 특질 재평가 시도



급진적 페미니즘

* 성애와 자매애

* ‘개인적인 것은 정치적이다’-사적인 문제의 공론화

* 이성애주의의 극복 , 여성들 사이의 자매매 강조

* 여성억압의 보편성 주장

* 보편주의와 남녀 대립

* 남성중심 문화의 견고함과 다양함을 밝혀냄

* 성, 출산, 육아 등 사적인 문제들을 정치적이고 학문적인 영역으로 확장시킴

* 가부장제라는 용어를 정의하여 여성억압체계에 대한 분석 자극함.

* 가부장제의 강고함과 보편성을 극복할 방안이 무호함.

* 모든 현상이 성별 대립이라는 틀로 단순화함

* 남성과 여성의 특질을 고정하거나 지나치게 강조하여 결정론에 빠지게 돌 위함

* 여성내부의 차별, 계급, 인종, 민족 등 다른 억압구조들과의 관계도 희석됨.



사회주의 페미니즘

* 마르크스 주의와 급진적 페미니즘의 통합


* 60년대 후반 이후 등장

* 가부장제 이론과 역사적,유물론적 접근을 비판적 발전이론으로 통합하려는 움직임

* 성별분업을 보는 시각에서 마르크스주의페미니즘과 차이 

* 마르크스주의- 생산,소유관계가 문제의 핵심이라고 봄

* 사회주의-계급제도 이전의 성별 분업을 근거로 성별분업 자체가 가부장제를 낳고 유지하는 기제라고 봄

* 따라서 여성의 문제는 가부장제와 자본주의의 결합을 통해 빚어진다고 전제함.


*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의 결합방식



* 일+성

* 노동시장에서의 성차별

* 직장에서의 성희롱

* 일 + 가족

* 무보수 가사노동

* 일과 가사의 이중부담

* 가족 + 성

* 성별 고정관념

* 성에 관한 이중규범

* 가정폭력

사회주의 페미니즘

* 자본주의와 가부장제를 분리한 후 나중에 결합하는 방식

* 이중체제론 : 두 체제는 서로 다른 이해관계에 기초한 별개의 사회체제

* 줄리엣 미첼, 하트만

* 자본주의와 가부장제는 함께 하나의 체제를 구성한다고 몬 입장

* 통합체제론 : 아이리스 영, 아이젠슈타인

* 최근에는 가부장제의 단일한 물적 기초를 찾는 시도 자체를 부정하는 경향


* 통합과 절충 사이에서

* 마르크스 주의 페미니즘의 환원론적 편향을 극복하고 여성문제들을 좀 더 구체적, 적극적으로 개념화하고자 함.

* 여러가지 이론 기초와 틀을 새롭게 부각하여 논의를 활성화함.

* 가부장제와 자본주의에 대한 분석이 서로 긴밀히 결합되지 못한 채 남아 있음.

* 여성억압의 분석이 가족이나 성, 성별 분업 또는 지배이데올로기 등 가부장제 차원에 집중, 기타 사회구조에 대한 분석은 부차적

* 다운론이 힘을 얻게 되면서 다양한 억압구조를 나열하는 수준에 구침.


복지주의 페미니즘

* 공적 영역에서 기회 획득보다 사적 영역(어머니와 아내로서) 여성의 욕구 충족에 목표를 둠.

* 기존 페미니스트 들의 복지국가 이중성 비판

* 사회주의페미니스트 : 복지국가가 자본주의의 기능적 가족유형과 성적 관계를 지지하여 남성들의 안락함, 특권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정책 실행

* 급진주의 페니니스트: 복지국가가 다양한 가족형태를 인정하지 않은 채 남성지배를 보장하는 성적 관계를 보존하고 강화함.

* 복지주의 페미니즘

* 국가는 ‘규제자’가 아닌 잠재적인 복지‘제공자’로 봄

* 여성(어머니)의 욕구와 아동의 욕구를 국가 개입을 통해 충족시키려 함. - 가족수당

*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저항 보다는 개선에 노력

* 성과와 한계

* 모성으로서 여성의 역할에 주목, 정책적 개입을 통해 사회적 가치 보장

* 여성을 모성과 동일시, 전통적 가족유지 및 남성의존 구조 고착

* 여성억압의 근본적 원인에 접근하지 못하고 백인 가족주의의 선전물로 작용함.

* 여성의 삶의 질 향상에 보다 오히려 여성의 빈곤을 강화하거나 방치, 기존의 성 불평등을 고착시킴 

탈 근대주의 페미니즘

* 근대성에 대한 비판

* 주체/타자의 이분법- 타자 소외 또는 정복의 기획에 대한 비판

* 근대성 패러다임은 남성중심적(남근 및 이성중심주의) 패러다임이라고 비판함.

* 다원성, 복잡성이 중요한 특징

* 보편성, 객관성에 대한 부정

* 차이의 이론화

* 흑인여성, 제3세계 여성의 입장에서 민족, 인종적 차원의 체계가 성별체계와 교차하게 되면서 나타나는 권력구조, 지배구조의 차이에 주목함

* 주체/타자, 이성/감성, 문명/자연 등의 이항대립 체계를 비판하면서 정체성의 해체를 통해 여성범주까지도 해체하는 방향으로 나감.

탈 근대주의 페미니즘

* 다원주의와 총체적 인식

* 공통적으로 다양성과 여성 내부의 차이 강조

* 탈근대주의(포스트 모던 페미니즘) : 차이를 강조하며 어떤 하나에 특별한 중요성 부여하지 않.

* 흑인여성운동 : 차이를 강조하되 그 차이의 원인이 되는 권력구조가 여성문제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한 총체적인 인식을 요구함.

* 성과와 한계

* 여성들의 다양한 차이에 주목하게 됨.

* 여성성과 남성성이 고정적 의미가 아닌 변화하는 개념이라는 점 부각

* 정치성을 상실하게 됨.

* 의미의 해체를 강조하다 보니 사회변화의 궁극적 목표, 더 나은 세상에 대한 구체적 목표가 부재하게 된 상황

생태주의 페미니즘

* 환경재난, 환경악화와 여성의 삶의 질 사이에 중요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전제함.

* 모든 형태의 인간억압들 사이에 존재하는 연관성

* 자연을 지배하려는 인간들의 시도에 관심

* 여성-자연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론을 형성

* 가부장제의 위계적, 이원적, 억압적 삶의 방식에 문제제기

* 페미니즘 + 생태주의 관점들

* 자연/문화적 생태주의 : 여성과 자연에게 강요되는 열등성 거부, 전통적 남성 덕목보다 여성 덕목이 더 우월함

* 영적 생태주의 페미니즘 : 땅을 정복하라는 종교는 가부장적이라고 봄. 생명을 주고 존재물을 창조한다는 점에서 여성의 출산과‘어머니 대지’역할의 유사성을 강조함

* 사회주의 생태 페미니즘 : 여성-자연의 연결지점이 사회적 혹은 문화적인 측면이라고 봄. 전통적으로 여성에게 부여된 일에 남성이 여성과 함께 동참해야 한다고 주장함 

생태주의페미니즘에 

제기되는 비판들

* 자연/문화적 생태주의 페미니즘은 ‘여성을 생태적으로 독특한 존재로 생물화하’는 실수

* 영적 생태주의 페미니즘은 정치를 종교로 대치함으로써 사회적 변혁을 목표로 하는 구체적 실천의 이론에서 탈정치화하였으며  서구 생활수준의 사치스러운 영적 놀이로 전락함

* 사회주의 생태페미니즘은 자연과 여성의 능력 사이의 연관성을 경시하여 일반적 생태주의페미니즘 본래의 열정을 축소

페미니즘의 의의와 과제

* 성을 이유로 불평등한 현실조건을 갖는 ‘여성’에 주목하고 차별에 저항, 극복하기 위해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질서의 변화를 요구함.

* 지배적 이데올로기에 비판하고 저항함.

* 사회정의 실천에 중요한 판단 기준으로 이론화 함.

* 여성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 직, 간접적 실천의 이론

* 여전히 남은 평등과 차이의 문제는 어떻게 풀 것인가?

* 우리 사회의 고유한 페미니즘은 무엇일까?




'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0) 2018.10.12
한국어 교육에 대해  (0) 2018.10.09
탐구 주제 - 얼룩 지우는법  (0) 2018.10.01
Good Will Hunting : Director: Gus Van Sant  (0) 2018.09.28
정치학 개념  (0) 2018.09.25
Posted by MSNU

탐구 주제 - 얼룩 지우는법

PPT 2018. 10. 1. 08:13



























































얼룩 지우는법

목차

01     주제설정의 동기

1. 주제설정의 동기

1-1

1-2

-   옷에 얼룩이 지는 이유 : 얼룩이 될 만한 물질이 옷의 섬유조직에 묻어               

있거나 끼어있기 때문으로 물을 이용해 지워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1-3

• 얼룩의 종류에 따라 지우는 방법이 달라진다.

• 인터넷에 떠도는 얼룩 지우는 방법은 모두 정확하지는 않다.

2. 탐구과정

2-1

1. 옷에 얼룩을 지게 할 수 있을 만한 물질

- 피, 포도과즙, 볼펜잉크, 수정액, 김치 국물, 서예용 먹물


2. 얼룩이 묻을 수 있는 섬유

- 천연섬유(면으로 이루어진 천)


3. 얼룩을 지울 수 있을만한 물질

- 아세톤, 암모니아수, 에탄올, 물, 과산화수소, 소금물, 산소계 표백제, 식초, 락스, 물파스, 핸드크림, 주방세제, 세탁세제, 치약, 양파즙, 밥풀

2-2

1. 옷에 묻은 얼룩을 가장 효과적으로 지울 수 있는 방법


2. 옷에 묻은 얼룩이 지워지는 원리

3. 탐구해 보고 싶은 내용

3-1

3-2

- 섬유에 용액을 묻혀 어떤 방법이 가장 효과적으로 지워지는지

1) 준비된 섬유에 잘 지워지지 않는 용액을 묻혀 본다.

2) 얼룩이 묻은 천을 인터넷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지워본다.

3) 30초 간격으로 사진을 찍어 변화를 살펴본다.

4) 가장 잘 지워지는 방법과 지워지지 않는 방법들을 분류한다.

5) 지워진다면 그와 관련된 과학 원리를 알아본다.

4. 탐구내용

4-1

•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피가 묻은 경우

1) 우선 손을 깨끗하게 씻은 후 채혈침으로 천에 피를 살짝 흘린다.

2) 천에 묻은 피가 마를 때 까지 기다린다.

3) 피가 묻은 천을 인터넷에서 찾은 방법으로 지워본다.

    (소금물, 과산화수소, 암모니아수, 아세톤, 에탄올, 찬물)

4) 30초 간격으로 천의 변화 상태를 확인해 지워지는 시간과 정도를 살펴본다.

5) 여러 지워지는 방법이 얼룩을 효과적으로 지운 원리에 대해 알아본다.

 

4-1

2.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포도과즙이 묻은 경우

1) 천에 포도과즙을 흘린다.

2) 과즙이 마를 때까지 기다린다.

3) 과즙이 묻은 천을 인터넷에서 나온 방법으로 지워본다.

    (물, 식초, 락스, 산소계 표백제, 소금물)

4) 30초 간격으로 천의 변화 상태를 확인해 지워지는 시간과 정도를 살펴본다.

5) 여러 지워지는 방법이 얼룩을 효과적으로 지운 원리에 대해 알아본다.

4-1

3.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볼펜 얼룩이 묻은 경우

가) 천에 볼펜을 묻힌다.

나) 볼펜얼룩이 마를 때까지 기다린다.

다) 볼펜얼룩이 묻은 천을 인터넷에서 나온 방법으로 지워본다.

     (물, 주방용 세제, 식초, 핸드크림, 물파스, 락스, 에탄올)

라) 30초 간격으로 천의 변화 상태를 확인해 지워지는 시간과 정도를 살펴본다.

마) 여러 지워지는 방법이 얼룩을 효과적으로 지운 원리에 대해 알아본다.

4-1

4.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수정액이 묻은 경우

가) 천에 수정액을 흘린다.

나) 수정액이 마를 때까지 기다린다.

다) 수정액이 묻은 천을 인터넷에서 나온 방법으로 지워본다.

     (에탄올, 주방용 세제, 물, 치약, 물파스)

라) 30초 간격으로 천의 변화 상태를 확인해 지워지는 시간과 정도를 살펴본다.

마) 여러 지워지는 방법이 얼룩을 효과적으로 지운 원리에 대해 알아본다.


4-1

5.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김치얼룩이 묻은 경우

가) 천에 김치국물을 흘린다.

나) 김치국물이 마를 때까지 기다린다.

다) 김치국물을 인터넷에서 찾은 방법으로 지워본다.

     (물, 주방용 세제, 양파즙)

라) 30초 간격으로 천의 변화 상태를 확인해 지워지는 시간과 정도를 살펴본다.

마) 여러 지워지는 방법이 얼룩을 효과적으로 지운 원리에 대해 알아본다.


4-1

6.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먹물이 묻은 경우

가) 천에 먹물을 흘린다.

나) 먹물이 마를 때까지 기다린다.

다) 먹물이 묻은 천을 인터넷에서 나온 방법으로 지워본다.

     (치약, 락스, 식초, 밥풀)

라) 30초 간격으로 천의 변화 상태를 확인해 지워지는 시간과 정도를 살펴본다.

마) 여러 지워지는 방법이 얼룩을 효과적으로 지운 원리에 대해 알아본다.


5. 실험 결과 및 결과가 나타난 이유와 원리

5-1

1.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피가 묻은 경우

- 피 얼룩은 붉은 색으로 천의 가운데 부분에 살짝 묻혀두었다.

5-1

1.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피가 묻은 경우

 1) 가장 효과적으로 지워지는 방법은 과산화수소이다.

 2) 지워진 정도 : 과산화수소>물>소금물>암모니아≥알코올=아세톤 

5-1

2.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포도과즙이 묻은 경우

- 포도과즙의 얼룩은 천을 포도과즙에 담가서 전체적으로 푸른색에 가까운 보라색으로 천이 물들었다. 

5-1

2.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포도과즙이 묻은 경우

 1) 가장 효과적으로 지워지는 방법은 락스이다.

 2) 지워진 정도 : 락스>식초>물=소금물≥표백제 

 3) 실험이 끝나고 난 후 정리를 하다가 이상한 사실이 확인되었는데 락스에 넣어놓았던 천은 꺼내자 너덜너덜하게 찢어질 것만 같았다. 그리고 용액들을 정리하다가 락스와 식초가 섞이는 실수를 하게 되었는데 이상한 기체가 나와서 몇 분간 숨을 쉬기가 힘들었다.

5-1

3.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볼펜 얼룩이 묻은 경우

- 볼펜 잉크는 따로 구해서 묻히기가 힘들어서 천의 가운데 부분에 볼펜으로 여러 개의 선을 그어 두었다.

5-1

3.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볼펜 얼룩이 묻은 경우

 1) 가장 효과적으로 지워지는 방법은 에탄올이다. 물파스도 비슷한 수준으로     지워졌다. 

 2) 지워진 정도 : 에탄올≥물파스>식초=물=핸드크림≥주방세제 


5-1

4.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수정액이 묻은 경우

- 수정액은 액체형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천의 가운데 부분에 묻혀 굳혀두었다.

5-1

4.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수정액이 묻은 경우

 1) 가장 효과적으로 지워지는 방법은 물파스이다. 

 2) 지워진 정도 : 물파스>세탁세제=에탄올=물≥치약 



5-1

5.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김치얼룩이 묻은 경우

- 김치얼룩은 천을 김치국물에 담갔다가 꺼낸 후 말렸다.

5-1

5.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김치얼룩이 묻은 경우

 1) 가장 효과적으로 지워지는 방법은 주방세제이다.

 2) 지워진 정도 : 주방세제≥양파즙>세탁세제>물 


5-1

6.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먹물이 묻은 경우

- 먹물은 천을 먹물에 담갔다 꺼낸 후 말렸다. 하지만 먹물이 제대로 천에 색깔이 나타나지 않았다.

5-1

6.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먹물이 묻은 경우

 1) 가장 효과적으로 지워지는 방법은 세탁세제이다.

 2) 지워진 정도 : 세탁세제>식초=물>밥풀 


5-2

1.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피가 묻은 경우

    피 - 과산화수소

• 과산화수소 : 소독약으로 많이 쓰이며 상처부위에 바르면 흰 거품이 생긴다.

•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는 수소원소 2개와  산소원소 2개가 공유결합한 무색무취의 투명한 액체이고, 분자식은 H2O2이다.

• 물 분자에 산소원자 하나가 더 붙은 결합상태로 불안정한 상태이다.

• 그래서 과산화수소를 상온에 그냥 두면 산소 원자가 날아가기 시작한다.

• 피 속의 카탈라아제라는 성분은 과산화수소가 산화하는 것을 돕는 촉매 역할을 해 과산화수소의 반응을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돕게 한다. 과산화수소가 물과 산소원자로 분해되었을 때 산소원자 한 개는 활성산소라고 불리며 표백의             효과를 가지게 되는데 이 활성산소원자가 피 얼룩을 지우게 된다.

5-2

2.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포도과즙이 묻은 경우

    포도과즙 - 락스

• 포도과즙의 얼룩이 락스에 들어가자마자 흰색으로 변하며 얼룩이 사라져 버린 것은 락스의 성분 때문이다.

• 주로 성분은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과 소량의 수산화나트륨으로 계면활성제성분도 미량 포함하고 있다. 염소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탓에 무색 또는 녹황색의 액체인 락스는 염소냄새를 포함하고 있다.

• 락스는 염소계표백제이기 때문에 강한 표백력을 가지고 농도에 따라 그 영향이 천에 가게 되는데 우리가 했던 실험에서는 락스를 희석시키지 않고 원액을 그대로 사용해서 천이 찢어졌다.

• 락스 실험을 정리하다가 식초와 섞이자 이상한 기체가 나왔던 이유는 화학 반응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락스가 산성액체와 섞이게 되면 염산 성분과 락스에 포함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이 열과 함꼐 유독 가스를 내보내는데 이 가스는 염소기체이다.

5-2

3.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볼펜 얼룩이 묻은 경우

    볼펜 - 에탄올

• 유성볼펜의 잉크는 기름에 가까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 에탄올이 유성 볼펜의 얼룩을 깨끗하게 지워낼 수 있었던 이유는 에탄올이 알콜성을 띠기 때문에 얼룩을 잘 휘발시켰기 때문이다. 

    볼펜 - 물파스

• 물파스는 유기용매와 알코올, 휘발성분이 들어있다.

• 물파스에 포함된 휘발성 물질은 캄파이다. 캄파는 분자구조에 케톤(-CO-)기를 가지고 있는 물질이다. 케톤(-CO-)기는 아세톤에 포함된 휘발성 물질과 동일한 물질이다. 케톤성 물질은 다른 유기물질과 잘 섞이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유기물질인 볼펜 잉크 얼룩을 지울 수 있었던 것이다. 


5-2

4.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수정액이 묻은 경우

    수정액 - 물파스

• 수정액의 성분은 안료와 수지, 첨가제이다. 안료는 수정액을 하얗게 만드는 역할이다.

• 물파스는 유기용매와 알코올, 휘발 성분이 들어있다.

• 물파스에 포함된 휘발성 물질인 캄파의 케톤기가 유기물질인 수정액과 섞여서 얼룩을 깨끗하게 지울 수 있었던 것이다.


※ 안료 : 산화티탄을 주성분으로 하며 황산바륨, 활석,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산화아연, 운모, 이산화규소, 점토, 규조토 중에 하나 이상이 들어가게 된다.

※ 수지는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로 종이와 흰 안료를 결함시키는 결합제 역할을 한다. 수지는 휘발성 유기용매나 수성용매가 사용되고 여러 첨가제도 들어가게 된다.

5-2

5.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김치 얼룩이 묻은 경우

    김치얼룩 - 주방세제

• 김치얼룩은 식물성 얼룩인 타닌으로 이루어져 있다.

• 타닌은 산성계 얼룩으로 산성 세제로 지울 수 있다.

• 알칼리 세제를 쓸 수 없는 이유는 식물성 색소는 대부분 산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 세제로 얼룩을 제거하려 하면 얼룩이 더욱 고착되기 때문이다.

5-2

6. 면으로 이루어진 천에 서예용 먹물이 묻은 경우

    먹물 - 세탁세제

• 우리가 사용한 먹물은 제도용 먹물이라 방수용 합성수지가 포함되어 있었고 이 합성수지가 얼룩이 지워지는 것을 방해한다.

• 합성세제는 방수용 합성수지와 반응해 얼룩을 지워내게 된다.


※ 밥풀로 먹물을 지우지 못한 이유

- 먹물에 들어 있는 단백질은 밥알 속의 효소와 반응해 얼룩이 지워지게 된다. 하지만 우리가 했던 실험에서 얼룩이 잘 지워지지 않은 이유는 요즘 나오는 먹물은 판매되고 있던 제도용 먹물이었고 이 제도용 먹물은 방수용 합성수지도 포함되어 있어서 제대로 지워지지 않은 것이다.

6. 결론

6-1

7. 느낀점

7-1




'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교육에 대해  (0) 2018.10.09
페미니즘 이론이란? 그리고 종류들  (0) 2018.10.04
Good Will Hunting : Director: Gus Van Sant  (0) 2018.09.28
정치학 개념  (0) 2018.09.25
영국 경찰제도  (0) 2018.09.17
Posted by MSNU

Good Will Hunting : Director: Gus Van Sant

PPT 2018. 9. 28. 14:22

Good Will Hunting


Director: Gus Van Sant


Cast: Matt Damon, Robin Williams, Stellar Scaskard, Ben Affleck, Mini Driver


Production: 1997 / USA


Broadcast length: 126 minutes


Age rating: 15


summary:


MIT College of Engineering and the Mathematical Instructor Lambo (Stellan Scaskagard), who are distinguished by outstanding talent, write the difficult math problems on the chalkboard after completing lectures. In the next lesson, someone solved the problem, and Lam asked me who was the author of the book, but no one answered. Many times, as the question goes on, the young housekeeper walking through the corridor of Rambo sees something on the chalkboard. Lamb rushes to the janitor not to scribble on the chalkboard, and the janitor scoffs. Lamb looks at the board and makes a zesty look. It was because the janitor was solving math problems. The name of the janitor is Will Hunting (Matt Damon). I have never forgotten one thing, I have a genius brain that does complex operations in an instant, but it is a young man who has closed his mind because of unfavorable growth environment and childhood abuse. I have a short learning time and hang out with friends in the neighborhood. I drink and drink every day. Although Harvard 's sciara (mini - driver) meets him in a bar, Scilla' s frank affection is so burdensome to conceal himself. As soon as Will is confined to an accident, Lambert considers Will's talent to take out a large bail and Will. The condition of the jewel is that it should be accompanied by Lambo and constantly consulted with the psychiatrist. Will will not reveal the intricacies and stick to his stiff attitude, so the psychiatrist also avoids Will. Lambert eventually assigns Will to his college professor, Sean McGuire, professor of psychiatry (Robin Williams). Will is also going to be in front of Sean. He throws a lot of sharp words to make Shaun angry. Sean is able to resist the moment Will will insult his dead wife. Sean and Will continue their consultations. Sean continues his consultation with Will, knowing that Will has set a thorn in the past due to his injuries. Will opens his heart to the generous and true Sean, who is different from the adults he has met. Sean tells a private story and encourages him to make healthy exchanges with loved ones so that he does not lose his talent. Will not accept love as he hurts and gives a farewell to Scilla, and Sean catches up and cries. Thanks to Sean's continued care, Will succeeds in self-reliance.


 

subject:


<Good Will Hunting> touches the process of success in self-reliance when a young man who has been turned away from the world meets a thoughtful teacher. Matt Damon, who played Will in the movie, wrote a short story originally submitted as a challenge while attending Harvard University. Matt Damon and Ben Affleck, both of whom are close friends, wrote a joint script. Matt Damon was impressed by Howard Jean's educational staff, a sociologist and neighbors when he was a high school student. Howard Guin is a generous and persistent model of Professor Sean McGuire. The film re-engages healthy self-reliance and mature adult needs. It reminds talented young people of how the terrible growth environment affects, why they need a good adult or mentor in their life, and that they should be preceded by a system of care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t the same time, I do not forget the fullness of the film that conveys a big sound with good scenarios and performances.


 

Points of interest:


<Good Will Hunting> won a screenplay award at the 55th Golden Globes Awards with Matt Damon and Ben Affleck, and won the Screenplay and Best Supporting Actor (Robin Williams) at the 70th Annual Academy Awards. In the Academy, he has been nominated for nine awards including Best Director, Best Picture, and Music Award. Now, it's a classic movie, but the screenplay written by two young actors who were obscure at the time of production was not popular. I have run several producers, but I never had a chance to play Matt Damon as the lead, and they had to wait a long time. Production was promoted at Miramax, but opinions were divided over the right of production. Gus Van Sant was hoping to direct and Matt Damon and Ben Affleck backed Gus Van Sant, but Mila Max's Harvey Wainstein had a different opinion. Even Harvey Wade Stein has badly lowered the governing body of Gus Van Sant, but Gus Van Sant did not give in, and Harvey Wersteiner negotiated the production rights with Mel Gibson, Michael Mann and Jan Sparkac, I went back to Ban Sant. Fortunately, Gus Van Sant was back in the air after the movie was released, and Matt Damon and Ben Affleck were able to appreciate not only the acting but also the sense of direction and scenarios. Not to mention the performance of Matt Damon and Robin Williams, Will 's friend, Chuckie Ben Affleck, also showed a soft performance. In the early days of production, several producers also wanted Ben Affleck, whose name was known earlier than Matt Damon, to play the lead role. Casey Affleck, who was a prolific brother of Ben Affleck and last year's "Manchester by the Sea," won the best actor awards at the 70th Golden Globe and the 89th US Academy Awards. There is a lot of talk about the classic as well as popular. The picture in Sean's office was drawn by director Gus Van Sant. It is presumed that Matt Damon was not the coach they wanted to work with, as Will's brothers, "Maki, Ricky, Danny, Terry, Mikey, Davie, Timmy, Tommy, Joey, Robby, Johnny and Brian. Mark Rocco, Richard Attenborough, Danny Boyle, Terry Gillim, Michael Salomon, David Fincher, Tim Burton, Tom Hanks, Joel Schumacher, Robert Redford, John Woo and Brian De Pal. Robin Williams' first appearance on the sequence is impressive with his sincere and beautiful acting. When Robin Williams died in 2014, the Boston Park bench, where Sean was brought with him from Good Will Hunting, was temporarily used as a memorial space for Robin Williams. It is because many people who remember <Good Will Hunting> left everything on the bench in honor of Robin Williams. Sean, who read Will 's letter to the film' s ending, 'I'm going to catch the Scylla and tell you to tell me well,' he whispered, "Damn it, follow me." This ambassador was Robin Williams' admission. Another highlight was Sean 's ambassador, Robin Williams' ad lib, who spoke of the habit of farting his dead wife.


director:


Gus Van Sant was born in 1952 in Kentucky, USA, and his father was a salesman who grew up around the United States. After graduating from the Rhode Island College of Design in the East, he joined the advertising company in New York and worked on his own personal drawings. "Impressionist painting" pointed out by Will (Matt Damon) in the office of Sean (Robin Williams) in Good Will Hunting is also the work of Gus Van Sant. In Gus Van Sant's film, the lengths of the wounded characters and wanderers who reside in the perilous societies are often visible, perhaps because he was a gay out of himself. The landscapes of American small towns that he grew up to have had a great impact on the visual expression of his films. Gus Van Sant, who produced many CFs and music videos, decided to film and headed to Hollywood. From the title of short <Alice in Hollywood> (1981), his outsider tendency is assumed. <Alice in Hollywood> is a girl who came to Hollywood with a bloated hope and is frustrated with reality. His feature debut was the Malanoche (1985), a small project with a budget of $ 25,000. It is a film about the process of falling in love with Johnny (Doug Cueyet), a Mexican illegal immigrant who is gay with his gay in Walt (Tim Streeter) in the background of the Portland suburbs. I put the anxiety, excitement and excitement of the young man in love in a simple black and white screen with the scenery of Portland street. With this work, Gus Van Sant has emerged as a prospect in the American Indie film industry. In fact, Gus Van Sant spent much of his boyhood in Portland. Malanoche sent Gus Van Sant to the inside of the Hollywood Major League. But Gus Van Sant was still not ready to do major work, and eventually turned down a love call from a big studio and created a drug addicted Road Movie, Drugstore Cowboy (1989), to illuminate the culture of American underground. Idaho (1991), one of Gus Van Sant's best early works, is remembered as the face of the fallen young River Phoenix. Gus Van Sant, who was able to lead a lot of budget and Uma Thurman stars thanks to favorable comments from previous works, produced the <Cowgirl Blues> (1994), which depicts women's utopia, but it was recorded as a failure. In 1996, O. J. Simpson's motive for the United States was a dream, and a woman who was contaminated by the media was telling a teenage boy to kill her husband. He criticized the distorted appearance of the American middle class, but he was criticized for failing to cross the previous aura. After that, <Good Will Hunting> was the most popular message among his works, and he did not miss any of the box office and criticism. It's no surprise that he thought he was going to remake Hitchcock's <Psycho> (1960), considering Gus Van Sant's portraits of sexual minorities, bums and outsiders, but his remake <Psycho> (1998) I did not need a remake work 'was a failure to write a stigma. <Finding Forrester> (2000) It was also a mockery of <Good Will Hunting>. But he succeeds in resurrection. Jerry (2002), who brought Matt Damon and Casey Apples together again to wander the desert, and Elephant (2003), who won the Golden Palm and the Best Director at the 56th Cannes Film Festival, restored his fame. <Elephant>, who filmed the Columbine High School shootings, was once again rated as 'The Best of Gus Van Sant'. Kurt Cobain's electric film, <Last Days> (2005), was a masterpiece that expressed Kurt Cobain's sense and delusion in a concise and beautiful image. The commentators named the three films "Jerry", "Elephant" and "Last Days", which are abstract and impressionistic images, as the three trilogy of death. (2008), an electric movie directed by Harvey Milk, a girl who has died, and a delusionary boy who is a delightful boy with an experience of dying. (2011), Dramas (2012), a drama about the dilemma in situations where money and conscience are incompatible, and the 1969 stonewall protest, His latest work, "Wen Wei Rise," which depicts the story of a minority family, is still reaching his eyes.

'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미니즘 이론이란? 그리고 종류들  (0) 2018.10.04
탐구 주제 - 얼룩 지우는법  (0) 2018.10.01
정치학 개념  (0) 2018.09.25
영국 경찰제도  (0) 2018.09.17
The Patriot - Director: Roland Emmerich  (0) 2018.09.12
Posted by MSNU

정치학 개념

PPT 2018. 9. 25. 01:14



























































정치학

관점; 정치란 무엇인가…

• 고대정치;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정치적 동물)와 플라톤 

     지도자(READER)의 윤리적 도덕적 관점에서 이상국가와 이상사회를 추구


• 정치(POLITICS)란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POLIS)에서 파생된 폴리티쿠스(POLITIKOS)라는 그리스어에서 나옴

• 폴리스(POLIS)는 도시국가로 번역(의미는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


• 유럽 중세 정치는 종교와 일체화- 신과 군주 사이의 매개 역할


• 근대정치- 권력의 지배화- 마키아밸리(군주론; 근대정치의 시조)- 이상주의 

                  정치에서 현실주의 정치로


• 동양; 공자- 이상적인 사회국가 건설- 통치자(지도자, 리더)- 인(仁)과 

                   의(義)를 포함하는 덕(德)을 강조

            한비자- 법(통치제도), 세(권력), 술(통치기술)- 현실주의 정치


• 현대정치; 우리나라 남북관계(통일; 현상유지, 화해와 협력; 국가안보)   

                 국제적(이상주의; 현실주의 경쟁)



고대

• 폴리스(Polis)전제군주제가 아닌 자유로운 시민들로 구성된 공동체

• 아테네와 스파르타(대표적 폴리스)

• 스파르타의 지배하에 아테네 시민들의 처형에 충격 정치보다는 철학으로 몰두; 플라톤의 국가론에서 철인정치를 구상; 최초의 학교제도인 아카데미를 만듬; 시대를 비판하는 학문으로 구상

• 플라톤의 이상정치의 실현은 국가지배; 철인정치

• 소크라테스는 윤리를 정치적 이상으로 실천 가능한 이상국가 주장

• 로마; 스토아학파는 독립적인 개인의 가치와 의미, 인간평등사상을 주장; 법 체계를 확립

            

중세

• 반주지주의적(<->합리적 사상에 )이고 신학적인 세계관

• 십자군원정 이후 이탈리아에서 교부철학과(기독교 교의에 조직화한 교부)스콜라철학(교리 설명)의 발전이 정치철학과 기독교를 결합한 스토아학파가 생김

• 스토아철학은 아퀴나스의 ‘국가로 부터 독립적인 개인’ 생각을 발전시킴; 자연버에 기초, 자연법이 인간과 신의 영역을 연결하는 역할 

근대

• 십자군 전쟁 이후 봉건사회와 종교적 세계관의 질서가 붕괴

• 이런 변화는 종교 개혁운동과 문예부흥으로 진전

• 상업의 급속한 발전, 도시 발달, 영토국가 출현

• 영국과 프랑스 백년전쟁으로 제후 세력의 약화 왕권 신장으로 절대주의 국가체제가 성립

• 이탈리아는 계속된 대립과 갈등으로 위기에 직면; 마키아밸리는 군주권을 강화를 역설한 군주론; 이상국가를 비판, 통치를 위한 권력의 획득과 유지를 강조 

• 17~18세기 계몽주의 이성에 의한 중세적, 봉건적, 절대왕권주의를 비판한 사상운동; 상공업의 발달로 자본주의의 배경 

• 자본주의 발달로 사유재산의 축척으로 토지, 자본에 대한 갈등

• 로크의 정부론에서 이권적 권력 분립(입법, 집행/ 왕권) 이후 몽테스키외가 삼권 분립을 확립

• 마르크스의 자본론에서 정치를 사회 전체에서 연유한다고 함

• 경제, 사회, 심리 등 여타 다른 요소들이 결합, 작용되어 정치를 결정


현대

• 독일의 베버(Max Weber) 정치사회학을 개척(국가, 의회, 관료제, 정당, 이익단체, 엘리트)

• 19세기 후반 정치 세력의 약화 1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행태주의로 발전, 국제정치로 발전

• 2차 세계대전 이후 동서 냉전체제 붕괴로 비교정치로 발전

• 의사 소통의 발달로 연구 재원 확보가 용의, 과학적 방법으로 연구가 가능

• 행태주의와 비판이론이 주류

인식; 정치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 인간이 모여 사는 곳에 갈등이 존재, 갈등이 존재하는 곳에 정치는 필연적 존재

• 정치학; 현실을 비판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것(대안이 없는 비판은 부정적)

• 인간과 사회, 정치는 불가분의 관계- 공생(정치- 법- 다시 법에 귀속됨)

• 무정부주의; 권력기구의 강압적인 측면이 개인의 자율성을 해침, 자연적인 질서와 자발적인 사회조화, 인간에 대한 인간의 지배가 없는 자유로운 사회; 유토피아 사상

• Karl Marx는 계급사회의 소멸될 때까지 임시적 필요

• 정치 후진국; 민의를 외면, 독선과 오기, 권력 남용, 인권 유린, 부정부패, 사리사욕, 당리당약

• 필요성; 국민화합과 안녕, 행복 추구/ 국가의 안녕과 자주 독립 

• 인간의 오성(悟性)에 기초- 긍정적, 적극적 입장- 필요선의 입장 필요하다

개념정의

• 지역, 문화, 체제에 따라 다르게 해석- 살아 움직이는 생명체와 같은 정치 현상


• 국가행위설;                                                                                                                              국가가 정치 행위의 주체(종사자 포함)- 독재 비판 현상


• 다원사회설;                                                                                                                              현대 민주주의에서 국가 및 정당, 이익단체, 시민단체, 언론기관 등 

   직간접적으로 정치에 참여하며 영향을 줌/  

   경험적 체계적으로 정치 현상을 분석(주체가 불분명함)


3. 사회질서설;                                                                                                                              사회 질서의 창조, 유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적, 조직적, 목표지향적 사회 행위/                                 

    정치란 사람과 조직 사이의 이익과 이념을 실현하려고 하는  

    과정에서 질서 필요- 무질서, 파괴, 전쟁 등


개념정의


4.  가치분배설;                                                                                                                              문명의 발달- 가치는 양적, 질적 팽창- 가치 확보를 위한 갈등과 투쟁 발생/ 공동체에 존재하는 가치를 분배


5.  권력설;                                                                                                                                   권력은 사회 질서 유지, 국민의 기본권 보장, 국가의 번영을 위한 수단/                                                    마키아밸리- 정치는 권력을 획득, 유지, 행사하는 수단/                                                                                 베버- 정치는 권력에 참여하는 노력과 권력 분배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책임 윤리를 강조)


6. 계급투쟁설;                                                                                                                              Karl Marx는 권력 쟁취를 정치의 핵심(국부적 권력의 변동 현상을 거부)/                                                         

     해방이론- 계급투쟁- 계급소멸- 갈등이 없는 비정치적 자율사회(자본가 계급과 노동자 계급)                                           


• 결론은 이익, 가치, 이념의 경쟁 속에서 정당한 절차와 방법으로 권력을 획득하거나 미치는 과정으로 권위제가 법, 제도, 정책 등으로 제 가치를 분배하는 행위

정치학 특징…

• 정치와 정치체계의 정확한 이해와 지식 전달                                                                                       - 정치 현상에 대한 지식의 폭이 다름                                                                                                   - 선과 악에 대한 판단이 모호                                                                                                         - 정치 현상의 정보 습득 과정이 불명확함

• 정치학은 동태적 학문의 성격- 인간은 끊임없이 변화- 가치, 문화, 체제. 환경…

• 정치의 본질 파악- 추함, 필요선으로 가는 과정

• 인간 사회에 제반 정치 현상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 경제, 사회. 문화, 역사, 심리적…

• 현대 정치학은 권력이나 정치에 대한 비판 학문

• 베버는 정치가 나갈 방향 제시와 정책을 수립- 책임 의식을 갖는 학문 




'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탐구 주제 - 얼룩 지우는법  (0) 2018.10.01
Good Will Hunting : Director: Gus Van Sant  (0) 2018.09.28
영국 경찰제도  (0) 2018.09.17
The Patriot - Director: Roland Emmerich  (0) 2018.09.12
당의 태종(이세민)과 『정관정요  (0) 2018.09.10
Posted by MSNU

영국 경찰제도

PPT 2018. 9. 17. 14:06



























































영국  경찰제도




★영국 경찰의 역사★

• 1. 고대경찰(앵글로색슨 시대, A.D. 500년~1066년)


• 2. 중세의 경찰제도


• 3. 근대경찰의 창설


• 4. 20세기 이후의 경찰제도

1. 고대경찰


• 1) 집단안전체제

• 2) 상호보증제도

• 3) 10인 조합

• 4) 100인 조합

• 5) 샤이어

2. 중세의 경찰제도

• 1) 앵글로 색슨족 전통모습으로의 복귀

• 2) 치안판사(Justice of the peace)제도

• 3) 윈체스터법의 제정

• 4) 공동책임단위로서의 장원

• 5) 지방정부단위로서의 교구

• 6) 상업경찰(merchant police)

• 7) 육군헌병경찰제도의 생성과 폐지

3. 근대경찰의 창설

• 1) 헨리 필딩의 경찰력 강화


• 2) 로버트 필 경의 경찰제도의 개혁


4. 20세기 이후의 경찰제도

• 1) 1919년의 경찰법

• 2) 1932년 수도경찰청장인 트랜챠드 경(Lord Trenchard)의 개혁

• 3) 1942년 경찰합병 및 경찰법 제정

• 4) 1960년 1월 왕립경찰위원회

• 5) 1964년 경찰법 제정

• 7) 2000년 7월 수도경찰청의 자치경찰화

★ 영국 경찰의 조직★

• 1. 영국경찰체제의 특징

• 1) 영국은 잉글랜드 및 웨일즈,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  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의 주마다 독특한 경찰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 2) 영국의 경찰에는 일반경찰과 특수경찰이 있다. 원칙적으로 지방경찰청 상호간에 지휘나 감독 또는 통제를 받지 않는다.

영국 경찰의 조직

• 1. 영국경찰체제의 특징

• 3) 형태적 지방자치, 실질적 중앙집권 : 영국경찰은 외형상 자치경찰제와 실질적으로 중앙통제를 강화함으로써 민주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절충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수도경찰청의 자치경찰화와 2개의 FBI식 국가수사기구의 창설을 통해 분명히 드러나고 있다.


• 4) 영국 지방경찰의 독특한 3각 관리체제: 영국의 경찰행정조직은「1964년 경찰법」을 근거로 내무부장관, 경찰위원회, 경찰청장 중심의 3자가 권한과 책임을 분담하는 3두체제 또는 3각 배분을 갖추고 경찰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다.

내무부(Home Office)

• 1. 주요임무

• 중앙의 내무부에 경찰국이 있어서, 경찰과 범죄 관련 국가정책결정, 경찰교육, 감식 등 과학수사업무, 경찰전산의 관리, 감사와 평가 및 보조금지원, 중앙범죄정보국․국가범죄수사국 운영, 법률과 질서의 유지, 경찰업무, 소년범을 포함한 범법자의 처리, 보호관찰업무, 치안법원의 조직, 형사재판에 관한 법안작성 등의 치안 관련 정책수립 및 업무를 수행하는 부서이다.

내무부(Home Office)

• 2. 경찰국

• 내무부에 경찰국을 두어 전국 경찰의 효과성과 능률성의 향상을 위해 각종 연구, 정책개발, 감사, 조정․통제, 예산 및 인사기능 외에 기존의 전국단위 경찰집행기능은 크게 교육훈련, 범죄정보, 과학수사, 정보통신으로 나눌 수 있다. 다만 경찰국 지방경찰기관을 지휘, 감독하는 것이 아니다.

내무부(Home Office)

• 3. 내무부 부속기관

• ① 경찰참모대학(Bramshill Police Staff College)과 지방경찰학교(4개) : 경감 이상 간부의 교육 담당

• ② 경찰전산실(Police Information Technology Organization) : 경찰컴퓨터 전산시스템 및 프로그램 개발․관리

• ③ 경찰감사관실(Her Majesty's Inspectorate of Constabulary) : 지방경찰업무 조사․평가

• ④ 과학수사연구소 : 감식 등 법의학․과학업무 수행

• ⑤ 광역․조직․국제범죄수사는 신설된 국가범죄정보국과 국가범죄수사국에서 수행

내무부(Home Office)

• 4. 국가상황실


   대규모 시위․소요사태에 대처하기 위하여 1972년에 수도경찰청에 설치된 국가상황실(National Reporting Centre)에서 각 지방경찰청 기동대의 이동․배치를 지휘한다. 국가상황실의 실장은 영국경찰청장협의회(ACPO) 회장이다.

기타 경찰

• 1. 특별경찰대

• 비상시에 일반 시민이 천재, 소요 등 비상상태가 발생했을 때 임시적으로 제복을 착용하고 보통의 제복경찰관으로서 직권을 행사한다. 

• 2. 경찰후보생

• 1964년 경찰후보생법이 제정됨으로서 생긴 제도이다. 대부분의 경찰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는 일종의 예비경찰제도이다. 이들은 미래의 경찰관으로서의 자질을 갖추기 위해 이론교육, 실기훈련, 봉사활동 방법 등을 훈련센타에서 훈련받으며, 주로 예방경찰 임무에 활용된다. 그러나 정규 경찰의 법집행기능인 체포권한 등은 없다.

★ 영국 경찰의 인사 ★

• 1. 경찰계급

• 2. 경찰인력

• 3. 채용

• 4. 견습

• 5. 교육훈련

• 6. 승진

1. 경찰계급

2. 경찰인력

• 1) 경찰인력관리

• 경찰기관의 인력은 제복경찰, 경찰간부 등 정규 경찰관과 민간직(일반직)으로 나뉜다. 

• 또한 국가비상시에 대비하여 특별경찰대와 경찰후보생 등이 있다.

• 경찰관 1인당 인구부담률은 420명으로 한국의 680명에 비해 양호한 편이다.

2. 경찰인력

• 2) 경찰직에 관한 인력관리제도

• ① 경찰직 : 순경(Constables)으로부터 시작되며 대개 모든 경찰은 이 직위에 머물게 된다(잉글랜드와 웨일즈의 전체의 3/4가 이에 해당). 이들은 경찰행정 서비스에서 중추인력으로 가장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경찰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 ② 경찰행정의 경찰보조인력으로서 민간직 : 지방경찰위원회가 일반적인 고용계약에 의해서 경찰관들과 다른 근무규정과 조건으로 임용하고 있다. 이들은 경찰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보조인력이지만 전문성의 중요도가 부가되면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 ③ 경찰인력의 증원

2. 경찰인력

• 3) 경찰인사정책의 방향(1994년 이후)

• ① 각 경찰행정기관들의 자체 책임 하에 보다 유연성을 갖고 완전히 전문 민간직화로 이루어지는 인사관리체제를 갖출 전망으로 보인다. 

• ② 모든 고위직은 승진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민간직을 제외하고는 중간관리직의 신규채용은 없다. 또한 특기할 만한 사항으로는 고용기회의 균등보장정책의 결과로 1995년 Pauline Clare라는 여성이 Lahcashire의 경찰청장이 되어 최초의 여성 경찰청장이 되었으며 이어 1997년 Wiltshire의 경찰청장이 두 번째 여성 경찰청장이 되었다.

3. 채용

• 1) 자격요건

• ① 나이 : 남자의 경우 18세 6개월 이상. 30세 이상의 나이, 여자의 경우 20세~35세 이하

• ② 신체조건 : 양호한 건강과 신체상태, 시력 양호한 자. 신장은 남자 172cm 이상, 여자 162cm 이상이 되어야 지원 가능.

• ③ 학력 및 국적 : 고졸이상의 학력, 범죄 경력 없는 영국, 영연방국가 또는 아일랜드 국정을 가진 자여야 함. 

• ④ 기타 : 운전면허증, 사고경력이나 심각한 교통법규위반 기록이 없는 자.

3. 채용

• 2) 선발기준(시험)

• 인성 검사 및 심리 검사 결과, 면접 결과, 학업 성적, 신원 (품행․성격․재정 상태 등), 체력 검사 등.

• ① 1차 체력검정 : 체내지방비율(비만도검사), 악력(쥐는 힘), 신체유연성검사, 팔굽혀펴기(1분내 25회 이상), 제자리멀리뛰기, 윗몸일으키기(1분내 30회 이상), 왕복달리기(예속 속도를 증가시키면 20m 왕복코스를 5분 이상 계속 달리기)

• ② 2차 받아쓰기 및 면접

• ③ 3차 심리 및 인성검사 : 의지력, 용기, 위험과 심리적 압박 하에서의 임무수행능력, 협동정신

• ④ 4차 정밀신체검사

3. 채용

• 3) 모집의 종류

• ① 순경모집 : 신체검사, 영어․수학․상식의 필기시험, 면접시험을 통하여 선발하게 되며 합격하면 순경으로 임용되어 품성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거쳐 치안판사 앞에서 선서한 후 경찰관으로 채용된다.


• ② 학위소지사 특별모집 : 학위소지사 특별모집은 학사학위 소지자 및 대학졸업 예정자로서 30세 이하의 자를 특별모집하며, 이들도 모두 순경으로 출발한다. 그러나 2년간의 성적 우수자는 초급간부 양성과정에 입교하여 1년간 교육을 받고 나면 경위까지 승진 보장됨.


• ③ 경찰장의 임용 : 공모에 의하여 지원자를 모집하여 이들 중에서 경찰관리자가 서면심사 및 인물전형에 의하여 후보자를 정해 임명한다. 40세 이하의 연령제한, 경찰에 종사한 경력을 필요로 하고 또한 임명에 있어 내무부장관의 승인을 필요로 한다. 경찰경력이 있는 자 중에서 적당한 후보자가 없는 경우에는 그 제한을 해제하기도 한다.

4. 견습

• 영국의 견습제도는 신분보장의 전제로서 필요하고 유익한 제도로서 임용 후 경찰업무를 수행하기에 건강이나 성품에 비추어 부적절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일정기간 견습으로 하여 수시로 면직시킬 수 있는 권한을 임명권자에게 인정하는 것이다.

5. 교육훈련

• 1) 신임교육의 경우

• ① 기간 : 2년

• ② 교육기관 : 국가(내무부)에서 운영하는 6개의 지방경찰학교 및 해당 지방경찰청

• ③ 교육방식 : 이론교육 및 훈련(최초 6개월 합숙)과 실무실습병행

• ④ 교육방침 : 경찰현장에서 발생하는 어떤 상황에도 능숙하게 대처할 수 있는 경찰관 양성

5. 교육훈련

• 2) 교육기관


• ① 국립경찰참모대학 : 경찰고위간부의 교육 및 전국 비간부경찰관 중 희망자를 엄선, 경찰엘리트를 양성한다.


• ② 관구경찰학교(4개)와 관구경찰대학부설 형사․교통․통신학교


• ③ 각 주에 12개의 지방경찰학교 - 대부분의 교육은 지방경찰학교에서 실시하며 사격, 지도력(leadership)훈련 등 특수 과정에 정평이 있는 지방경찰학교에서는 타지역 경찰관들에 대한 위탁교육도 실시하고 있어 다른 지역 경찰관간 교류의 기회가 되기도 한다.


• ④ 브람스힐 경찰대학(Bramshill Police Staff College) - 경감이상 간부 교육과 고속승진 제도 경찰관 과정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데 그 전통과 높은 명성으로 인해 미국 FBI 등 세계 각국 경찰의 고급 간부들도 교육비를 내고 교육 입교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90년대 초반까지 소수의 간부를 선발, 교육 파견하기도 하였다.

5. 교육훈련

• 3) 경․학 연계

• ① 영국의 대학 중 포츠머쓰(Portsmouth) 등 몇 개 대학에서 경찰학 학부과정을 운영하고 있고 캠브리지(Cambridge), 런던경제대학(London School of Economics), 레스터(Leicester), 엑시터(Exeter) 등 유명대학에서는 경찰학 내지 범죄학․형사사법학 석․박사 과정을 운영하면서 지역 내 경찰청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② 지방경찰청에서는 소속 경찰관들을 대학 경찰관련 학과에 파견시켜 최신 이론과 관련 학문을 익히게 하고 학위를 취득케 하여 근무의욕과 능력을 향상시키고 대학 연구진들에게는 최적 방범기법 등 경찰 관련 연구 용역을 주어 업무에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 ③ 대학들은 경찰청들과의 협조로 경찰관련 자료․통계 입수 및 경찰관 상대 조사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경찰관 학생모집으로 수입 증가효과도 올리고 있다.

• ④ 브람스힐 경찰대학은 런던대학, 런던경제대학, 캠브리지 대학 등과 결연을 맺고 상호 교환 강의, 공동 연구, 학점 인정 등 효과적인 學․學 연계 효과를 거양하고 있으며 기타 지역 경찰 학교들도 지역 대학들과 유사한 교류를 하고 있다.

6. 승진

• 1) 일반승진제도 

• 경사, 경위까지의 시험승진을 원칙으로 하는 제도. 그 이후는 심사로 이루어지는데 고속승진제도에 포함된 엘리트 경찰 이외에는 승진을 최대목표로 하지 않아 대다수의 경찰관이 순경이나 경사로 퇴직하며 이들은 승진 보다 수사 등 전문성 향상에 전념하고 있다.

• 2) 특별승진제도

• 엘리트 양성을 목적으로, 경사승진시험 상위합격자나 학위소지자 특별모집에서 선발되어 2년의 견습을 마치고 경사시험에 합격한 자들이 20대 중반에 경위로 승진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도.




'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d Will Hunting : Director: Gus Van Sant  (0) 2018.09.28
정치학 개념  (0) 2018.09.25
The Patriot - Director: Roland Emmerich  (0) 2018.09.12
당의 태종(이세민)과 『정관정요  (0) 2018.09.10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0) 2018.09.06
Posted by MSNU

The Patriot - Director: Roland Emmerich

PPT 2018. 9. 12. 16:36

Patriot - Fox in the Swamp

The Patriot



Director: Roland Emmerich

Cast: Mel Gibson, Heath Ledger, Joe Eli Richardson, Jason Eyes, Chris Cooper

Production: 2000 / Germany, USA

Broadcast length: 145 minutes

Age rating: 15



summary:


Benjamin Martin (Mel Gibson) called 'Fox in the Swamp'. He is a farmer from South Carolina. It is also an American war hero who fought long colonial contests between England and France and frightened the French and the Indians. After his wife's death, he decides not to join the war anymore. Instead, we are going to do our best to play the role of the head of a family by bringing up seven children alone. But colonial pioneers call on him, the war hero, to participate in the American Revolutionary War against the British oppression. Even Benjamin's heartbreaking first son, Gabriel (Heath Ledger), runs into the battlefield as if to become an independent champion. Unfortunately, Gabriel comes home with a fatal wound. The second son of Benjamin comes to his death after the encounter with British forces on Benjamin's farm. The home that Benjamin wanted to keep so much is shaken by the swirl of war in a moment. Benjamin is forced to jump into war to defend his beloved children. It is based on the true story of General Francis Marion, who was called "Fox in the Swamp" during the American Revolution.


subject:

Benjamin seems to be a heroic father before the war hero. The idea of ​​protecting his family eventually pushes him into the middle of the war. Moving an individual in the face of a great event of war is not a plausible cause. Rather, at the most private level, one person might want to keep something, for example, a family might put an individual into war. Benjamin himself, who is quite afraid of himself, but gladly carries the fear and tries to go forward, gives a glimpse of the American Revolutionary War.


Points of interest:

It is a Hollywood drama about the American Revolution. I have successfully portrayed the emotions of fear and fear that humans will feel in the battlefield of war. The stable performance of Mel Gibson, who acted as a strong, unshakable father of a mature father, improved the perfection of the play. At the time, the commentators commented that his acting was serious and laughable, but he showed a romantic heroism. Heath Ledger, who plays Gabriel, is also impressive. Sadly, it is the work of a young, light-hearted youth who left the world of Heath Ledger. When Benjamin Rich brings them together in a cohesive word on the battlefield, they have more family and affectionate relationships than warlords.


director:


Roland Emmerich, who has gone through Stargate, Independence Day, and Godzilla, turned to the American Revolutionary Revolution in the 1770s. It is a work of collaboration with producer Dean Devlin who is still working as his partner. Through the <Patriot - Fox in the Swamp>, he presented a huge scale work that could be his organs. But this time, the background is not the SF world, but the 18th century American grassy plain. The Hollywood hero projects a responsive, strong, and brutal hero in the water to his father Benjamin. I am faithful to entertainment movies. Perhaps that seems to be a work that does not largely deviate from the narrative of a typical war hero.

'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치학 개념  (0) 2018.09.25
영국 경찰제도  (0) 2018.09.17
당의 태종(이세민)과 『정관정요  (0) 2018.09.10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0) 2018.09.06
HUGO - Director: Martin Scorsese  (0) 2018.08.31
Posted by MSNU

당의 태종(이세민)과 『정관정요

PPT 2018. 9. 10. 17:35



























































제왕의 모델과 그 교과서



-당의 태종과 『정관정요』-


 중국 및 

동아시아에서 

최고의 군주로 

평가 =‘제왕의 모델’




 태종과 신하들간의 정치문답집


당의 태종,이세민(598(or599)-649 /재위 626-649)의 즉위와 치적

이씨의 조상

• 북방 민족

출신 유력자

들과 통혼 관계; 

조부(독고씨=

선비계), 

부친(두씨=흉노계), 이세민(장손씨=선비족)

• 이씨도 실제는 선비족 출신?

• 당 고조 이연은 수 양제의 사촌 형

• 그의 지위(唐國公)를 아들(병)과 손자(연)

⇨ 이들을 무천진 집단 or 관롱집단(關은 관중(섬서성),롱은 감숙성)이라 부르고, 이들 상호간에는 밀접한 혼인 관계 등을 형성


1.당의 건국과 전국 통일 


 양제(604~618)의’폭정’(?)

• 형 밀어내고 즉위

• 대규모 노동: 대운하건설 등에

  500만 명 이상 

• 고구려 원정: 3차례 연거푸 

추진해 내란과 혼란 속에서

망국의 군주로




 수 말기 군웅 할거

속에서 이연 일가도 

태원에서 거병(617년)

 망설이는 이연을 

이세민이 독려

 민간에 유포된 

노래:“강남지방에서는 

버드나무(楊)가 지고(散), 

하북지방에서는 오얏꽃(李)이

핀다”        


 남으로 진군해 장안

 장남 건성과 세민이

  종군하고, 원길은 태원에

  남아 유수

 점령 직후 기회 살피다,

  양제 피살되자 당 건국

  선언하고 칭제(618년5월)

 이연의 황제 즉위와 함께

 건성은 태자,세민은 진왕, 

 원길은 제왕이 됨



 그러나 당의 세력은 

 관중지방에 불과

 각지에 최소 40 이상 

군웅이 할거, 칭제 세력만

17 

→ 수 말은 중국사상 가장

 혼란한 왕조 말기의 양상 


 당의 초창기(고조 재위 = 618∼626))는 군웅과의 항쟁 시대: 이 과정에서특히 이세민의 무훈이 두드러짐


 이세민의 활약으로 이들 

제압해 중원을 통일(624년)

 혁혁한 대공으로 당조는 

고민 끝에 신설한 천책상장

(天策上將)의 특별 지위 수여

(621)


2.태종의 즉위 


 배경: 

 전공으로 세력과

평판 확대되고 정권에 

욕심(?)도 생기지만, 

현실적으로 황제가 될 수 

없는 입장

 태자 건성 측도 

불안하기는 마찬가지


        “세민 VS. 건성+원길”의 대립과 갈등 구조로 발전

      (*불화를 둘러싼 확인되지 않은 많은 이야기는 승리자 측의 

       윤색인가? )


 쿠데타의 발생: 

  세민이 고조에게 건성과 원길의 음모 등 고발

  → 고조가 형제들을 다음날 입궐하토록

  → 세민이 다음날 길목에 매복해 있다 형제 사살

  → 즉위 3일 후 세민이 황태자되고, 다시 3달 후(9월) 고조의   

     양위 받아 즉위(28세)

       


3.태종 이미지의 형성


 정관 연간(627~649) 23년 동안에 행한 정치(‘정관의 치’)는 중국사상 태평성대의 대명사 

 부풀리고 고정화된 설명:

• “통치 제도의 완비”(율령제,삼성육부,균전제,부병제 등) 

• 태평성대가 실현됐다는 묘사들

• 종합적 이미지: 구양수의 평가

“甚矣,至治之君不世出也!……三代千有七百餘年,傳七十餘君,其

 卓然著見于后世者,此六七君而已。嗚呼,可謂難得也!唐有天下,傳

 世二十,其可稱者三君,玄宗、憲宗皆不克其终,盛哉,太宗之烈也!




 태종 시대는 실제보다 과장된 것이 분명히 많음

 그러면 태종의 성군 이미지는 어디에서 왔는가?

• 1): 장기 지속된 왕조로서 후손들에 의해 치장

• 2): 그 결정적 작용은 특히『정관정요』의 영향(→ 후술) 


 이로써 알 수 있는 2가지 점:

• 이러한 내용이 양제에게는 폭군의 이유가 되지만, 태종에게는 성군 이미지를 훼손시키는 요소가 되지 못함

• 양제는 그 이미지가 당에 의해 크게 왜곡되었다(‘양제’라는 시호도 당이 부여한 것이며, 원래 수의 신하들은‘明황제’라는 시호와 ‘世祖’라는 묘호를 수여)

4.’정관의 치’의 실상

 그러면

‘정관의 치’는 

내용이 없는 것인가?

 분명히 존재하는 

그 실태는?



 동돌궐 멸망시키자(630) 

그 족장들이 장안 방문해 

태종에게 ‘천카한(天可汗)’

칭호 헌상

 서역 진출해 안서도호부 

설치하고(640년) 영토를

확장 대대적으로 → 훗날 고선지 활약의 토대

 고구려원정에 3차례 출전하나 모두 실패 후 사망(649년) 


 모택동의 태종 평가: 

“자고로 중국의 군주 가운데 이세민보다 

군사적으로 뛰어난 사람은 본 적이 없다. 

그 다음은 주원장이다”




 ‘정관의 치’라는 성망 안겨준 가장 큰 까닭

 공신들을 계속 존중: 한 고조와 명 태조에 대비

 ‘18학사’를 중용: ‘천책상장(621년)’시절 ‘문학관’열어 18명 인재 영입해 자문 구함.



            한정적이던 인재풀을 확대




 인재 기용의 대표 사례

   


 중국사상 가장 유명한 간신(諫臣)

 18학사 형성 이후에 영입

 “이밀 → 당 → 두건덕 포로 → 이건성”의 편력

 현무문 변 이후, 태종에 발탁

  태종 왈:“너는 어째서 형제를 이간시켰느냐”

  위징 왈:“태자가 내 말만 들었다면 오늘의 화는 

없었을 것이다”

       위징을 간관으로 기용, 200회 이상을 간언


 홍문관(弘文館) 개설:

(627년,즉위직후),인재 결집시켜

학술,문화,교육,정책 입안 등 수행

 공영달의『오경정의』 

 24사 중 1/3에 해당하는 정사 편찬

 태종의 역사에 대한 관심: 

 『진서』선제(사마의)와 무제「본기」, 

명문장가 육기와 왕희지 열전에 논평  

 방현령 등에 명해 작성 중인 『고조실록』

『태종실록』보고 불만 → 개수





 서예에 

대한 관심

 왕희지 글씨 

애호하고 

작품 수집에 몰입

 스스로도 중국 역대 제왕 중 최고 수준



『정관정요』는 어떤 책인가?

1.책의 성격

 편찬자:오긍(사관 출신,670-749)

 편찬목적: 측천무후 사후 당실의 번영이 

계속되길 원하면서 중종에게 선대 태종의 정치를 

모범 삼을 것을 바라는 마음에서


 태종과 자신 보필한 위징, 방현령, 두여회,왕규 등 45명에 이르는 중신들 사이에 주고받은 정치 문답

 10권40 항으로 구성



 ‘제왕학의 교과서’로 중국 역대 왕조와 한국,일본에도 영향

 이론서가 아닌 현실적이고 구체성 가진 점에서 흥미롭고 효과적 



 당: 헌종,문종,선종, 

 송: 인종

 명: 만력제

 북방왕조:요 흥종,금 세종,원 쿠빌라이,청 건륭제 등

 남송: 『정관정요』에 그다지 주목 않은 것

 은 주자학의 영향? 엄격한 의리학과 도덕사관에 

 입각한 주희가 당 태종을 비판한 결과? 



 고려:

 광종 원년(950년)에 광종이 처음 읽었다는 기록

 예종(12세기 초)이『정관정요』주해 만들게하고, 고려 말 여러 왕이  신하들의 시강 받음

 조선:

 제왕으로서의『대학연의』의 가치가 우선시되었으나 『정관정요』의 관심도 여전히 사라지지 않음 



 헤이안 시대(9세기)에 이미 전래

 헤이안 시대의 천황, 막부시대, 특히 도쿠가와이에야스가 애독하고 보급




'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 경찰제도  (0) 2018.09.17
The Patriot - Director: Roland Emmerich  (0) 2018.09.12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0) 2018.09.06
HUGO - Director: Martin Scorsese  (0) 2018.08.31
스토리 전개 방식 정리  (0) 2018.08.25
Posted by MSNU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PPT 2018. 9. 6. 12:33



























































현대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1.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1) 인식기(19세기 후반 ~ 1930 년대 초반 ) (1) 사회복지전문가의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인식 ①사회복지전문직은빈민들의사회적조건을개선하고사회사업시설들의실천을합리적으로관리하고그것의효율성을높일수있는전문적방법을필요성인식 ②광범위한접근을하는전문직을강조하는주장대두. Abbott: 사회사업전문교육이케이스워크에초점을둔것에대해비판하면서행정과정책에관한지식과경험을갖추어야함을주장. Dunham: 사회복지행정과실천을분리된기능으로생각해서는안된다고하면서케이스워크의지식과기술을배워야한다고주장. Hagerty: 교과과정속에행정에관한내용을필수적으로포함시켜야한다고주장 1.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1) 인식기(19세기 후반 ~ 1930 년대 초반 ) (2) 사회사업대학의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인식 ①밀포드(Milford) 회의(1929 년): 전문적사회사업교육기관을위하여케이스워크, 지역사회조직, 사회사업조사, 행정을포함하는, 사회사업의기본적인기술들을망라하는하나의교과과정이제안되었음. 특히사회복지기관에필요한조직구조의틀과기준, 효과적인서비스전달체계를위한조직상의배경을언급 ②1914년최초로사회사업대학교과과정속에행정이나타남 1.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2) 기초정립기(1930년대 중반 ~ 1960 년까지) (1) 사회복지행정 실천영역의 형성 ①1934년연방긴급구호청(FERA) 을설립, 1935 년사회보장법을제정하여연방과주의공공부조제도를창설함에따라사회복지행정의실천영역이형성 ②연방긴급구호청설립으로설치된공공구제기관에서업무를행할많은직원이필요, 연방에서위임된사회적서비스를계획·조직하며관리및감독할많은훈련된직원을필요로하였기에행정적훈련을받은직원의수요가급증 ③사회복지대학들이공공행정의봉사자를양성하는방향으로교과과정개설 1.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2) 기초정립기(1930년대 중반 ~ 1960 년까지) (2) 사회복지행정 개념과 이론의 정립 ①사회복지행정만이적용할수있는독특한특성을조직화함서비스의적합성, 클라이언트중심의서비스, 전문적능력, 프로그램의효과성, 운영의효율성등서비스의질강조 ②과정에있어서민주적이고참여적인경향더욱강조 ③사회복지실천만의독특한기술과전문적지식이요구된다는점을확인하는과정에서실천영역과개념, 이론, 원리가정립됨 1.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2) 기초정립기(1930년대 중반 ~ 1960 년까지) (2) 사회복지행정 개념과 이론의 정립 제2차세계대전이후행정을체계적으로발전시킨시기 사회복지행정과 사회복지행정을 사회복지행정은 사회복지방법론으로 ① 일반행정읁 구별하려는 노력 , ② 케이스워크, 그룹워크 및 지역사회조직 등과 마찬가지로 정립하려는 노력 , ③ 일반행정에 비해 그 과정에 있어 민주적이고 참여적인 경향읁 가진다는 점읁 강조하려는 노력이 있었음 1.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3) 정체기(1960년대) (1) 사회복지기관에 대한 불신 태도 1960년대의미국역사는가장중요한사회변화를추구하였고, 효과적관리와실천을위해엄청난재원을투자하여경제원조국(OED) 및지역사회행동기관(CAA) 을비롯한수많은기관들을설립 (2) 지역사회조직사업의 발달 1960년대는지역사회조직사업의발달이이루어지는시기 .지역사회조직사업은그당시많은사회문제해결에직접적으로응용되었으며또한많은성과를거두었음 1.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4) 발달기(1970년대 ~ 1980 년대 중반 ) .1970년대 배경 : 베트남전의패전으로인한경제의악화와인플레이션, 사회복지에대한정부책임증가에따른비용증가 .1970년대의시대적요청과결합되어행정가에대한수요증대 .사회복지행정에관한전문적문헌의출현 ①1976년‘사회사업행정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출간 ②사회복지행정의원칙, 이론, 역할등에대한실례및모델정립 1.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5) 도전과 응전기 (1980년대 후반 ~ 현재) .1980년대이후에레이건행정부에의해연방정부의사회복지역할축소로인한변화로민간의사회복지행정에의참여증대(공공관료조직퇴조, 민간부문의직접서비스전달에서의역할증대, 민간·공공의엄격한조직적구분퇴조) .서비스연계조직의출현과자원제공처의다양화(조정, 연계, 책임성이행기술의강조) 2.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1) 일제와 미군정하의 사회복지행정 (1) 사회복지 전문적 활동의 태동 (1900-1945) .주로 종교적 동기 , 봉사정신에 의하여 설립 · 운영된 시설이많았음 .1906년 : 미국감리교선교단체에의해서원산에반열방이라는인보관성격의우리나라최초민간기관의사회복지관설치 .1921년 : 미국 감리선교부에서 태화여자관 설치 .현대적의미의민간사회복지관활동전개 .1921년 : 조선총독부내무국에사회과신설, 우리나라사회복지사업의지도·통제를전담(시혜적수준에불과) .1921년 : 조선사회사업연구회조직(민간사회복지조직들의상호교류와사회복지사업에대한조사·연구를목적) .1944년 : 조선구호령 공포 , 실시 → 공공구호행정 전개 2.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2) 제1·2공화국시대의 사회복지행정 (1) 외원기관의 원조활동과 사회복지행정의 태동 .한국에서민간에의한대대적인사회복지사업의참여는1945년광복이후6.25 전쟁을거치면서전쟁고아, 월남피난민, 부랑인등을위한긴급구호와수용시설에의한보호사업이활발히전개됨으로써비롯되었음 .민간사회복지기관들은주로외국원조기관의지원을받아자선사업과구호사업을전개하였는데희생정신과봉사정신이중요시되었음 .1945년: 보건후생국설립 .1946년: 후생국보3A호, 후생국보3C호등긴급구호에관한규정발표 2.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2) 제1·2공화국시대의 사회복지행정 (1) 외원기관의 원조활동과 사회복지행정의 태동 .6.25 전쟁이후민간사회복지기관들이외국원조기관의지원을받아자선사업과구호사업전개(긴급구호와수용시설에의한보호사업을활발히전개) .1947년: 이화여자대학교기독교사회사업학과설치 .1946년: 보건부와사회부를보건사회부로통합 .1949년: 사회부내보건부신설 .1955년: 보건사회부사회복지에관한전반적인업무관장 .후생시설운영요령(기존구호시설운영·지도·감독) .1953년: 중앙신학교사회사업학과개설 .1958년: 이화여대, 다음해서울대학교사회사업학과개설 2.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3) 제3·4공화국의 사회복지행정 .1961년생활보호법제정 .보건사회부의역할이생활보호위주 .사회복지행정조직역할이단순, 비전문적활동 .1967년한국사회사업가협회창립 .1970년사회복지사업법제정: 공공복지행정을통해민간사회복지기관에대한지원과지도·감독을할수있는근거가됨 .10여개대학에사회사업학과개설 .1970년대에사회복지행정분야가교과목으로채택되어어느정도행정의필요성은인정되었으나민간에서는행정적관리가미흡 .1970년대에는외원기관의원조감소와함께철수를하는시기이므로민간사회복지시설은운영에필요한자원의부족현상이나타남 2.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4) 제5공화국과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서비스행정의대두 .사회복지서비스에대한중요성인식 .국가와지방자치단체책임의강화 .사회복지행정의범위확장 .사회각계층에서사회복지욕구의분출도폭발적임 .각종사회문제의대두와국민의복지수요의팽창 .각종사회복지서비스관련법을제정또는개정 2.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5) 제6공화국과 사회복지행정 (1) 사회복지행정의 체계화 (1980년대) .1980년대후반전문적인사회복지조직이나타났고, 급격히증가하였음 .1982년사회복지사윤리강령채택 .전문직으로서의사회복지사의기본요소를갖춤 .1987년: 사회복지전문요원제도시행 .1988년: 사회복지행정론교재처음출간-사회복지전문요원배치-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시행-사회복지사업법전면개정-보건복지부조직개편(보육과, 의료급여과, 공공보건과신설) 2.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5) 제6공화국과 사회복지행정 (2) 사회복지행정의 인정 및 활성화 (1990년대) .1991년: 사회복지사업법개정.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복지사무전담기구를설치할수있는법적근거마련 .1995년: 보건복지사무소시범운영 .1997년: 사회복지사업법개정으로시설설치주체의다양화, 평가제도입(3년에1회이상평가)으로민간의사회복지서비스참여확대와시설운영의개방성과투명성확보를위한제도적장치강화 .1998년: 시·도사회복지협의회독립법인화 .1998년: 11 월사회복지공동모금회설립 .1999년: 사회복지행정학회창립, 전문학술지발간 .학문과연구활동의활성화를의미 2.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6) 2000 년대 이후의 사회복지행정 .2000년: 국민기초생활보장법시행 .2003년: 제1회사회복지사1급자격국가시험시행 .2004년 : 사회복지사무소 시범사업 실시 .2005년: 시·군·구에서지역사회복지협의체운영 .2006년 : 7 월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 실시 .2007년 : 동사무소 → 동주민센터로 명칭 변경 .2009년 희망복지 전달체계 개편안 발표 . ‘공공전달체계’, ‘ 민간전달체계’ , ‘사회복지 통합관리망 ’ 등 3개 분야 시범사업 시작 2.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6) 2000 년대 이후의 사회복지행정 * 한국 사회복지조직의 변화와 향후과제 .사회복지사무지방이양과재정분권화 .사회복지서비스중심축의중앙으로부터지방으로의이동 .공공복지전달체계의개편 .사회복지실천영역의세분화와통합화




'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Patriot - Director: Roland Emmerich  (0) 2018.09.12
당의 태종(이세민)과 『정관정요  (0) 2018.09.10
HUGO - Director: Martin Scorsese  (0) 2018.08.31
스토리 전개 방식 정리  (0) 2018.08.25
미래 사회 : 디자인과 문화  (0) 2018.08.23
Posted by MSNU

HUGO - Director: Martin Scorsese

PPT 2018. 8. 31. 14:49

Hugo

Origin: HUGO

Director: Martin Scorsese

Cast: Isa Butterfield, Chloe Morets, Ben Kingsley, Jude Law, Christopher Lee

Created by: 2011 / United States

Broadcast length: 126 minutes

Age rating: 12 years


summary:

In 1931, one of the train stations in Paris, France. A twelve-year-old boy, Hugo (Asa Butterfield), lives with his uncle (Jude Law) in an accident of injustice and manages the clock tower of history with his uncle. My father, who was a watchmaker, took a broken robot doll that he had left in a museum and repaired it in Hugo and Zampo. After his father died in a fire accident, suddenly he was taken to his uncle and taken to the clock tower. It became a thing. So Hugo steals parts from history at a toy store trying to revive a broken auto doll. One day he was caught by a toy shop owner, Georges (Ben Kingsley), and found the parts he had stole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oll, The father's notebook, which he wrote down, is confiscated by Georges. Georges looks at the contents of the notebook and becomes speculative, threatening to burn the notepad. Hugo chases to the house of Georges, thinking that his only memory with his father may disappear. And Isabel, who is thirsty for adventure, meets his granddaughter Isabel (Chloe Moresz), explains things, and joins Hugo's plan to help Hugo and reclaim his notebook ...




Commentary:

The film is an excellent presentation of the dark social phenomenon hidden behind the spectacular American appearance from <Taxi Driver> shining at the Cannes Film Festival Golden Palms to <Good Friends>, ​​<Gangs of New York>, <Departed>, <Shutter Island> His first 3D work by Martin Scorsese. <Hugo> is based on <Hugo Cabrera>, a book by Brian Selznick, a famous illustrator of children's books. Martin Scorsese reads this book to his youngest daughter, who has a feeling of falling into the book and has confidence in the film. In addition, Martin Scorsese focused on 3D technique after watching Alfred Hitchcock's "Turn Dial M" in the 1950s as a teenager, and it was possible to show the actors' stereoscopic three- Hugo received the most nominations in the 84th Academy Awards for his work in five categories (photography, art, sound editing, sound effects, visual effects) Successfully proved that the insight was right.



Director: Martin Scorsese


Martin Scorsese is an American film director, producer, screenwriter, actor and film historian. Francis Ford Coppola, Stanley Kubrick, and Sydney Pollack, who were among the most influential and important filmmakers in film history, were among the youngest directors and filmmakers in the late 1960s to 1980s. . Scorsese's work is heavily influenced by his growth process, and he is vigorously and vividly handling the identity of Italian Americans and guilt and salvation based on Catholicism, modern crime, and the fighting of gangs. In the early 1960s, he started his short film career and worked for half a century, earning the American Film Association Merit Award, US Academy of Motion Picture, Cannes Film Festival Best Film and Best Director Award, Venice Film Festival Silver Prize. His major works include The Mean Street (1973), The Taxi Driver (1976), The Fist of Anger (1980), The King of Comedy (1983), The Good Friends (1990) (1993), Casino (1995), Gangs of New York (2002), The Departed (2006), The Shutter Island (2010) and The Wolf of Wall Street (2013).
































'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의 태종(이세민)과 『정관정요  (0) 2018.09.10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0) 2018.09.06
스토리 전개 방식 정리  (0) 2018.08.25
미래 사회 : 디자인과 문화  (0) 2018.08.23
Ways To Live Forever  (0) 2018.08.22
Posted by MSNU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favicon

The Everyday Effect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623)
    • librals (139)
    • PPT (369)
    • 시리즈 (69)
      • 주택관리관계법규_정리 (26)
      • 독일어 (1)
    • HDP MM (34)
      • HDS (0)
      • ND C&P (0)
      • 우체국 알뜰폰 (34)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